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격 리뷰> 질기고 억센 현실 동화 ‘미나리’ 

2021.02.19 11:30:11 호수 1311호

전 세계 공감시킨 이방인 스토리

[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영화 산업의 심장부라 하는 미국이 놀랐다. 지극히 한국적인 정서가 녹아있을 뿐 아니라 대사의 절반 이상이 한국어인 영화 <미나리>를 보고서다. <미나리>는 미국 내 비평가상을 포함해 수많은 영화 시상식에서 무려 58관왕을 차지했다. 75세의 배우 윤여정은 여우조연상 부문에서 무려 20관왕을 수상 중이다. 그렇게 <기생충>에 이어 두 번째 오스카 레이스를 뛰고 있는 <미나리>가 베일을 벗었다. 
 

▲ ▲ⓒ판씨네마


영화 <미나리>에 출연하기로 한 배우 윤여정은 예산이 20억이라는 말을 듣고 깜짝 놀랐다. “요즘 한국에서도 이 돈으로는 영화 안 만들어”라는 말이 툭 하고 튀어나왔다. 이미 작품을 결정한 상황에서 돌이킬 수 없었다. 고생길이 훤했다.

고생길

국내에서 제작되는 100억대 영화는 90회에서 100회 정도 촬영한다. 촬영 현장에 100번은 출근을 해야 영화 한 편이 만들어진다는 얘기다. <미나리>는 4분의 1 격인 겨우 25회차에 불과하다. 

하지만 예술은 꼭 투자비에 비례하지 않는다. 매우 바삐 움직였던 스케줄이었음에도 영화는 40년 전, 미국 시골 농장의 한인 가족과 전 세계 모든 가족이 겪고 있는 문제를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놓인 부부의 다툼, 할머니와 아이의 갈등, 낯선 땅에서 적응하려 노력하는 이방인이 겪는 외로움 등 모든 면에서 공감이 간다. 

미국에서 태어난 한국계 어린이의 시선으로 본 가족의 의미가 현실 동화처럼 아름답게 꾸며져 있다. 


제목의 ‘미나리’는 한국 고유의 나물이다. 물기가 있는 적당한 땅에 씨앗을 뿌려놓으면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잡초처럼 우거진다. 김치에 넣어도 맛있고, 나물 자체를 무치기만 해도 맛있다. 몸에도 좋다. 

한인 가족뿐 아니라 인간의 삶이 억세고 질긴 것처럼, 또 배경에 있기만 해도 따뜻함을 주는 할머니의 존재처럼, 미나리는 그렇게 자라난다. 

<미나리>는 영화를 연출한 정이삭 감독의 자전적인 이야기다. 극중 데이빗(앨런 리)이 정이삭 감독의 어린 시절이다. 

병아리 감별사로 일하던 아버지 제이콥(스티븐 연 분)은 아무리 일을 해도 빚에 허덕이는 현실에 치여, 한국 채소와 과일을 파는 농장주가 되기로 결심한다. 아칸 소주라는 작은 동네의 바퀴 달린 집을 사고 엄청난 크기의 땅을 사 야채를 재배하기 시작한다. 낮에는 병아리 감별사, 밤에는 농사를 짓는다. 

모니카(한혜리 분)는 이런 남편이 못마땅하다. 병원까지 1시간이 넘게 걸리는 집이 가장 큰 문제다. 심장병을 앓고 있는 데이빗이 언제 어떤 일을 당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두 사람은 부부 싸움이 잦아진다. 
 

▲ ▲▲ ⓒ판씨네마

데이빗은 자신 때문에 부모님이 싸우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그런 중에 모니카와 제이콥이 화해를 했다. 장모인 순자를 모시고 살기로 했기 때문이다. 뼛속까지 한국인인 순자가 아칸소주에 왔다. 아이의 몸에 좋은 한약을 달이기도 하고, 화투를 가르치며 손주와 가까워지려고 노력한다. ‘지랄’ ‘옘병’이라는 비속어를 쓰며 화투를 즐기지만, 어딘지 모르게 구수하다. 

하지만 데이빗은 낯선 할머니가 싫다. 할머니 몸에서 냄새가 나는 것도 그렇고, 그렇게 좋아하는 ‘산에서 나는 이슬’인 마운틴 듀를 뺏어먹는 것도 싫다. 자고 일어나면 오줌을 싸는 자신에게 ‘브로큰 페니스’라고 놀리는 것도 싫다. 

할머니는 손주가 좋다. 손주의 못된 행동을 아량으로 감싼다. ‘애가 그럴 수 있지’라며 다독인다. 딸과 사위가 다투려고 할 때마다 ‘별것도 아닌 거 가지고 다 싸운다’며 핀잔을 준다. 불협화음이 잦았던 이방인들에게 평화가 찾아온다. 

그것도 잠시 순자가 뇌졸중에 걸렸다. 말도 어눌하고 몸도 잘 못쓴다. 종일 누워 있고, 시선은 한 곳만 응시한다. 가족의 분위기는 단숨에 싸늘해진다. 이 가족은 어떻게 될까. 

뛰어난 연출·완벽한 연기·아름다운 플롯
1980년 미국 시골 놓인 한국인의 삶 조명


영화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그려낸다. 이 안에 특별한 메시지는 있지 않다. 1980년 시골에서 생존과 사투를 벌인 한 가족의 모습을 보여줄 뿐이다. 가르치고자는 감독의 의도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더 강한 감동이 밀려온다. 

감독이 자전적인 이야기를 할 때 자아에 도취돼 공감이 가지 않는 장면을 만들기도 하는데, 정이삭 감독은 매우 냉정히 과거를 돌아본다. 

철없이 못된 행동을 일삼은 과거의 자신을 비롯해 책임감은 있지만, 여느 아버지들처럼 자신의 고집만을 내세우는 제이콥, 어려운 환경에 짜증을 일삼는 모니카, 똘똘하지만 때론 너무 다그치는 누나, 촌스러우면서도 인간적인 할머니까지, 매우 현실적으로 표현한다. 

그래서인지 출연하는 모두가 주인공으로서 존재한다. 자신의 주장을 책임지기 위해 밤낮으로 일하며 엄청난 양의 채소를 재배한 제이콥, 농장의 성공보다 가족을 위하는 마음이 더 크길 바라는 모니카의 대립에 관객은 저마다의 입장에 따라 이입한다. 

남자 관객은 대체로 제이콥에 연민이 가고, 여성 관객은 모니카의 마음을 헤아리게 된다. 반대의 주장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생기는 반응이다. 가족 간에 일어날 수 있는 분쟁의 포인트를 정확하게 짚어낸다. 
 

▲ ⓒ판씨네마

음악으로 영화의 박자를 만드는 것도 <미나리>의 장점이다. 시각뿐 아니라 청각으로도 관객의 마음을 밀고 당긴다. 켜켜이 쌓인 감정은 후반부 하이라이트에서 물밀 듯이 터진다. 

배우들은 잘 차려진 <미나리>의 수준을 더욱 드높인다. 특히 스티븐 연은 젊은 꼰대 느낌의 아버지를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한다. 가정을 지키고자 책임을 다하면서도, 자신의 신념은 굽히지 않으려는 그의 얼굴에 수많은 아버지의 모습이 드리워진다. 

전 세계 여우조연상을 휩쓰는 윤여정의 연기가 <미나리>에서 특별하다고 여겨지지는 않는다. 이미 수많은 작품에서 엄청난 연기를 보여준 것과 다르지 않다. 윤여정을 향한 미국 영화계의 극찬은 우리에겐 너무 익숙한 윤여정의 연기를 이제야 발견했기 때문은 아닐까. 이는 윤여정이 수십 년 전부터 미국 오스카 후보에 오를만한 연기를 해온 것 아니냐는 해석으로 귀결된다. 

이외에도 한예리와 앨런, 미국 조연 배우들도 안정감 있는 연기를 펼친다. 엄마의 위치에서 가족을 지키고자 하는 모니카의 진심이 한예리의 얼굴에서 비친다. 약간 어눌한 말투와 함께 아이같은 순수함이 찰나의 표정에서 다양하게 드러나는 앨런은 <미나리>의 보석이다. 


심금

한 가족의 이야기가 심금을 울리는 건 우리 모두 이들이 겪은 위기를 경험해봤기 때문이 아닐까. 아이부터 조부모 세대까지, 가족이 함께 보고 이야기를 나누기에 더할 나위 없는 작품이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