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차 리스트는 현 정권의 명운을 가를 수도 있는 상당한 파괴력을 지닌 사건으로 비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번 사건은 현 여권의 권력 관리 실패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더 크다는 지적이다. 또 한상률 전 국세청장의 그림상납 의혹도 미스터리로 남아 있어, 그 실체가 드러날 경우 MB정부는 자칫 ‘비리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뒤집어 쓸 수 있다는 얘기도 나돈다. 박연차 리스트와 한 전 청장의 그림상납 의혹에 MB 핵심측근 인사와 여권 중진인사들이 대거 연루되어 있다는 점만 봐도 이를 가늠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이 권력 핵심 인사들에게 불법 정치 자금을 제공한 사건은 역대 정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형적 권력형비리의 요소를 갖췄다. 여권 핵심 인사들이 대거 연루되면서 현 정권으로서도 뼈아픈 사건이 될 수밖에 없다. 박연차 리스트에 추부길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이 구속된 데 이어 권철현 주일대사, 박진 한나라당 의원 등이 거론됨에 따라 MB정부의 온갖 비리들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태의 심각성이 크다.
박연차 리스트는 비록 참여정부 시절 인사들을 중심으로 로비가 펼쳐진 것이기는 하지만 MB 측근인사들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고위층의 도덕성이 심각하게 훼손됐다는 평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 안팎에서는 MB정부도 ‘비리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뒤집어 쓸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청와대 한 관계자는 “박연차 리스트에 여권 핵심 인사들이 줄줄이 소환되고 있다는 점에서는 당황스럽다”면서도 “성역없이 수사를 해야 한다”고 전했다.
여권 역시 이번 박연차 리스트로 인해 MB정부가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현재까지 거론되고 있는 인사들은 일부에 불과하다는 이유에서다.
여권 한 관계자는 “K 전 한나라당 의원, H·K 한나라당 의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은 후원금을 받거나 개별적으로 돈을 받았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며 “MB 핵심인사인 J·P씨도 연루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추 전 비서관은 “돈을 받긴 했지만 생활비로 썼다”고 주장했던 것처럼 박 회장이 끈 떨어진 인사들 이외에도 MB정부 핵심 인사들에게 대거 돈을 전달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치권 내부 기류다. 또 아직까지 ‘박연차 리스트’가 중간지점에 와 있다는 점에서 수사가 막바지에 다다를수록 MB정부도 무사하지 못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장자연 리스트가 바로 그것이다. 박연차 리스트보다 장자연 리스트가 더 큰 문제로 불거질 수 있다는 게 여권 한 관계자의 귀띔이다.
박연차 리스트, 여권 핵심 인사 줄줄이 거론
한상률 전 국세청장 그림 로비… ‘MB측근’ 연루설
그의 말에 따르면 장자연 리스트에 야권보다 여권 핵심 인사들이 대거 연루되어 있다는 말이 계속적으로 들리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술 접대를 받는 과정에서 고 장자연이 언론의 주목을 받기 전 접대를 받았을 수도 있다’고.
그는 “장자연 리스트에 여권 핵심인사 A·B·C 인사들이 대거 연루되어 있다”면서도 “경찰 수사가 지지부진한 것도 이들이 연루되어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과거에도 정치인과 연예인 간의 유착관계 의혹이 불거진 적이 있다.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지난 2002년 국감장에서 당시 민주당 의원 3명의 ‘성상납 문제’를 거론했던 것. 이에 따라 정치권과 연예인들 간의 유착관계도 얼마든지 형성됐을 수 있다는 시각이다. 자칫 여권 핵심인사들에 대한 소문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MB정부는 치명상을 입음과 동시에 ‘비리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쓰는 것은 시간문제 일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한상률 전 국세청장의 ‘그림 로비’ 의혹에 대한 실체 규명도 흐지부지 되고 있는 분위기다. 인사청탁을 대가로 고가의 그림이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지 두 달이 넘었지만 한 전 청장은 “공부를 하겠다”는 이유로 미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검찰 관계자는 “한 전 청장의 로비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변수가 있어 선뜻 수사에 나서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 때문일까. 한 전 청장의 그림 로비에 대한 의혹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MB정부의 핵심 인사인 D씨에게 그림 한 점이 넘어갔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실제로 한 전 청장이 차장 시절 당시 전군표 국세청장에게 선물한 것으로 알려진 ‘학동마을’ 외에 4점의 그림이 국세청에 더 전달됐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이중 1점은 MB 최측근 인사에게 전달됐다는 얘기가 청와대 안팎에서 나돌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찰은 한 전 청장에 대한 수사를 ‘개점휴업’ 상태로 방치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MB 핵심측근이 연루되어 있어 검찰 수사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검찰이 청와대의 눈치만 보고 있을 뿐 수사를 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한 전 청장의 그림 로비 사건은 여전히 베일 속에 가려져 있다. 또 이상득 의원과 한 전 청장이 골프회동을 했다는 점만 봐도 이 의원에게 권력구도가 모두 몰려 있는 듯하다. 자칫 MB정부도 노무현정부처럼 엄청난 대형사건이 터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국회의원 재산 얼마나 올랐나?
정몽준만 1조 떨어졌네
지난달 27일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여야 의원 292명의 지난해 재산변동 신고내역을 공개했다. 신고내역을 공개한 결과 186명은 증가했고, 105명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동이 없다는 의원도 1명이었다. 또 1억원 이상 재산이 늘어난 의원은 103명, 1억원 이상 줄어든 의원도 62명이나 됐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정몽준 한나라당 최고위원의 재산이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현대중공업 주가하락 등의 영향으로 인해 1조9646억원이 급감했던 것.
실제로 정 의원은 현대중공업 최대주주로서 821만5주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현대중공업 주가가 44만2500원에서 19만9500원으로 크게 떨어진 것이 주된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