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이력서> (31·32) 취, 콩

2020.11.11 09:52:42 호수 1296호

사연 많은 음식들

오이, 쑥갓, 가지… 소박한 우리네 밥상의 주인공이자 <식재료 이력서>의 주역들이다. 심심한 맛에 투박한 외모를 가진 이들에게 무슨 이력이 있다는 것일까. 여러 방면의 책을 집필하고 칼럼을 기고해 온 황천우 작가의 남다른 호기심으로 탄생한 작품 <식재료 이력서>엔 ‘사람들이 식품을 그저 맛으로만 먹게 하지 말고 각 식품들의 이면을 들춰내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나름 의미를 주자’는 작가의 발상이 담겨 있다. 작가는 이 작품으로 인해 인간이 식품과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 ⓒpixabay


취나물류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320여종의 산나물 중 60여종으로 가장 많다고 알려져 있는데, ‘취’는 나물을 뜻하는 채(菜)에서 유래됐다고 한다.

즉 나물을 의미하는 ‘채’가 시간이 흘러 ‘취’로 변했다는 이야기인데 참으로 납득하기 힘들다.

‘ㅏ’와 ‘ㅣ’의 합성 모음인 ‘ㅐ’가 ‘ㅜ’와 ‘ㅣ’의 합성 모음인 ‘ㅟ’로 변한 경우는 전례를 찾기 어렵고 또한 이름치고는 너무나 밋밋하기 때문이다. 

하여 사학을 전공한 아내에게 취의 이름이 왜 ‘취’인지 묻자 대뜸 반문한다.


“향기에 취한다 해서 ‘취’라는 이름이 붙은 거 아니야?”라고 말이다.

오히려 아내의 답이 설득력 있다.

지명, 인명도 그렇지만 모든 물체는 그 물체가 지니고 있는 정체성에서 이름이 비롯된다는 사실 때문이다.

아내의 답변에 무게를 두고 고문서를 살피는 중에 취 특히 참취를 가리켜 향소(香蔬)라 지칭하는 대목을 발견하게 된다.

향소는 말 그대로 향기 나는 나물을 의미한다.

아울러 이로 인해 ‘향취’란 단어가 생겨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해본다.

여하튼 이와 관련해 ‘황섬의 스님이 참취를 보내오다’(山僧送香蔬, 산승송향소)라는 작품 중 일부를 살펴보자.

靈苗承雨露(영묘승우로)
신비로운 싹 비와 이슬 맞으며
香葉長烟霞(향엽장연하) 
향기로운 잎 안개와 노을에 자라네 
采出大於掌(채출대어장)
다 자라면 손바닥보다 크고
湘來軟似紗(상래연사사) 
삶으면 비단처럼 연하네 
腥羶非食性(성전비식성) 
비린내와 노린내는 전혀 없고 
山氣爽喉牙(산기상후아)
산기운만 입안 시원하게 해주네

황섬은 취를 지칭해 산기(山氣)를 고스란히 머금은 나물이라 했다.

산기는 산속 특유의 맑고 서늘한 기운으로 취가 바로 그렇다는 이야기다.


이 대목에서 취 관련 흥미로운 전설 하나를 소개한다. 

신라시대 말기 궁예가 철원에 도읍을 정하고자 했을 때 도선대사가 궁예에게 금학산을 진산으로 도읍을 정하라 주문한다.

그러나 궁예는 도선 대사의 조언을 무시하고 고암산을 진산으로 도읍을 정했다.

그러자 금학산이 사흘 밤낮을 울었으며, 그 후로 금학산에서 나는 취는 써서 먹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전설은 단지 전설일 뿐이다.

그러나 동 전설에 굳이 취나물이 등장한 일을 살피면 취의 향을 어느 정도로 평가하고 있는지 능히 짐작할 만하다. 

전설에도 등장한 취, 고평가 되는 취의 향
‘숙맥’의 어원… 콩장·콩자반 옳은 표현은?

콩(콩자반)

앞서 오이 편에서 언급했었던 조조의 아들, 조식의 작품 ‘칠보시’(七步詩)를 소개한다.


煮豆持作羹(자두지작갱)
콩을 삶아 국을 만들고 
漉菽以爲汁(녹숙이위즙) 
콩을 걸러 즙으로 만드려는데
萁在釜下燃(기재부하연) 
콩깍지는 솥 아래서 타고
豆在釜中泣(두재부중읍) 
콩은 솥 안에서 울고 있네
本自同根生(본자동근생) 
본디 한 뿌리에서 낳는데
相煎何太急(상전하태급) 
어찌 급하게 서로 볶는가 

아버지 조조의 뒤를 이어 권력을 장악한 조식의 형인 조비가 조식이 너무 총명해 죽이려 작정하고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으라 명한다.

그러자 조식이 즉석에서 위 시를 지어낸다.

이로 인해 조비는 부끄러움을 느끼고 조식을 살려준다.

위 작품을 살피면 콩을 의미하는 豆(두), 菽(숙)이 등장한다.

豆(두)는 일반적인 콩을, 菽(숙)은 큰 콩 종류를 의미한다.

그런데 위 작품에 우리 민족만이 콩의 의미로 표현하는 太(태)가 등장한다.

이 대목에서 필자는 잠시 고민을 거듭한다. 물론 그 의미를 어떻게 전달해야 하는가의 문제 때문이다.

즉 太를 콩으로 간주하고 해석해야 하는가의 문제였다.

그러나 太는 이 땅에서만 콩의 의미로 사용되기에 그냥 太急(몹시 급하게)으로 번역했다. 

이를 감안하고 菽(숙)과 太(태)에 얽힌 이야기를 간략하게 해보고 콩자반으로 넘어가자.

먼저 숙과 관련해서다.

우리는 어리석고 못난 사람을 가리켜 숙맥이라 한다.

숙맥은 한자로 菽麥으로 콩과 보리를 지칭한다. 

그런데 왜 우리는 이 단어를 부정적으로 사용할까.

이는 바로 숙맥불변(菽麥不辨)의 줄임말이기 때문이다.

즉 콩과 보리도 구분 못한다는 의미로, 그래서 어리석은 사람을 지칭할 때 숙맥이라 표현하는 것이다.

다음은 太(태)와 관련해 서리태와 서목태에 대해 살펴보자.

태에서 이 둘을 비교하는 데에는 나름 이유가 있다.

대개의 사람들이 서리태와 서목태(鼠目太, 일명 쥐눈이 콩)를 동일종의 콩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리태는 霜太(상태)로, 서리 맞은 이후에 수확한 콩으로 서목태보다 크기도 크고 그 효용에서도 여러 차이를 보이고 있다. 

콩과 관련한 이야기는 이쯤에서 접고 콩자반으로 넘어가자. 

필자는 어린 시절 콩자반이라는 용어 대신 콩장이라 지칭했다.

그런데 엄밀하게 이야기해서 콩장이란 표현은 이치에 맞지 않다.

콩장은 豆醬(두장)으로 콩을 주원료로 발효시켜 만든 조미료들을 지칭하기 때문에 콩자반이 옳은 표현이다. 

그렇다면 콩자반 즉 豆佐飯(두자반)이란 용어는 언제부터 사용했을까.

그 시작은 알 수 없으나 김창업의 작품인 ‘연행일기’에 豆佐飯이란 표현이 등장한다. 

이 대목에서 자반 혹은 좌반은 밥 옆에 따른다는 의미로 밥반찬을 지칭하는데, 원래 이름은 콩자반이었는데 시간이 흘러 그 명칭이 콩장으로 변한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가지게 된다. 
 

<계속>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