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되면 늘어나는 ‘무릎관절증’

2021.04.27 10:39:23 호수 1320호

무릎 붓고 아프면 위험 신호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고 통증을 유발하는 모든 질환을 무릎관절증이라고 한다. 퇴행성으로 발생하는 일차성 무릎관절증과 외상, 타 질병, 기형 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성 무릎관절증으로 나눌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 간 ‘무릎관절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최근 5년 간 총 진료인원은 2015년 262만1000명에서 2019년 295만1000명으로 12.6%(33만명)가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0%로 나타났다.

60대 많아

남성은 2015년 75만5000명에서 2019년 89만3000명으로 18.2%(13만8000명) 증가했으며, 여성은 2015년 186만6000명에서 2019년 205만8000명으로 10.3%(19만2000명) 증가했다.

2019년 기준 무릎관절증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95만명) 중 60대가 33.0%(97만2000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7.2%(80만3000명), 50대가 19.8%(58만5000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30대까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반면, 4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남성의 경우는 60대 31.6%, 70대 25.6%, 50대 20.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3.5%로 가장 높았고, 70대 및 50대가 각각 27.9%, 19.6%를 차지했다.


박상훈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무릎관절증이 60대 환자에게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퇴행성 변화로 발생하는 일차성 무릎관절증이 가장 흔하며, 이는 50대 이후 점차 발생하기 시작해 연령대가 높아짐에 따라 그 비율은 높아진다. 다만, 70대 이상의 경우 인구 감소로 인해 비율이 낮고, (사망 등의 이유) 인구 분포상 60대가 가장 많다. 퇴행성 변화에 따른 무릎 관절증의 비율은 고령화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다”라고 설명했다.

인구 10만명 당 무릎관절증 질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5742명으로 2015년 5191명 대비 10.6% 증가했으며, 남성은 2015년 2976명에서 2019년 3462명으로 16.3%의 증가율을 보였고, 여성은 2015년 7430명에서 2019년 8040명으로 8.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 당 무릎관절증 질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까지 증가추세를 보였다. 30대까지는 남성이 많고, 4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으며, 70대 여성이 3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박 교수는 “30대까지 스포츠 활동이 여성보다 남성이 많아 이러한 외상으로 인한 무릎의 인대, 연골, 연골판 손상이 남자에서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퇴행성 변화 및 골다공증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빨리 발생하게 되므로, 40대 이상의 퇴행성 슬관절염(일차성 슬관절증)의 경우 점차 여성의 비율이 높아진다”고 밝혔다.

야외활동 활발한 3~5월 주의
‘염증·통증’ 환자 매년 증가

최근 5년 간 무릎관절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5년 1조1399억원에서 2019년 1조6824억원으로 5년 간 47.6%(5424억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0.2%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15년 2256억원에서 2019년 3592억원으로 59.2%(1336억원) 증가해 여성의 증가율 44.7%보다 1.3배 높았다.

2019년 기준 무릎관절증 질환의 건강보험 구성비를 성별·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39.1%(657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33.4%(5611억원), 80대 이상 13.2%(2216억원) 순이었으며, 특히, 30대까지 남성 총진료비가 여성보다 많았고 4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성별로 살펴보면, 2015년 43만 5000원에서 2019년 57만원으로 31.1% 증가했으며, 여성이 남성 진료비보다 높았다. 2015년 대비 2019년 증가율은 남성 34.7%, 여성 31.2%로 유사한 증가율을 보였다. 

2019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70대가 81만9000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남성 및 여성에서도 70대가 각각 55만6000원, 92만3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무릎관절증 질환의 발생원인은 무릎관절을 이루는 뼈, 연골, 관절막, 연골판, 인대, 근육 등에 손상이 생기면서 통증 및 운동장애와 변형이 생기게 된다. 이는 퇴행성 변화로 발생할 수 있고, 이외에도 외상이나 세균 감염 등을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주요증상으로는 무릎의 통증, 부종, 운동범위의 감소가 원인이다. 이외에도 열감, 시큰거리거나 찌릿찌릿한 느낌, 힘이 빠지는 느낌 등 다양한 양상을 보일 수 있다.


퇴행성으로 인한 무릎관절증의 경우, 초기에는 약물치료, 주사 치료,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우선으로 한다. 행성 관절염이 심하게 진행되는 경우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한다.

퇴행성 변화

예방을 위해서는 무릎 주변의 근력강화 운동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무리한 운동보다는 수영, 걷기, 자전거타기 등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좋으며, 체중관리도 무릎 손상 예방에 도움이 된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