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세계적인 작가’로…구정아

2020.10.26 10:16:44 호수 1294호

“그저 평범한 것은 없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구정아 작가는 세계무대에서 활동 중이다. 파리 조르주 퐁피두 센서, 뉴욕 디아 비콘, 쿤스트할레 뒤셀도르프, 스톡홀름 현대미술관, 바젤 바이엘러 파운데이션, 아트선재센터 등에서 개인전을 열면서 세계적인 작가로 발돋움했다. 구정아가 국내 갤러리에서의 첫 개인전을 위해 한국을 찾았다.
 

▲ resonance, 2020, 620 x 810 x 170(h) cm_3

 



PKM갤러리에서 구정아 작가의 개인전 ‘2020’을 준비했다. 구정아는 특유의 기민한 감각과 작업의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세계적인 작가로 발돋움했다. 2021년에도 미국, 프랑스, 스페인, 덴마크 등에서 개인전이 예정돼있다. 

의미 있는 숫자

이번 전시에서는 밀라노 트리엔날레, 리버풀 비엔날레 등의 국제행사에서 큰 호응을 이끌어낸 시리즈인 스케이트파크 야외 설치 작업을 포함해 회화, 드로잉, 조각 등 미공개 최신작 30점이 소개된다. 

구정아는 1990년대 후반부터 ‘그저 평범한 것은 없다’는 태도 아래 흩어져 버리기 쉬운 일상의 소재들을 활용하고 익숙한 장소에 기묘하게 개입하며 평범함의 시적인 측면을 일깨우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세계무대에서 활동 중
2021년에도 전시 예정


스틸 이미지, 무빙 이미지, 소리, 냄새 등 이질적인 매체들로 구성된 그의 작품은 가시적인 것, 가상이면서 현실인 것, 있지만 없는 것 등 서로 상반되는 지점들을 양립시키거나 그 경계 너머의 열린 가능성을 제시한다.  

전시 제목인 2020은 숫자이자 알파벳인 동시에 텍스트이면서 드로잉 이미지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인광 스케이트파크 조각 작품인 ‘resonance’와 연계돼있다.

스케이트파크 작업은 2012년 프랑스 바사비에르 섬에서 지역 재생과 젊은 세대의 영입을 목적으로 한 프로젝트로 첫 선을 보인 이후 구정아의 트레이드마크로 자리 잡은 설치 연작이다. 

이번 개인전에는 두 개의 크고 작은 요람 형태로 디자인된 신작이 갤러리 별관 정원에 설치된다. 예술작품이면서 스케이트보드를 타는 보더들에게 실제로 개방되는 시설물이기도 한 이 설치 작업은 서브컬처로서의 스케이트보딩 문화와 주류 예술 장르로서의 순수미술 사이에 또 다른 접점을 만들며, 관람객에게 신선한 인터렉티브 경험을 제공한다. 
 

▲ Seven Stars, 2020, 152.5 x 243(121.5x2)x 3.5 cm

‘Seven Stars’는 깊어가는 가을 밤하늘의 별과 같은 느낌을 주는 인광 시리즈다. 조명의 온-오프가 반복되는 갤러리 본관 공간에 설치됐다.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와 평행으로 위치하는 또 다른 우주를 의미하는 평행우주의 개념을 환기시키는 이 회화들은 밝음과 어둠 사이에서 2가지 양상으로 존재한다. 

각각의 생은 빛의 상태와 시간성에 의해 유한한 특성을 가진다. 조명 아래서는 담백한 색상의 미니멀 페인팅 형태를 띠는 2차원 회화들은 조명이 사라지면 암흑 우주 속에서 별빛이 부유하는 듯한 3차원 공간을 이룬다. 

이 회화들과 함께 설치된 조각들도 조명에서 흡수한 빛 에너지를 암흑 속에서 방사하는 이중성을 띠는데, 보는 이로 하여금 화이트 큐브라는 제한적인 공간 너머의 낯선 세계를 몸으로 감각하고 상상할 수 있도록 한다. 

스케이트보더들을 위한 작품
관람객들과의 양방향적 경험

작품과 관람객 사이의 신체적·심리적 상호작용은 구정아 작업의 주요한 축이다. 구정아는 거주자와 관계하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개방형 건축을 자석이 서로 끌어당기고 밀어내는 속성에 비유한 세드릭 프라이스의 마그넷 이론에 관심을 갖고 오랫동안 마그넷 조각을 제작했다. 

그중 2020년작 4점이 갤러리 별관에 전시되는데 ‘88’ ‘518’ ‘625’ ‘911’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순간의 날짜가 이번에 출품된 작품들의 제목이다. 자석 유닛의 개수와 동일한 제목의 이 마그넷 작업들은 총량만 정해져 있을 뿐 그 크기와 모양이 장소에 따라 자유롭게 각색될 수 있다.


입체적인 작품

PKM갤러리 관계자는 “구정아의 작품들을 빛의 유무 환경 속에서 보다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갤러리 개방 시간을 정오부터 일몰 이후인 오후 9시까지로 정했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우리가 발붙이고 있는 친숙한 현실 이면의 또 다른 영역을 발견하는 낭만을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기대를 드러냈다. 전시는 11월28일까지. 


<jsjang@ilyosisa.co.kr>
 

[구정아는?]

▲개인전

‘2020’ PKM갤러리(2020)
‘Koo Jeong A: Radiant 2020’ 갤러리 알바르란 부르다이스(2020)
‘Koo Jeong A’ 갤러리 에바 프리젠휴버(2020)
‘OooOoO’ 실내 스케이트 파크(2019)
‘Prerequisites 7’ 바이엘러 재단(2019)
‘TENGAM TENGAM’ 쾨니히 갤러리(2018)
‘Nomos alpha by Koo Jeong A’ HENI(2018)
‘TENGAM’ 핑크썸머(2018)
‘Magnet Cities’ 필라 코리아스 갤러리(2018)
‘아정구’ 아트선재센터(2017) 외 다수

▲수상

카사 와비 재단(2016)
에르메스재단 미술상(2005)
구겐하임 미술관 휴고 보스 프라이즈 후보(2002)
빌라 메디치 상(2000)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