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트렌드 리포트<1>

2020.12.21 09:35:01 호수 1302호

식료품, 편하고 빠르게

1인 경제를 뜻하는 ‘1코노미’가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국내 1인 가구는 식료품 구매 시 대형마트 외에도 편의점, 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채널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빠른 배송과 저렴한 가격을 내세운 소셜 커머스의 이용률이 최근 3년 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리서치 오픈서베이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1인 가구 트렌드 리포트 2020’을 발표했다. 이 조사는 국내에 거주하는 20~59세의 1인 가구와 다인 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리포트에 따르면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공통으로 대형마트 및 동네슈퍼가 주된 식료품 구매 채널인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1인 가구는 편의점에서의 식료품 구매가 다인 가구 대비 활발했고, 소셜 커머스에서의 식료품 구입이 최근 3년 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 중 20~30대는 편의점과 소셜 커머스, 40~50대는 동네슈퍼를 이용하는 비중이 큰 편이었다.

편의점·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채널 이용해 구매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모두 쇼핑 채널을 선택할 때 ‘접근성’‘저렴한 가격’‘타 제품 구입 가능’을 중요하게 여겼고, 1인 가구는 특히 ‘빠른 배송’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는 주 채널에서 가공식품, 생수·음료, 반찬·간편식 구매가 많았고, 다인 가구는 정육·계란류, 채소, 과일·견과, 수산·해산물 구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편으로 나타났다.

또, 1인 가구는 저렴한 가격과 프로모션·할인 때문에 대형마트를 이용하고, 마일리지나 포인트 적립 때문에 편의점을 이용하는 비중이 다인 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다. 식료품 구매 시 고려하는 요소로는 1인 가구는 ‘구입 편리성’과 ‘용량’에 대한 고려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1인 가구의 89%가 1인용 또는 2인용의 소용량을 선호했다. 반면, 다인 가구는 ‘맛’과 ‘신선도’에 대한 고려도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간편식 구매 빈도 및 이용 면에서는 1인 가구는 주 2.6회 간편식을 구매하고, ‘혼자 먹기 편하고’ ‘보관 후 필요 시 바로 취식’ 가능한 점 때문에 이용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반면, 다인 가구는 주 2.3회 간편식을 구매하고, ‘보관 후 필요 시 바로 취식 가능’하고, ‘빠르게 취식 가능’하며, ‘요리의 귀찮고/어려움’ 때문에 이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간편식 구매 품목은 1인 가구는 가공밥, 김밥/삼각김밥, 즉석찌개 및 국류, 만두류, 면류 등의 구입이 활발했다. 향후 간편식 지속 구매 의향은 1인 가구, 다인 가구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배달음식 구매 빈도는 1인 가구는 주 1.5회 배달 음식을 이용하고, ‘요리가 귀찮거나/어렵고’ ‘혼자 먹기 편해서’ 이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다인 가구의 배달음식 이용 빈도는 1인 가구와 유사했지만, ‘요리의 귀찮고/어려움’과 ‘외식의 번거로움’  ‘빠르게 취식 가능’한 점이 주된 이용 이유로 꼽혔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