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리테일 ‘어닝쇼크’ 후폭풍

2020.09.14 10:07:23 호수 1288호

코로나 대목이라더니…초라한 장부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GS리테일의 상승세가 예상보다 이른 시점에 꺾였다. 코로나19의 수혜를 예상했던 시장의 기대는 순식간에 사라졌다. 미운 오리 새끼가 이제야 힘을 내기 시작했지만, 주력 업종의 부진을 메꾸기에는 한계가 명확하다.
 

▲ ⓒGS리테일


GS리테일은 올 초부터 코로나19 수혜 기업으로 분류됐다. 근거리 소비 선호도가 높아진 덕을 톡톡히 볼 것으로 여겨진 까닭이다. 지난해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면서 주목도는 한층 커졌다. GS리테일은 지난해 창사 이래 최초로 연결기준 매출 9조원을 돌파했고,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2.5% 증가한 2388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기대 높이더니
예상치 하회

해가 바뀌어도 GS리테일의 상승세는 올해 1분기까지 이어졌다. 영업이익은 888억원으로 전년 대비 3배가량 급증했고, 매출은 2조14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올랐다. 외형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분기에는 수익성 지표가 한층 좋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편의점(GS25), H&B(랄라블라), SSM(GS더프레시) 등 핵심 사업부 3곳이 재난지원금 사용처로 지정된 효과를 톡톡히 볼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특히 GS더프레시는 해당 업종서 유일한 긴급재난지원금 사용처로 등록되면서 기대를 키웠다.

하지만 결과는 딴판이었다. GS리테일이 공개한 2분기 성적표는 시장의 기대치를 한참 밑돌았다. GS리테일의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5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2%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 역시 전년 동기 대비 4.2% 떨어진 2조2107억원에 머물렀고, 순이익도 38.6% 줄어든 336억원에 그쳤다.


매출·영업이익·순이익의 동반 뒷걸음질은 사업보고서가 공개된 1999년 이래 처음이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편의점 부문의 부진이 생각 이상으로 컸다. 편의점 부문 영업이익은 7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고, 매출은 1조7629억원으로 전년 대비 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른 유동인구 감소 여파로 해석된다.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호텔 부문은 영업손실만 118억원에 달했다. 전년 동기 대비 246억원 가량 뒷걸음질 친 셈이다. 외국인 관광객 감소로 인해 해당 분기 특1급 호텔인 파르나스 코엑스점의 투숙률이 전년 동기 대비 62%p, 비즈니스호텔인 나인트리는 57%p 하락했다.

빨간불 켜진 성장 지체 신호 
공들인 랄라블라 밑빠진 독

영업장 운영시간 단축과 인력 재배치를 통해 운영 효율화를 도모했지만 수익성을 끌어 올리는 데 한계가 분명했다.

그나마 다행인 건 골칫덩이로 분류됐던 SSM 부문이 모처럼 기지개를 켰다는 점이다. SSM 부문은 2016년 161억원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줄곧 영업손실을 벗어나지 못했다. 2018년 적자 규모를 19억원으로 줄이며 반등하는 듯 했지만, 이듬해 손실액이 289억원으로 다시 불어났다.

이 같은 분위기는 올해 들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지난해 2분기에 11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던 SSM 부문은 올해 2분기에 92억원의 흑자로 돌아섰고, 상반기에 거둔 영업이익의 총합은 255억원에 달한다.
 

▲ 허연수 GS리테일 부사장 ⓒGS리테일

대면접촉이 많은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이 역신장한 것과 달리 SSM 부문은 코로나19의 여파로 근거리 소비 선호도가 높아진 덕을 톡톡히 본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25개의 저효율 점포를 정리하면서까지 꾀한 효율화 작업도 일정부분 수익성 향상에 영향을 줬다. 5년 만에 흑자 전환도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그러나 SSM 부문의 상승세는 랄라블라로 대표되는 H&B 부문의 부진과 맞물리면서 상당부분 희석된 상황이다. GS리테일은 2017년 3월 H&B 경쟁력 강화를 위해 왓슨스코리아 흡수 합병을 결정했다. 왓슨스코리아는 GS리테일과 왓슨스홀딩스가 50%씩 지분을 출자해 설립한 기업이었다. 왓슨스코리아 지분을 사들이는 데 투입된 비용은 117억원이다.

간판 바꿔도…
주력사업 부진


왓슨스코리아를 완전히 편입시킨 GS리테일은 이듬해 2월 기존 왓슨스 매장을 랄라블라로 변경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선두업체인 올리브영과의 차별성을 부여하고, 주요 고객인 20∼30대 여성에게 신선한 브랜드로 각인시키기 위한 시도였다.

그러나 랄라블라를 앞세운 H&B 부문의 행보는 기대치를 한참 밑돌고 있다. 흡수합병을 거치며 H&B 부문 공략에 대한 의지를 드러낸 지 3년이 지났지만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외형적 성장이 지체된 건 물론이고 수익성마저 심각하다. 

2018년 1728억원이던 H&B 부문의 매출은 지난해 1627억원으로 5.8% 감소한 데 이어, 올해는 하락폭이 한층 커질 것으로 점쳐진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813억원이던 매출은 올해 상반기에 583억원으로 28.2% 떨어진 상태다. 가뜩이나 GS리테일 연결 기준 매출에서 존재감이 희미했던 H&B 부문의 매출 비중은 2018년 2.0%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1.3%까지 쪼그라들었다.

점포 정리가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된다. 2018년 말 기준 168개였던 랄라블라 점포수는 올해 6월 말 기준 136개점으로 축소됐다. 

잘못된 선택
어긋난 계획

점포수 축소는 효율화 제고 차원서 내려진 결정이었다. 하지만 수익성도 딱히 나아지지 않았다. 2018년 254억원, 지난해 15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H&B 부문은 3년 연속 적자가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올해 상반기까지 누적 영업손실이 95억원에 달한다. 영업손실 81억원을 기록한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적자폭이 17.9% 확대됐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인구의 감소가 궁극적으로 매출 하락으로 이어졌다”며 “점포 효율을 추구하는 과정서 단기적으로 수익성에 차질이 생겼지만, H&B 부문에 대한 투자는 장기적인 관점서 진행된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 GS슈퍼마켓 ⓒGS리테일

더 큰 문제는 GS리테일의 주력 사업서 영속성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점이다. 반기보고서 분석 결과 GS리테일은 올해 상반기 부동산 개발업서 영업이익 54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영업이익(1479억원)의 37%에 해당한다. 부동산 개발업서 수익성이 높아진 건 광교몰 사업시설 매각 자문 용역료 등이 일회성으로 반영됐기 때문이다.

부동산 개발업을 제외하면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932억원으로 전년 동기(976억원) 대비 4.5% 감소했다. 주력 사업인 유통업서 성장 지체가 표면화됐다고 봐도 무방하다. 


대표가 밀어줘도 효과가 영~
빨간불 켜진 성장 지체 신호

안팎에 산재한 위험요인들이 부각될수록 허연수 GS리테일 대표 부회장의 향후 행보에 대한 주목도는 높아지고 있다. 앞서 GS그룹은 지난 1월3일 2020년도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하고 허연수 GS리테일 대표를 부회장으로 선임했다. 

1961년생인 허 부회장은 허신구 GS리테일 명예회장의 아들이자 허만정 LG 공동창업주의 손자로 2016년부터 GS리테일 대표이사 사장을 맡고 있다.

허 부회장의 승진 배경을 두고 업계 안팎에선 GS리테일이 거둔 성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예고된 인사라는 평가가 나왔다. 실제로 허 부회장이 GS리테일을 이끈 지난 3년간 회사가 받아 든 경영 성적표는 이 같은 평가에 설득력을 더했다.

다만 GS리테일이 하반기에도 부진한 행보를 나타낸다면 허 부회장의 경영능력에 흠집이 날 수 있다. 특히 H&B 부문이 아픈 손가락이다.

잘 해왔지만…
리더십 의심

허 부회장은 일찌감치 랄라블라를 GS리테일의 성장 동력으로 점찍었다. 왓슨스코리아를 흡수합병하는 과정서도 허 부회장의 결단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왓슨스 매장을 랄라블라로 개편하면서 내세운 ‘2019년까지 점포수 300개’ 목표는 공염불이 돼 버렸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