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통계> ‘통일’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2.09.07 14:39:05 호수 0호

아직도 우리의 소원은 통일?

[일요시사=김설아 기자] 김정은 체제의 북한이 과거와는 다른 정치, 경제적 행보로 주목 받고 있다. ‘파격’이라고까지 불리는 최근 움직임을 개혁의 발걸음으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북한이 경제 회복 및 시장경제 도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이와 맞물려 남북관계의 향방에 대한 다양한 담론들이 나오고 있다. 그중에서도 ‘통일의 가능성’에 대한 문제는 국민관심사다. 그렇다면 실제 우리나라 국민들은 ‘통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우리의 소원은 통일 꿈에도 소원은 통일∼” 지난 수 십년간 국민 애창곡으로 사랑받던 이 노래와 지금 사회 현실의 괴리가 적지 않다. 국민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이 과거와 극명하게 달라지면서 통일로 가는 길은 여전히 멀고도 험난해 보인다.



통일? 누구 맘대로!

시장조사전문기관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통일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 10명 중 2명만이 반드시 통일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에 대한 조사결과, 전체 56.1%가 가끔 뉴스나 기사를 보게 되면 관심을 가진다고 응답하였고 항상 통일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응답자는 35%로 이보다 적었다. 별로 관심이 없다는 응답자도 8.1%였다.

남북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64.8%가 통일이 되면 좋겠지만 무리하게 할 필요는 없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해 반드시 통일이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은 25.2%에 머물렀으며, 9.2%는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하였다.

전체 75.8%가 여전히 우리는 북한과 한민족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지만, 절대적으로 통일이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인식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직장인 김모(29·남)씨는 “자신의 기득권을 조금도 희생하거나 양보하지 않으면서 갈라진 조국을 다시 하나로 묶는다는 것은 물과 기름을 엉키게 하겠다는 말이나 다름없다”라면서 “협상이고 대화고 처음부터 불신으로부터 시작되어왔는데, 이제 와서 통일이라니 차라리 안 되는 게 낫다. 되더라도 100년 뒤 쯤 이 세상에 내가 없을 때 됐으면 좋겠다”고 부정적인 생각을 밝혔다. 

통일이 되면 우리나라가 강대국이 될 것이라는 의견에는 56.9%의 응답률을 보였지만 통일이 자신의 삶에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의견은 35.8%에 머물러 눈길을 끌었다.

국민 10명중 6명 “무리한 통일은 필요 없어”
가장 우려되는 점…소득 양극화로 인한 빈부격차

이러한 결과는 많은 국민들이 현재 분단 상황이 한국사회의 경제, 정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통일이 되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될 것이라는 점에는 공감함을 보여준다.

하지만 동시에 이는 국민들이 무리한 상황까지 감수하면서 반드시 통일을 이뤄야 한다는 생각에는 예전에 비해 공감하지 않으며 통일 문제를 사회적인 측면과 개인적인 측면에서 각각 분리하여 바라보는 시각이 존재함을 알 수 있게 하는 결과다.

통일이 필요한 가장 큰 이유로는 분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어서(64.7%·중복응답)가 가장 많이 나왔고 통일 후 경제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어서(51.2%)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우리는 단일 민족이기 때문에 통일이 돼야 한다는 응답(26.9%)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이산 가족의 고통을 줄여 줄 수 있다(202%)는 의견도 낮게 나타났다.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관계자는 “과거에는 한민족이니까 당연히 통일이 이뤄져야 한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현재는 민족적, 정서적인 이유보다 경제적 정체적인 상황이 더 고려되는 부분”이라며 “이미 북한과 한민족이라는 의식이 서서히 단절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통일 후유증’ 걱정

한편 남북통일의 가장 큰 장점을 물어보는 질문에는 ‘전쟁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어서’(63.2%, 중복응답)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그 뒤를 ‘군사비용 등의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점’(61.4%), ‘북한지역에 매장된 자원 활용으로 경제적 성장 기대 가능’(45.5%), ‘중국과 미국, 일본 등의 개입 감소’(29.8%) 등이 이었다.

반면 남북통일 시 가장 우려되는 점을 물어본 질문에는 ‘소득 양극화로 인한 빈부격차’(45%, 중복응답), ‘이데올로기 차이로 인한 가치관 혼란’(42.4%), ‘생활수준의 차이로 인한 혼란’(42.4%) 순의 응답이 나왔다.


이에 대해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관계자는 “더 훗날의 경제적·정치적 이득을 기대할 수는 있겠지만, 통일 직후에 빚어지게 될 계층간, 지역간의 경제적, 정치적 갈등에 대한 우려가 상당한 것을 알 수 있다”며 “통일 이후에 대해서도 대부분이 북한에서 살 생각이 없다거나 북한에서 직업을 구할 생각이 없는 등 부정적이었다”고 말했다.

해방 이후 반세기를 훌쩍 넘긴 분단 상황 속에서 ‘우리의 소원’이라고 외치던 통일에 대한 염원이 점점 옅어지고 있다. ‘우리는 한 민족이다’는 생각도 중요하지만, 좀 더 세밀한 논의가 필요한 요즘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