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 기자 = 캄보디아 대학생 피살 사건 주범 리광호의 신상이 드러난 데 이어 공범 김천용의 존재가 확인됐다. 김천용은 리광호가 ‘형님’으로 모시는 인물이다. 경찰은 그를 리광호가 속해 있는 조직의 윗선으로 보고 있다. 국내 정보·수사기관은 리광호와 김천용이 캄보디아에서 제3국으로 이동한 정황을 포착하고 추적 중이다.
리광호의 윗선으로 파악된 김천용도 조선족이다. 캄보디아서 사망한 대학생 박모씨에게 강제로 마약을 투약시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특히 대치동 마약 음료 사건의 총책이다. 이들은 주로 범죄단지(웬치) 중 프놈펜 남부 태자단지에서 활동하며 조직 규모를 키워왔다.
묘연한 행방
국내 정보·수사기관은 리광호가 라오스를 포함한 제3국으로 넘어갔을 것이라 보고 추적 중이다. 리광호의 큰형님 격인 김천용도 마찬가지다. 프놈펜에서 “소식이 끊긴 지 오래됐다”는 말이 돌고 있을 정도로 이미 캄보디아를 벗어났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리광호의 신상은 이미 이달 중순부터 텔레그램과 SNS 등을 통해 공개됐다. 1991년생인 리광호는 중국 길림성 훈춘시 출신이다. 키는 160㎝로 단신이며 각진 턱과 짧은 머리가 특징이다. 최종 학력은 초등학교(소학교) 졸업인 것으로 알려졌다.
1981년생인 김천용도 리광호와 같은 중국 길림성 출신이다. 키는 리광호보다 10~15cm 정도 크고 덩치도 있는 편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캄보디아 수사당국은 박씨를 살해한 혐의로 중국 국적 조직원 3명을 체포했다. 앞서 박씨는 지난 7월17일 “현지 박람회에 다녀오겠다”고 한 뒤 캄보디아로 출국한 뒤 연락이 두절됐다가 3주 뒤 깜폿 보코산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캄보디아 캄폿지방검찰청은 지난달 10일 박씨를 살해한 혐의 등으로 이들을 재판에 넘겼으나 핵심 인물은 따로 있다. 이들 조직원 3명은 박씨의 시신을 옮길 때 현장에 있었을 뿐이다.
A씨는 “캄보디아 경찰이 박씨를 살해한 혐의로 리광호를 잡기 위해 지난 8월 그의 은신처를 급습했었는데 리광호가 몇 시간 전에 미리 알고 도주했다”고 말했다.
리광호뿐만 아니라 김천용도 비슷한 시기에 도주했다. 박씨 사건과 연관이 깊은 국내 조직폭력배 출신인 오모씨, 송모씨, 조모씨 등도 잠적한 장소가 특정되지 않고 있다.
중국 길림 출신…리보다 키 크고 덩치 좋아
강남 마약 음료 사건 상선…중국서 진두지휘
김천용과 리광호의 인연은 깊다. 같은 동네에서 태어나 오갈 데 없는 리광호를 보이스피싱 조직에 몸담게 해준 인물이 김천용이다. 리광호가 5년 전 베트남 하노이에서 보이스피싱 조직 내 수익을 빼돌리려던 계획이 탄로 나자 한국으로 탈출하는 것을 돕기도 했다.
김천용에게 충성하는 리광호는 그의 지시에 따라 강남 대치동 일대에 필로폰 4kg 이상을 유통했다. 정보·수사기관도 이 사실을 확인하고 김천용이 강남 대치동 마약 음료 사건의 총책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마약 음료 사건은 지난 2023년 이모씨 등이 필로폰과 우유를 섞어 만든 음료를 강남 대치동 학원가에서 미성년자에게 제공하고 마시게 했던 사건이다. 당시 이씨 일당은 마약 음료 수백병을 만든 뒤 2023년 4월 대치동 학원가에서 ‘집중력 강화 음료’ 시음 행사라며 미성년자 13명에게 제공하고 실제 9명이 마시게 했다.
이후 음료를 마신 학생의 부모에게 연락해 “당신 자녀가 마약 음료를 마셨으니,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협박해 금품을 뜯으려고 시도했다. 불특정 다수의 미성년자를 속여 급성 중독성 마약을 투약하고 부모까지 노린 신종 보이스피싱 범죄라는 점에서 사회적 파장을 불렀다.
중국에 있던 주범 이씨는 사건 발생 50여일 만인 2023년 5월 중국 지린성 내 은신처에서 중국 공안에 검거돼 강제로 송환됐다. 대법원은 지난 4월 이씨에게 징역 23년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마약 음료 제조자 길모씨는 징역 18년, 마약 공급책 박모씨는 징역 7년이 확정됐다.
당시 필로폰을 공급한 중국 국적 총책은 검거돼 캄보디아 법원에서 26년형을 선고받았다.
정보기관 관계자는 “캄보디아는 군을 제외하고 정보기관이 없다. 국정원 해외정보국 담당자들이 추적팀을 꾸려 경찰과 정보를 공유하면서 리광호와 김천용의 위치를 파악하는 중”이라며 “잠적한 장소를 특정해도 해당 나라의 협조가 없으면 검거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실제 캄보디아에 급파된 정보·수사기관 관계자들은 박씨 사건으로 구속 기소된 중국 국적 조직원 3명을 접견하려 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캄보디아 당국에 지난달 말까지 이들에 대한 접견을 요청한 건 총 세 번이다.
50만원이면 ‘밀입국’ 국경수비대 에스코트
정보·수사기관 “관련 첩보 사실 가깝다” 판단
경찰 관계자는 “정부 합동 대응팀 경찰 수사관이 접견해 조사할 수 있도록 캄보디아 경찰청 부청장에게 요청했는데 거절당했고 경찰청 공동조사팀에서도 캄보디아 경찰청 국장에게 부탁했지만 협조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보·수사기관은 캄보디아에서 송환된 피의자들을 통해 총책·관리자급 범죄자들의 행적을 알아보고 있으나 쉽지 않은 분위기다.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송환된 피의자 중 일부는 범죄조직의 지시에 따라 현지에서 외교부 직원과 경찰에게 혐의를 전면 부인함과 동시에 조직적으로 허위 진술을 하기도 했다.
이들이 몸담았던 범죄조직 관리자 A씨는 구금된 조직원 전원에게 “가구 공장에서 일하려다가 잡혔다고 말하라. 혐의를 끝까지 부인하라. 캄보디아 경찰에게 돈을 주고 작업할 테니 모두 풀려나면 시아누크빌에 있는 사무실로 가 같이 이동해 계속 일할 수 있다” 등의 지령을 전달했다.
실제 송환 피의자들은 현지 이민청에 구금된 뒤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 영사, 한국 경찰과의 면담에서 “가구 공장에 아르바이트하러 왔다”며 입국 경위를 거짓 진술하고 혐의를 부인했다.
이들 중 10여명은 영사에게 인적 사항까지 허위로 진술했다.
보이스피싱 조직에 몸담았던 한 제보자는 “캄보디아 현지 경찰에게 500달러를 주고 핸드폰을 초기화하거나 송환될 때 경찰에 ‘현지 경찰에 휴대전화를 빼앗겼다’고 허위 진술을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맘대로 입국
정보·수사기관은 피의자들의 거짓말과 허위 진술로 인해 이미 붙잡힌 이들에게서 유의미한 정보를 얻기 힘들다고 보고 있다.
정보기관 관계자는 “캄보디아에서 미얀마나 라오스로 출입국 기록 없이 밀입국이 가능하다. 국경수비대에 우리나라 돈으로 50만원만 주면 에스코트해준다”며 “김천용 같은 관리자급 주범들이 라오스에 있다는 첩보가 가장 유력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hounder@ilyosisa.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