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코디 1세대 ‘STCO’ 저무는 신화

2021.04.30 11:37:04 호수 1320호

제자리 맴돌다 뒷걸음질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에스티오가 기대치를 밑도는 성적표를 공개했다. 제자리걸음은 고사하고, 혹시나 했던 4분기조차 심각한 뒷걸음질이 연출된 상황. 수익성이 바닥을 치면서 그나마 양호했던 재정건전성에 부정적인 요소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 STCO 매장

2003년 2월 출범한 ‘에스티오’는 남성 의류 및 아이템을 유통하는 회사다. ‘남성 포멀 SPA’ 브랜드인 ‘STCO’를 전개 중이며, 회사의 최대주주는 지분 67.73%(846만7430주)를 보유한 김흥수 대표다.

잘나가더니…

에스티오는 출범과 함께 빠르게 몸집을 불렸다. 오랫동안 남성 패션업계에 몸담았던 김 대표의 노하우가 가미된 덕분이었다. LG패션 남성복팀에서 10년 이상 근무했던 김 대표는 과거 TNGT 기획 및 론칭에 참여했던 인물이다.

김 대표의 의중이 반영된 STCO는 저렴한 가격과 세련된 디자인을 내세워 20~30대 남성들의 반향을 이끌어냈다. STCO의 활약에 힘입어 에스티오는 출범 2년만에 매출 100억원을 넘겼고, 2010년에는 900억원대 매출 고지를 밟았다.

하지만 여기까지였다. 성장세가 계속 될거란 기대와 달리, 에스티오는 10년 간 제자리걸음을 반복했다. 매년 900억원대 안팎의 매출에 머무를 뿐, 외형적 성장은 좀처럼 이뤄지지 않았다. 급기야 최근에는 급격한 내리막으로 돌아서기에 이르렀다.


지난달 8일 에스티오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684억원을 기록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이는 전년(851억원) 대비 19.6% 감소한 수치다. 회사 측은 매출 감소의 원인으로 코로나19의 여파를 꼽았다.

수익성 악화는 한층 두드러진다. 2019년 연결기준 영업이익 54억원, 영업이익률 6.3%를 기록했던 에스티오는 지난해 11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적자 전환은 2013년(영업손실 35억원) 이후 7년 만이다.

지난해 4분기 수익성이 더욱 나빠졌던 게 뼈아팠다. 통상 패션업종은 4분기 실적이 한해 농사를 좌우한다. 이런 이유로 대다수 상장 패션기업은 3분기까지 적자이거나 수익성이 저조하더라도, 4분기에 흑자로 전환하거나 적자폭을 최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곤 한다.

하지만 에스티오의 지난해 4분기 성적표는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다. 흑자는커녕 영업손실만 13억원에 달했다. 3분기까지 1억8400억원이던 누적 영업이익이 연말 기준 적자로 전환된 배경이다.

지난해부터 수익성 악화의 늪
현상 유지조차 버거운 현실

에스티오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동절기 매출이 감소했고, 매출원가 및 고정비용이 꾸준히 발생하면서 적자 전환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저조해진 수익성으로 인해 회사의 기초체력은 한층 약해졌다. 상대적으로 양호했던 재정건전성에 흠집이 발견된 것이다.

에스티오의 지난해 말 연결 기준 총자산(총자본+총부채)은 661억원. 자본 감소폭이 부채 증가폭을 앞지르면서, 총자산은 전년(682억원) 대비 20억원가량 감소했다. 지난해 총자본은 전년(351억원) 대비 13.1% 줄어든 304억원으로 잠정 공시된 상태다.

총자본의 감소는 대규모 순손실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2019년 연결기준 순이익 33억원을 기록했던 에스티오는 지난해 27억원 적자로 돌아섰고, 이는 총자본의 구성요소인 이익잉여금을 축소시킨 배경이 됐다.
 

▲ 김흥수 STCO 대표

실제로 2019년 300억원이던 에스티오의 이익잉여금은 지난해 말 기준 270억원대 수준으로 감소가 예상된다. 회사 측은 유·무형자산에 대한 손상차손 51억원이 반영되면서 순손실을 키웠다고 설명했다.


부채가 늘고 자본이 줄면서, 양호했던 에스티오의 부채비율(총부채/총자본)은 크게 뛰어올랐다. 에스티오의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은 전년(94.1%) 대비 23.0%p 증가한 117.1%를 나타냈다.

수익성이 악화된 영향으로 빚에 대한 의존도를 단기간에 낮추기란 사실상 힘들어졌다. 2019년 기준 228억원이던 에스티오의 총차입금은 지난해 3분기에 275억원으로 확대된 상황이다. 차입금 규모가 한층 커지면서 3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하는 차입금의존도는 같은 기간 33.5%에서 37.2%로 뛰어올랐다.

차입금 항목에서 눈여겨볼 특징은, 단기성 차입금에 의존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점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에스티오의 단기성 차입금은 총 171억원.

단기차입금(145억원)과 유동성리스부채(26억원)가 여기에 해당된다. 총차입금 가운데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빚이 60%를 초과한다. 4분기에 차입금 일부를 상환했거나 리파이낸싱이 이뤄졌더라도 총차입금이 큰 폭으로 감소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 

빛바랜 영광

이런 가운데 순차입금(리스부채를 제외한 총차입금-현금성자산) 역시 증가 추세다. 2018년 말 73억원 수준이던 에스티오의 순차입금은 이듬해 149억원 수준으로 확대된 데 이어, 지난해 3분기에는 163억원으로 불어났다. 당장 보유한 현금으로 빚을 갚아도 채무가 160억원 이상 남아있다는 뜻이다. 덕분에 2018년 22.0%였던 순차입금비율은 지난해 3분기에 49.83%로 올랐다. 통상 순차입금비율은 2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