광동제약 모호한 정체성

2022.04.28 11:34:38 호수 1372호

효자 삼다수 딜레마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광동제약이 6년 연속 매출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본업인 제약 부문 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어 정체성이 흐려지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에도 삼다수와 유통업 매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오랜 오명인 ‘무늬만 제약사’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1963년 설립된 광동제약은 초창기부터 경쟁사에 한 발 앞서며 성장세를 이어왔다. 2000년대 들어 제약업계 내 경쟁이 심화되고 제약사들은 앞다퉈 신성장동력 발굴에 몰두했다. 일찌감치 음료 사업을 캐시카우(현금 창출원)로 낙점한 광동제약은 비타500 성공 이후 빠르게 외형을 성장시켰다. 

비타500 대박
매출 1조 클럽

지난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광동제약은 2016년 처음 매출 1조 클럽에 가입한 뒤 2017년 1조1416억원, 2018년 1조1802억원, 2019년 1조2383억원, 2020년 1조2438억원으로 매해 몸집을 키웠다. 지난해에도 1조338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겉으로만 보면 남부러울 게 없는 광동제약이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상황이 달라진다. 특히 주력 제품 삼다수와 의약품 사업이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광동제약이 삼다수를 통해 확보한 매출액은 전년보다 21.2% 상승한 2839억원에 달했다. 삼다수의 매출 비중은 광동제약 전체 매출의 34.3%를 차지한다.


또 유통영업부문은 ▲비타500 910억원 ▲옥수수수염차 451억원 ▲헛개차 335억원 등 2017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광동제약 매출 비중의 24.4%에 달하는 수치다. 삼다수와 유통영업의 매출 비중은 광동제약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이다.

반면 지난해 의약품 사업 매출은 2823억원(매출 비중 21.2%)으로,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R&D 투자 비율 1%대…업계 최하위
‘겹친 악재’ 때아닌 불순물 초과 검출 

광동제약 삼다수 매출이 의약품 사업 매출을 앞지른 것은 2016년 이후 5년 만이다. 제약사 ‘빅10’ 가운데 비제약 부문 매출이 본업인 제약을 압도하는 곳은 광동제약이 유일하다. 이에 업계에서는 광동제약에 대해 ‘무늬만 제약사’라고 지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광동제약의 매출을 보면 제약업체가 아닌 음료나 유통업체에 가깝다”면서 “음료사업으로 벌어들인 돈으로 신약 개발에도 집중해야 제약사로서의 명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2013년 광동제약 창업주인 고 최수부 회장이 타계한 뒤 외아들인 최성원 부회장이 바통을 넘겨받았지만 이렇다 할 신약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개발 진행 중이던 치매 치료제는 임상 2상에서 제품 개발이 보류됐고, 여성 성욕 저하 장애 치료제를 개발 중이라지만 그 역시 자체 개발이 아닌 해외에서 판권을 사 온 것이다. 

정부 지원을 받아 개발 중인 비만치료제도 아직 성과가 없다. 고 최 회장이 한방의 과학화를 내세우며 히트시킨 ‘경옥고’ ‘우황청심원’ ‘쌍화탕’ 등 한방 의약품들로 제약사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

광동제약도 손 놓고 있지만은 않았다. 광동제약은 최근 비만 관련 의료용 제품 개발에 투자했다. 지난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광동제약은 최근 의료용 마이크로니들 플랫폼 기업 쿼드메디슨에 20억원을 투자했다.

이 투자는 비만치료제 의약품 마이크로니들 패치 개발을 위해 단행했다. 마이크로니들은 머리카락 3분의1 두께의 미세 바늘이 도포된 패치를 피부에 붙여 약물 성분을 체내에 흡수시키는 차세대 약물 전달기술이다. 주사제보다 통증이 적고 경구제(먹는 약)의 대사 과정을 생략해 흡수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음료에 매진
약은 무신경?


광동제약은 오래전부터 비만치료제 시장에 관심을 보여왔다. 이 투자가 일시적인 이벤트 아니라 장기적인 성장 동력 마련의 계기일 수 있다.

광동제약은 2016년 미국 오렉시젠 테라퓨틱스의 ‘콘트라브’를 도입해 판매 중이다. 다만 지난해 콘트라브의 매출은 26억원에 그쳐 부진하다. 전 세계 비만치료제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삭센다에 밀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광동제약이 최근 투자한 마이크로니들은 콘트라브와 시너지를 내는 방향으로 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투자를 시작으로 비만 치료제 개발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수 있다.

광동제약은 자체적으로 합성신약 기반 비만치료제 후보물질 ‘KD101’도 개발 중이다. 2020년 임상 2상을 종료한 후 시험 프로토콜 방안 및 적응증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임상시험을 자체적으로 진행하거나 글로벌 회사에 기술 수출할 계획이다.

광동제약 관계자는 “쿼드메디슨과의 협력을 통해 비만치료제 포트폴리오를 한층 다각화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폭넓은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신약후보물질과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확보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동제약은 타 제약사와의 경쟁우위 요소로 연구개발(R&D)을 꼽고 있다. 광동제약은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개된 보고서(사업내용)를 통해 “제약산업은 전체 제조업 중에서 ‘연구개발비 비중이 높은 산업’”이라며 “신약개발을 진행 중인 연구 집약적 기업들은 15∼20% 정도(매출 대비)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제약산업은 전문의약품 위주의 시장으로 재편되는 추세”라며 “이에 따라 당사는 전문의약품 시장에서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R&D와 영업력 등 핵심 분야의 역량을 키워가고 있다”고 부연했다.

저조한 R&D 투자
업계 최하위 수준

그러나 실제 광동제약은 제약 관련 R&D 투자에 인색하다. 2016년 광동제약은 매출액의 0.8%인 50억원을 R&D에 투자했다. 이어 ▲2017년 1.0% ▲2018년 1.1% ▲2019년 1.3% ▲2020년 1.3% ▲2021년 1.5%다. 5년 째 1%대를 유지하고 있다.


광동제약의 R&D 투자 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1조 클럽에 가입된 타 제약사에 비하면 그 수준은 미비하다. 유한양행·GC녹십자·한미약품·대웅제약·종근당 등의 제약사는 매출액 대비 10~20%를 R&D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그동안의 R&D 분야에 저조한 투자는 결과로 나타났다. 광동제약의 ‘에카렉스현탁액(KDM-1001)’은 지난 2019년 판매를 중단했다. 에카렉스현탁액은 2010년 8월 개발을 완료해 수년간 시장에 공급해 오던 급성·만성 위염 개량신약이다.

수년간 치매치료제 천연물 신약으로 개발하던 연구과제 ‘KD501’ 신약후보물질과 과민성 방광치료제 신약 ‘타라페나신ER’은 모두 임상 2상까지 완료하고, 제품 개발 및 과제 진행을 보류했다.

생수 매출 비중 전체 34.3%나 차지
높은 의존도…판권 넘어가면 타격

성인 대상 비타민D 결핍 치료 합성의약품 ‘비타민D3비오엔주(KDBON-302)’가 있지만, 이마저도 자체 개발 의약품이 아닌 프랑스 제약사 부카라레코르다티에서 완제품 형태로 수입 및 공급하는 비오엔주에 적응증을 추가한 것이 전부다.

이런 상황에 광동제약이 때 아닌 ‘의약품 불순물 초과 검출’ 논란도 빚어졌다. 광동제약이 유통 판매 중인 혈관보강제 일부 의약품에서 불순물이 초과 검출된 것. 

지난 16일 업계 및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 따르면 광동제약이 제조·판매하고 있는 혈관보강제 일반의약품 ‘베니톨정’(미세정제플라보노이드분획물)에서 불순물 니트로소모르폴린(이하 NMOR)이 1일 허용치 초과 검출로 회수·폐기를 조치받았다. 

식약처는 광동제약의 해당 의약품 일부 제조번호와 배치 제품에 대해 회수·폐기 조치하기로 했다. 제조번호는 사용기한이 2022~2023년까지인 제품 전부, 사용기한이 2024년까지인 제품 중에서는 제조번호가 21039, 21040, 21041, 21042, 21068, 21069, 21070인 제품 등이다.

NMOR은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의심되는 발암성 물질로 구분된다. 

식약처는 이번 광동제약 베니톨정의 경우 1일 섭취 허용량을 초과했으나 건강상 큰 위해나 암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건강상 큰 영향이 없는 만큼 의약품 복용을 임의로 중단하지 말고 지속 복용하거나 대체의약품 변경 여부 등을 의·약사와 상담하기를 권고했다. 우려가 있는 경우 기준 이하 제조번호 제품으로 변경을 권고했다.

겹치는 악재들
부회장 결정은?

일각에서는 고 최 회장의 ‘한방의 과학화’라는 창업 이념을 무너뜨리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고 최 회장이 이끌던 광동제약은 다양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등을 개발해 제약사의 초석을 다졌다”며 “그러나 현재 광동제약은 삼다수 의존도가 심하다. 만일 삼다수 판권이 다른 기업에 돌아간다면 매출에 큰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ktikti@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