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연재> 3대 배우 집안 ‘내조의 여왕’ 진송아만 아는 이야기①

2021.11.30 11:32:50 호수 1351호

연기 버리고 연기자를 품다

배우 박준규의 아내로 더 잘 알려진 진송아가 자신의 삶의 여정을 담백하게 전합니다. 3대가 배우의 길을 걷는 가운데, 주위의 남자들을 내조해온 진송아의 시선으로 우리네 일상을 되돌아봅니다. <편집자 주>



16년째 사는 우리 동네 사우나는 내 아지트다. 남들은 건강을 위해 걷기나 필라테스를 한다는데, 어차피 땀 빼는 건 매한가지 아닌가. 운동하는 셈 치고 사우나에서 삶의 노고를 보상받는다.

사우나에 있다 보면, 내 주위를 맴도는 여성들을 발견하곤 한다. 계속 힐끔거리면서 나를 쳐다본다. 그들의 얼굴에는 ‘맞나? 아닌가? 맞는 거 같은데’라고 쓰여 있다. 그러면 대뜸 말한다. ‘네. 맞아요’라고.

그러면 ‘제가 바깥분 팬이에요’라며 나를 반긴다.

가끔 있는 일이다. 남편 따라 방송에 자주 나가다 보니, 이렇게 알아보는 경우가 생긴다. 이젠 제법 익숙해져서 내가 먼저 말을 꺼내기도 한다. 

배우가 되고 싶어했던 소녀는 어느덧 두 아이의 엄마가 됐고, 이루지 못한 꿈의 아쉬움을 이렇게 풀곤 한다. 진송아라는 이름보다 박준규 아내로 더 알려졌다.


이제는 그동안 가려졌던 진송아의 인생을 슬며시 꺼내 보려고 한다. 

예쁜 게 좋았고, 예쁘다고 하면 더 좋았던 나의 10대 시절 우연히 관람한 뮤지컬이 내 인생을 바꿔놓았다. 제목은 <사운드 오브 뮤직>.

무대에서 울려 퍼지는 청아한 목소리와 배우들의 인상적인 연기, 걷어지는 커튼콜에 쏟아지는 환호와 박수는 내게 설렘과 충격을 동시에 안겨줬다. 나도 저 자리에 서고 싶었다.

그날부터 내 마음은 무대로 향했다. 부모님과 선생님의 말씀을 듣는 게 우선이었던 내 삶에 뜨거운 소망이 자리하게 됐다. 

무대를 향한 멈출 수 없는 열병이 시작됐다. 가슴이 쿵쾅거려 잠을 이룰 수 없었다. 지금이야 명문 학교가 됐지만, 당시에 지원하고자 했던 계원예고는 학교에서 원서조차 써주지 않던 작은 학교였다.

꿈을 이루고자 부모님을 설득했는데, 선생님이 가로막았다. 무대에 오르는 길은 처음부터 쉽지 않았다. 선생님의 고집마저 꺾고 우여곡절 끝에 계원예고에 입학했다. 3일간 무단결석을 한 게 ‘킬 포인트’였다.

내가 하고 싶었던 분야를 배운다는 건 그야말로 신세계였다. 모든 게 신기하고 행복했다. 당시에는 흔치 않았던 남녀공학도 흥미로웠다. 연기실습, 연극이론, 탈춤 등등 모든 수업이 즐거웠다. 일반 교과목 수업에 실기까지 병행하니 몸은 늘 녹초가 됐지만, 나만을 위해 가장 열심히 살았던 3년이 아니었을까.

학교 가는 기분은 늘 소풍 가는 느낌이었으니. 

3년 만에 결실은 중앙대 연극영화과 입학으로 이어졌다. 대망의 입학 날, 나는 충격에 빠졌다. 난 내가 꽤 예쁜 애인 줄 알았는데, 김희애와 전인화, 조용원, 박중훈까지. 지금도 레전드인 그 친구들을 보는 순간 아차 싶었다. 예쁜 거로 경쟁하기엔 내가 너무 작다는 걸 직감적으로 느꼈다. 

대학생활은 더 악착같았다. 전략을 세웠다. 리포트 30장을 써오라면 300장을 썼고, 도서관을 제집 드나들 듯 다녔다. 국립 미술관이나 프랑스 대사관처럼 학생이 드나들기 어려운 곳도 교수님이 언급만 하면 어디든 갔고, 하루에 네 편의 영화를 보기도 했다.


누벨바그라는 스터디 모임을 만들어 공부도 미친 듯이 했다. 

누구보다도 열심히 학교 생활에 매진했다. 열심히 했던 게 독이 된 걸까 4학년 때는 공황상태에 빠졌다. 다음 목표가 없었기 때문이다. 주어진 대로 열심히만 하면 당연히 배우가 되는 줄 알았다. 준비운동만 열심히 했던 거다.

당황스러웠다. 공채 탤런트 시험을 보기에는 예쁜 친구들이 많았고, 대학로 극단에서 시작하기엔 자존심이 상했다. 운명처럼 알게 된 서울예술단이 희망의 한 줄기 빛이었다. 재즈댄스에 목숨을 걸었다. 단원이 돼 발레와 무용, 성악까지 배우게 됐다.

공연이 있을 때면 도시마다 다니며 시립 문화회관에서 공연했다. 

얼마나 고된 시간 끝에 일궈낸 결실인가. 예술을 사랑했던 나는 당시 만나고 있던 남편 박준규와도 뜨겁게 사랑을 나누고 있었다. 

연기자로서 예술단원으로서 삶을 준비하고 있던 내게 장차 될 시아버님의 엄명이 떨어졌다. ‘한 집안에 배우가 둘이어서는 안 된다.’

한 명은 내조해야 한다고 했다. 지금이야 아무리 시아버지라도 그런 제안을 하기 어려운 시대지만, 30년 전에는 그리 놀랄 일도 아니었다. 사랑에 눈이 먼 나는 단번에 꿈과 남편 중 남편을 택했다.

뮤지컬 배우가 되고 싶었던 소녀는 꿈을 이루기 위해 무던히 애썼지만, 지금의 나는 평범한 애 엄마에 지나지 않는다. 사람들은 ‘후회는 없냐’고 물어본다. 당연히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미련이 왜 없으랴. 배우로 또는 감독으로, 제작자로 자기의 길을 멋지게 가고 있는 친구들을 보면 가끔 서글퍼지기도 한다. 

아쉬움은 그게 전부다. 남편을 선택하고 달려온 지금의 내 모습도 멋지다고 나를 다독인다. 시부모님을 모셨고, 남편을 근사하게 내조했다. 배우의 길을 걷는 두 아들은 어디 가서도 부끄럽지 않게 예쁘게 컸다. 더 바랄 건 뭐가 있을까.


무대의 주인공은 아니지만, 내 인생의 주인공은 나라고 자부하며 스스로를 칭찬한다. 내 대신 무대의 주인공이 된 남편을 빛나게 해주는 것 또한 진송아가 아닌가. 남편은 내게 고마움을 느끼고 늘 감사하다고 표현한다. 내가 주인공이 아니면 어떤가, 행복하다면 괜찮지 않을까.

늘 이렇게 주위를 헤아려보며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이고 싶다. 특별한 사람이 어디 있나. 누구나 다 특별한 인생을 살고 있는데. 특별한 내 인생 이만하면 됐다. 


<intellybeast@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