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오너들 천문학적 비자금, 적발되면 ‘한 푼도 없어요’

2009.03.17 10:28:04 호수 0호

기업 오너들의 비자금 조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기업 오너로 활동하던 당시 학교와 교회에 기부금 형태로 재산을 축적해놓는가 하면 구조조정을 앞두고 불법적으로 그룹 재산을 빼돌린 혐의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특히 수십조에서 수천억원에 이르는 추징금에 대해 ‘한 푼도 없다’며 납부를 거부하는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추징금은 범죄 행위 또는 그런 행위의 보수로 얻은 물건의 대가 따위를 사법당국이 몰수할 수 없을 경우 대신 징수하는 금전을 말한다.
그 대표적 인물이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이다. 이들 대통령은 각각 1672억원과 342억원을 지금껏 내지 않고 있다. 김우중 전 대우그룹회장의 추징금은 무려 17조9253억원에 달한다. 최순영 전 신동아그룹 회장도 추징금액 1574억원에 이른다. 그러나 김우중 전 회장과 최순영 전 회장의 추징금 납부액은 ‘0원’이다.
최원석 전 동아건설 회장과 정태수 전 한보그룹 회장의 은닉재산도 적발됐다. 2002년 예금보험공사는 최 전 회장 자신이 이사장으로 있으며 부인, 누나 등 특수관계인이 이사로 재직하고 있는 학교법인으로 자신 명의의 대전문화방송 주식 165억원 상당을 무상증여한 사실을 밝혀냈다. 정태수 전 회장 부자도 스위스의 비밀계좌로 빼돌렸다가 예보에 적발되기도 했다.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도 비자금 의혹에 휩싸이기도 했다. 삼성 전 법무팀장이었던 김용철 변호사는 지난 2007년 10월 삼성이 천문학적인 액수의 비자금을 조성, 사법부와 국세청 등 국가기관에 대해 전방위로 금품을 살포하고 법정 증거와 회계 자료 등을 조작했다며 양심선언을 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이건희 전 회장은 특검 조사를 받았으며 경영일선에서 물러나게 됐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