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세의 골프 인문학> 골프를 대하는 대통령 온도 차

2022.02.21 10:18:20 호수 1363호

얼마 전 세상을 떠난 전두환 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가운데 골프를 가장 많이 즐겼다. 그만큼 골프에 관한 한 말도 많았다. 전 전 대통령은 1983년 청남대에 파4 홀 2개 크기 부지에 5홀의 그린을 만들어 9홀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간이 골프장은 파3, 140m인 9홀을 제외한 나머지 홀을 2홀씩 짝을 지어 그린 하나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이중 그린 형태였다. 5번과 8번 홀은 각각 353m, 355m 거리의 파5 홀이었고, 파3 2개, 파4 홀 5개 등으로 구색을 갖췄다.

담 쌓거나

골프 마니아였던 전 전 대통령은 정석 스윙을 배우기 위해 노력했다. 담당 캐디들에 의하면 드라이버 비거리가 250m에 달했고, 핸디는 80대 중반이었다.

대통령 재임 시절에는 골프를 많이 자제했다. 덕분에 공무원들도 눈치를 보면서 골프를 쳐야 했다. 측근이 애로사항을 전하자 그는 “내가 언제 골프를 치지 말라고 했나”라며 “한 번 나가면 경호 비용까지 400만원을 써야 하니 나만 안 치겠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주최로 골프대회를 열고 군 인사를 초청하는 등 나름대로 골프를 장려했다. 다만 일부 측근은 “일은 안하고 골프만 쳤다”는 소리를 들을까봐 핸디를 조절하기도 했다.


전두환, “나만 안 하겠다”
김영삼, 혹독했던 금지령

전 전 대통령은 퇴임 후 골프를 더 많이 쳤고, 구설수에도 많이 올랐다. 1992년 6월16일 퇴임 이후 처음으로 경기도 화성의 기흥골프장에서 5공 시절 각료들의 모임인 무궁화회 27명 회원이 모인 가운데 골프대회가 열렸다.

그는 조용히 골프를 치기보다는 대규모 인원을 동원해 시끌벅적하게 골프를 쳤다. 골프장 측은 전두환의 일행들이 골프를 칠 때는 늘 앞뒤 한 홀을 비워 그의 라운딩 리듬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배려를 했다.

‘대통령 골프’라는 신조어는 이렇게 전 전 대통령에 의해 만들어졌다. 1994년 현 블루원 용인의 전신인 태영 골프장에서 일어난 해프닝이다. 그날따라 골프장 측이 유난히 회원들을 재촉했다. 헐레벌떡 라운딩을 마친 회원들이 씩씩거리며 불만을 터뜨렸다.

알고 보니 전두환 일행 8팀(경호원 2팀, 이순자 2팀, 전두환 2팀, 다시 경호원 2팀)이 골프를 시작했는데, 골프장 측이 앞뒤로 한 홀씩을 더 비우면서 총 10개 홀을 차지한 것이었다.

가진 재산이 29만원에 불과했다던 그는 무려 30여곳의 골프장에서 VIP 대접을 받으면서 20여년간 골프를 즐겼다. 그는 개별 소비세와 교육세 2만원만 내고 골프를 쳤다. 경기도 용인 아시아나 소유 컨트리클럽, SK그룹 소유 제주 핀크스, CJ그룹 소유 제주 나인 브릿지, GS그룹 소유 앨리시안 컨트리클럽 등이 전직 대통령 예우를 해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가족이 보유했던 회원권이 골프장 시세 흐름에 변동을 줄 정도였다. 차남인 전재용씨와 처남 이창식씨 부부가 소유했던 서원밸리 회원권만 142장에 달했다. 한 장에 1억7000만원이던 회원권은 총액수만 200억원에 가까웠다.

전 전 대통령은 골프장에서 인심이 후했다. 라운딩 도중 풀을 뽑는 아주머니를 보면 즉석에서 금일봉을 전달하기도 했으며, 프로 선수들에게도 후한 용돈을 주곤 했다.

그의 부인은 강남 300클럽 모임에서 홀인원 기념으로 고가의 나무를 심어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2012년 8월 한 달 간 대부도의 아일랜드 리조트에서 장세동 전 경호실장 등과 함께 라운딩을 하며 측근들과 파티를 열기도 했다.

9사단장 시절부터 골프를 친 노태우 전 대통령은 테니스와 럭비 등을 섭렵했던 만능 스포츠맨이었다. 그의 재임 시절 전국의 골프장 허가 건수만 138건에 이르자, 노태우정부를 두고 ‘골프 공화국’이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김대중, 골프 대중화 앞장
노무현, 진지한 스윙 연습

하지만 노태우 전 대통령은 ‘보통 사람’이라는 이미지 관리 때문에 서너 달에 한 번 정도만 골프를 친 것으로 알려졌다. 핸디캡은 20 수준이고, 주로 청와대 골프 연습장에서 김옥숙 여사와 함께 부부 라운딩을 즐겼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골프와 담을 쌓았다는 이미지와 달리, 때때로 골프는 즐겼다. 통일민주당 총재 시절인 1989년 10월에는 김종필 전 총리와 안양 베네스트골프장의 전신인 안양CC에서 27홀을 라운딩을 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드라이버를 치면서 엉덩방아를 찧을 정도로 문외한이었지만, 골프를 치면서 정치적 이해관계를 풀었다. 김종필, 노태우, 김영삼 세 사람은 골프 회동을 거쳐 3당 합당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재임 시절에는 오히려 골프 금지령을 내렸고, 공직자와 모든 공무원에게 골프를 금지시켰다. 골프를 사치성 스포츠로 몰아 많은 세금까지 물리게 했고, 청와대 골프 연습장까지 철거했다. 자신도 대통령에 당선된 뒤부터 골프와 담을 쌓고 지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골프 대중화에 앞장섰다. 그의 재임 시절에 골프가 귀족 놀이가 아닌 레저 스포츠로 인식되면서 차차 대중들에게 파고들기 시작했다.

몸이 불편해 자주 골프를 즐기지 못했지만, 골프에 대한 배려는 역대 어느 대통령 못지않았다. 재임 시기는 박세리, 최경주, 박지은, 김미현 등 골프 1세대들이 미국에서 활약하던 때와 맞물린다. 그는 미국에서 선전하던 프로선수들을 청와대에 초청해 격려하기도 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역시 골프 대중화에 앞장섰다. 1983년 만들어 진 이후 20년간 대통령 전용 골프장으로 쓰였던 청남대를 개방했고, 2005년 충남 계룡대에 골프장과 별장이 만들어졌다.

청남대 개방을 앞두고 각 정당 대표를 초청해 라운딩을 하기도 했다. 전반 9홀의 스코어는 53타로 그다지 나쁘지 않았고, 라운딩 후 소감에서 골프를 ‘재미있는 운동’으로 말했다. 그럼에도 재임 기간에 그다지 골프를 많이 접하지 못했고, 늘 100타 수준이었다.


태릉CC에서 생전 처음으로 94타를 쳤던 것으로 전해진다.

권양숙 여사는 남에게 뒤지지 않을 정도의 보기 플레이어 수준이었다. 노 전 대통령의 골프 스승까지 자처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인의 응원에 힘입은 노 전 대통령은 골프책과 비디오 등을 통해 스윙을 분석했다.

즐기거나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동안 골프보다는 테니스를 즐긴 대통령이었다. 골프는 그가 현대 그룹에 근무하던 시절에 자주 즐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래전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과의 라운딩에서 정 회장이 홀컵에 붙였음에도 불구하고, 컨시드를 안 주고 “마무리하시죠”라고 말해 동반자들을 놀라게 했다는 일화도 있다. 그의 핸디는 80타 중반 정도로 수준급이었다.


<webmaster@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