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오만가지' 이원호

2021.11.04 00:00:00 호수 1347호

연기자 7인의 ‘네버 엔딩 스토리’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애 소재한 자하미술관에서 이원호 작가의 개인전 ‘오만가지’를 준비했다. 이원호는 사회구조와 그 구조를 구분 짓는 경계에 관심을 두고 작업을 이어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한 인물이 보여주는 오만가지 이야기와 생각, 그리고 사건과 경험, 후일담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이어지는 ‘네버 엔딩 스토리’를 보여줄 예정이다. 



이원호는 이번 전시에서 탑골공원 인근 국밥집에서 들은 무용담을 모티브로, 7명의 필자와 공동작업을 통해 49개의 이야기를 만들고 7명의 연기자가 연기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한 인물의 이야기는 작가와 연출자, 그리고 배우의 협업을 거쳐 실재와 허구의 판타지 사이에서 허구의 캐릭터로 변화한다. 

고백과 독백

미술평론가 김노암은 “연출과 배우가 서로 충돌하고 상호 개입해 시간의 흐름 속에 점차 변화하면서 최종적인 캐릭터가 완성돼가는 중간 과정을 보여준다”고 이원호의 작업에 대해 설명했다. 배우와 연출자, 이원호 3인이 스토리텔링에 개입하고 삼투하면서 잠정적 합의에 도달한 인물의 성격, 그 인물의 진정한 자아를 발견해나가는 과정이라는 것. 

작품은 고백 또는 독백의 형태로 진행되지만 실제 작업과정은 다수 협업의 결과물이다. 일종의 페이크 독백이다. 또 다르게 생각하면 한 개인의 내면에서 울리는 복수의 자아일 수도 있다. 하나의 근대적 자아가 아니라 분열되는 자아를 드러내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고백의 형식을 빙자한 독백이다. 

한 인물의 서사에 주목
사건과 경험, 후일담까지


이 독백은 기억의 명료함과 모호함이 뒤엉키며 기억의 차이들을 연결해 하나의 도도한 무용담을 구성한다. 이때 청자는 온전히 수동적 수용자로만 남는다. 화자는 회고 형식을 빌려 자신이 경험한 다수의 시간과 공간이 만나는 기억의 장소들을 건너뛰고 교차편집하며 의견을 제시한다. 

화자의 이야기는 분명하게 각인된 뚜렷한 기억과 다른 사건, 경험의 침입으로 오염되거나 흐릿해진 기억이 공조하며 만들어낸 드라마다. 이 드라마는 무수한 이야기의 갈래 속에서 매번 극적이고 영웅적인 방향으로 흘러간다. 심오한 의미와 예지가 가득 찬 입체적인 사건의 풍경을 펼쳐 보이는 것이다. 

탑골공원 국밥집에서 영감
작가와 연출자, 배우 협업

김 평론가는 “이원호는 이런 전 과정을 기획하고 기록하며, 협업하고 영상화한다”며 “49개의 이야기는 산술적 의미를 넘어 인간의 각양각색 모든 이야기를 모았다는 은유다. 생활의 땀과 피, 눈물, 희로애락이 화학 작용하는 존재 경험의 서사기도 하다. 그것이 아무리 상투적이고 뻔한 이야기라 할지라도”라고 말했다.

이원호의 작업에서는 완성된 캐릭터들이 변화를 거듭하는 49편의 이야기를 통해 화자와 이야기의 간극을 보여준다. 오만가지 이야기, 오만가지 생각, 오만가지 사건과 경험, 후일담 등 이야기는 끊임없이 다른 일화로 넘어가면서 끝나지 않고 이어진다. 

캐릭터 변화

자하미술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사회와 역사 그리고 개인이 만나는 거대한 서사시 속에서 유기적으로 얽혀 있는 개인의 무용담에 주목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타자와의 다름과 차이를 인지하고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승화시키는 과정을 조명한다”고 전했다. 전시는 다음달 30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이원호는?]

▲1972년생


▲학력
슈투트가르트 쿤스트 아카데미 조소과Aufbaustudium(마이스터슐러) 과정 졸업(2009)   
슈투트가르트 쿤스트 아카데미 조소과 석사과정 졸업(2007)
홍익대학교 회화과 대학원 졸업(1999)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1997)

▲개인전
‘모씨이야기’ 523쿤스트독(2020)
‘너만 괜찮다면 나는 괜찮아’ 카이스트 리서치 앤 아트 갤러리(2019)
‘적절할 때까지’ 페리지 갤러리(2019)
‘빈혈이 지나는 통로’ 낙원 417(2017)
‘The weight of the vacuum’ Yumiko Chiba Associate(2017)
‘진품명품전(傳)전’ 금천예술공장 PS333(2015)
‘I’m not there’ 김종영 미술관(2014)
‘Between looking and seeing’ Brigitte march gallery(2014) 외 다수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