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무주택 가구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집값과 강력한 대출 규제, 1인 가구 증가 등의 요인이 겹치며 사회초년생을 포함한 30대 청년층의 ‘내 집 마련’ 꿈이 갈수록 멀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의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거주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총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1만7215가구 급증한 수치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서울의 30대 무주택 가구는 2015년 약 47만가구에서 2018년 45만가구 수준까지 줄어드는 추세였으나, 이듬해인 2019년부터 상승 전환해 지난해까지 6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증가 폭은 2021년 3000가구 대에서 지난해 1만7000가구 대로 가파르게 커졌다.
반면, 서울의 30대 집주인은 자취를 감추고 있다. 지난해 서울 30대 주택 소유 가구는 18만3456가구로 전년보다 7893가구 감소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5년 23만7000가구 수준이던 30대 유주택자는 꾸준히 감소해, 2023년에는 심리적 저지선인 ‘20만 가구’ 선마저 무뎌졌다.
이에 따라 30대 청년층의 주택 소유율도 바닥을 치고 있다. 지난해 서울 30대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25.8%에 그쳤다. 2015년(33.3%)과 비교하면 10년도 안 돼 7.5%p나 급락한 것이다.
이는 전국 30대 평균 주택 소유율(36%)과 비교해도 10%p 이상 낮은 수치로, 서울의 주거 진입장벽이 유독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서울 아파트값 급등 ▲공급 부족 ▲강화된 대출 규제 등을 꼽는다. 여기에 취업과 결혼 시기가 늦어지며 자산 형성이 더딘 1인 가구가 늘어난 점도 자가 마련 시기를 늦추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청년층의 내 집 마련 의지는 여전히 높다는 점이다. 토지주택연구원이 최근 무주택 청년 1인 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현실의 벽에 부딪힌 청년들은 주거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공공임대주택 공급’(18.6%)보다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과 ‘전세자금 지원’(22.3%) 등 금융 지원을 1순위로 꼽았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서울 집값이 소득만으로는 감당하기 힘든 수준으로 오르면서 30대가 매수 대열에서 이탈하고 있다”며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정책이 이어질 경우, 청년층의 주거 사다리가 끊어지는 현상은 당분간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jungwon933@ilyosis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