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쪽 지주사' 후성그룹 승계 과제

2022.04.07 11:01:37 호수 1369호

대관식 앞둔 황태자의 남겨진 퍼즐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후성그룹이 경영권 승계 절차를 밟고 있다. 오너 2세는 십여 년 전부터 착실히 경영 수업을 받았고, 그룹 핵심 계열사 경영을 맡아 능력을 충분히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 다만 지주사 체제는 좀처럼 뿌리내리지 못한 상태다.



후성그룹은 한국내화에 뿌리를 둔 중견 기업집단이다. 1980년대 중반부터 사세 확장에 나선 결과, 지난해 말 기준 한국내화, 후성, 퍼스텍 등 유가증권 상장사 3곳을 비롯한 24개 계열사를 거느린 그룹사의 면모를 갖춘 상태다.

은둔형
알짜재벌

후성그룹은 창업주인 김근수 회장(1948년)과 고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관계로 인해 현대그룹 방계로 분류된다. 김 회장은 정 창업주의 여동생인 고 정희영 여사와 고 김영주 한국프랜지공업 명예회장의 둘째 아들이다. 1980년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수료한 김 회장은 같은 해 한국내화를 인수했고, 1983년 현대그룹으로부터 울산화학을 사들이며 본격적인 경영 행보를 나타냈다.

그룹 계열사 총매출은 1조원을 훌쩍 뛰어넘는다. 특히 상장 3사(한국내화·후성·퍼스텍)가 그룹 총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지난해 말 별도 기준 ▲후성 3053억원 ▲한국내화 2180억원 ▲퍼스텍 1367억원 등 상장 3사의 매출 합계는 6600억원 수준이다.

상장 3사는 건실한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 말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후성 562억원 ▲한국내화 96억원 ▲퍼스텍 43억원 등이고, 특히 후성은 지난해 영업이익률 18.4%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8.7%p 신장세를 나타냈다.


상장 3사가 그룹의 캐시카우라면, 비상장사인 후성HDS는 지배구조의 핵심 축이라고 볼 수 있다. 울산화학에 뿌리를 둔 후성HDS는 2007년 12월 투자자산을 제외한 사업 전체를 후성에 양도했고, 곧바로 현재의 상호로 변경했다.

이후 후성HDS는 계열사 합병을 거치며 지주사 면모를 갖춰가기 시작했다. 그 결과 그룹 내 비상장 계열사 대다수가 후성HDS의 휘하에 놓인 구조가 구축된 상태다.

정리 안 된
그룹 뼈대

덕분에 오너 일가는 후성HDS를 지배함으로써, 나머지 계열사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 2020년 말 기준 김 회장과 그의 아들인 김용민 총괄부회장이 보유한 후성HDS 지분은 90%에 근접한다.

다만 후성HDS는 상장 3사에 대한 지배력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지난해 말 기준 후성HDS의 후성과 한국내화에 대한 지분율은 각각 6.6, 16.8%에 그친다. 심지어 퍼스텍 주식은 전혀 보유하고 있지 않다.

상장 3사에 대한 후성HDS의 미흡한 지배력을 보충하는 김 회장과 김 총괄부회장이다. 김 회장은 ▲한국내화 16.88% ▲후성 12.59% ▲퍼스텍 26.55% 지분을 직접 보유 중이며, 김 총괄부회장 역시 ▲한국내화 8.57% ▲후성 22.76% ▲퍼스텍 17.83% 지분을 들고 있다.

특히 후성의 경우 김 총괄부회장의 지분율이 김 회장을 앞지른 상황이다.

1976년생인 김 총괄부회장은 1999년 워싱턴대학교를 졸업하고, 2006년 코넬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를 거쳤다. 이후 현대해상 뉴저지 지점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고, 후성에 입사해 본격적인 경영 수업을 받았다.

승계 작업이 가동된 건 15년 전 일이다. 2007년 김 회장은 김 총괄부회장에게 후성 주식을 증여했고, 이를 계기로 김 총괄부회장은 순식간에 후성 최대주주로 올라설 수 있었다. 

이 무렵 김 총괄부회장은 후성에서 존재감을 키웠다. 당시 부사장으로서 주로 사업 확장을 담당했고, 2차전지 사업 투자를 주도한 것도 김 총괄부회장이었다. 


2012년 김 회장이 후성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자, 김 총괄부회장의 보폭은 한층 넓어졌다. 후성에서는 송 대표와 공동대표로 선임됐고, 퍼스텍에서과 한국내화에서도 경영을 이끌어왔다.

알짜 회사는 오너 소유
곁가지만 지주사 관할

하지만 김 총괄부회장은 지난해 말 상장 3사 대표이사 직책을 모두 내려놓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후성, 한국내화, 퍼스텍은 ‘오너 경영인-전문 경영인’ 체제에서 전문 경영인 단독 대표이사 체제로 변경됐다.

물론 김 총괄부회장의 영향력은 확고하다. 김 총괄부회장은 대표이사에서 물러났을 뿐 사내이사직은 유지하고 있다. 경영상의 주요 의사결정을 내리는 이사회 멤버로서의 위상은 굳건한 셈이다.

김 총괄부회장의 이 같은 행보는 김 회장과 유사하다. 김 회장은 2012년 한국내화와 후성 대표이사에서 물러난 이후 표면상 경영에서 한발 물러났지만, 여전히 계열사 이사회 등기임원이나 미등기임원으로 이름을 올린 상태다.

재계에서는 김 회장이 언제쯤 김 총괄부회장에게 후성HDS 주식을 넘길지 관심이 높아지는 분위기다. 다만 지주사 지분 승계는 여전히 남아 있는 숙제나 다름없다. 2020년 말 기준 김 회장은 후성HDS 지분 79.98%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등재돼있다. 반면 김 총괄부회장의 지분율은 9.41%에 머물러 있다. 

김 총괄부회장은 승계를 위해서라도 아버지가 보유한 후성HDS 지분이 필요한 상황이다. 상장 3사 주식 일부를  고점에 팔고 이를 통해 증여세 혹은 상속세 제원을 마련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주식 매각이 지배력 감소로 이어질 우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지주사 체제를 뿌리내리는 작업도 이뤄져야 한다.

15년 만에…
확고한 장남

다만 후성HDS가 주력 계열사 지분을 확보하기에는 현실이 녹록지 않다. 지분 매입에 필요한 실탄이 충분치 못한 탓이다. 2020년 말 기준 후성HDS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63억원가량에 그친다.



<heatyang@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