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의 계절’ 전방 십자인대 파열 주의보

2021.04.12 09:27:49 호수 1318호

갑자기 뛰면 무릎 나간다

전방 십자인대 파열이란 슬관절 전면에 부착된 전방 십자인대가 끊어진 상태를 말한다. 파열된 상태로 장시간이 경과되면 반복되는 관절의 비정상적 전방 전위에 의해 관절사이의 반월상연골이 파열되고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 간 ‘전방 십자인대 파열’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최근 5년간 총 진료인원은 2015년 3만8000명에서 2019년 4만1000명으로 6.3%(2407명)가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5%로 나타났다.

‘퍽’

남성은 2015년 3만명에서 2019년 3만1000명으로 4.8%(1435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8000명에서 2019년 9000명으로 11.6%(972명) 증가했다. 
2019년 기준 전방 십자인대 파열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4만1000명) 중 20대가 31.5%(1만3000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0.6%(8000명), 40대가 16.5%(7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60대까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반면, 7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남성의 경우 20대 35.4%, 30대 22.9%, 40대 15.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4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0.8%로 가장 높았고, 50대 및 20대가 각각 20.3%, 18.7%를 차지했다. 특히, 진료인원이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박상훈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무릎 관절 안에는 전방십자 인대와 후방 십자인대가 있으며, 십자인대는 허벅지 뼈와 정강이뼈를 잡아줘 무릎 관절이 앞뒤로 많이 흔들리지 않게 안정시켜주고, 회전 운동에 있어서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빠른 속도로 달리다가 갑자기 속도를 늦춰 멈출 때, 급작스럽게 방향을 바꿀 때, 점프 후 착지할 때 무릎 관절이 뒤틀리면서 과도한 충격과 회전력을 받아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될 수 있다. 중년 이후에는 퇴행성 변화로 인대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파열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명 당 전방 십자인대 파열 질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 79명으로 2015년 75명 대비 5.3% 증가했으며, 남성은 2015년 117명에서 2019년 121명으로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33명에서 2019년 37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진료인원 6%↑…사전 스트레칭 필수
파열된 상태로 장시간 경과시 퇴행성 관절염

인구 10만명당 전방 십자인대 파열 질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가 1만2800명으로 가장 많았다. 남성은 20대가 1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40대가 2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퍽’ 또는 ‘뚝’하는 파열음과 함께 무릎 관절 안에 피가 고여 손상 부위가 붓고 통증이 발생한다. 
부상 직후에는 무릎을 잘 구부리기가 힘들고 발을 딛기도 버겁다. 며칠이 지나면 부기가 가라앉고 통증이 줄어들기 때문에 타박상으로 오인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다. 전방 십자인대 파열을 방치하면 활동 시 무릎 관절이 자주 어긋나는 느낌을 받고, 통증 때문에 생활이 불편해질 수 있다. 십자인대 파열은 정도에 따라 완전파열과 부분파열로 나눌 수 있다.
완전파열의 경우 회복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인접한 반월상 연골판이나 관절 연골의 손상까지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활동적인 환자들에게는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분파열은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지만, 나이와 활동 정도를 고려해 보조기 착용과 재활운동만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재활

스포츠 운동 중 무릎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 전에 스트레칭으로 경직된 관절관 근육을 충분히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할 때는 무리한 점프와 방향전환을 자제하는 것이 좋겠고, 운동 후에는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며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평소에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켜주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도움된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