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 아지트 가보니…

2019.02.11 10:37:13 호수 1205호

곳곳에 깃든 ‘노’의 정신

[일요시사 정치팀] 최현목 기자 =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은 충북 청원군 문의면 마동리에 학교법인을 소유하고 있다. 학교의 이름은 ‘마동창작마을’.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신이 깃든 이곳은 노통 지지자들이 꽤나 찾는 명소다. <일요시사> 기자는 아직 찬 공기가 가시지 않은 지난 1월 중순 이곳을 직접 찾았다.

▲ 문재인 대통령과 대화 나누는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사진 오른쪽)

도착하니 이미 해가 중천이었다. 마동리로 가는 길은 꽤나 멀고 험했다. 구불구불한 산길이 끝나지 않을 것만 같은 느낌이었다. 산길을 지나니 논두렁길이 길게 펼쳐졌다. ‘왜 이런 산골에 위치해 있을까.’ 마을로 가는 내내 이런 생각이 들었다.

산 건너

마동창작마을은 1992년 폐교된 충북 청주 회인초등학교 회서분교장을 개조해 사용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흙장난하며 뛰어놀았을 운동장은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입구에 세워진 ‘마동창작마을’이라는 붉은색 음각 바위가 방문자들에게 이곳이 어디임을 알리고 있었다.

갖가지 조형물이 눈에 띄었다. 음각 바위 바로 옆에 서 있는 2미터 이상 크기의 대형 말머리상도 취재진의 눈길을 끌었다. 마동리는 조선시대 병사들이 군마에게 물과 먹이를 주며 쉬었다 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 ‘마쟁이’였던 것이 일제강점기 때 지금의 마동리로 바뀌었다.

넓은 운동장 한가운데는 눈길을 사로잡는 또 다른 조형물이 서 있었다. 노 전 대통령이 환하게 웃는 얼굴을 바위에 음각으로 새겨넣은 표지석이 그것이다. 노 전 대통령의 음각 조형물은 사각의 바위가 받치고 있었다. 그중 3면에는 노 전 대통령을 상징하는 글귀가 아로새겨져 있었다. ‘사람 사는 세상’ ‘살기 좋은 환경’ 등이다. 노 전 대통령에게 전하는 듯한 ‘당신의 못다 이룬 꿈, 우리가 이루어 가겠습니다’라는 글귀도 인상적이었다.


학교법인 ‘마동창작마을’ 소유
폐교된 분교 개조 예술공간으로

표지석은 2009년 7월10일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시인위원회’가 만들었다. “이곳에서 분향소를 열고 함께했던 수많은 시민의 뜻과 정성으로 이 표지석을 세웁니다”라는 글이 적혀 있었다.

살기 좋은 환경은 노 전 대통령이 지난 2006년 8월8일 시도지사토론회 중 강조했던 말이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은 “국가 균형 발전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이 모두 함께 상생하는 길입니다”라고 밝혔던 바 있다.

본교로 사용됐던 건물은 지금은 무인 카페로 변모했다. 방문객들이 직접 커피를 타서 마시고 컵라면을 끊여먹을 수 있도록 구비돼있었다. 황토벽 한쪽에는 이중섭의 ‘황소’를 연상케 하는 그림이 걸려 있었고, 또 다른 쪽에는 책이 빼곡하게 수납돼있어 운치를 더했다. 판매용 그림엽서도 눈길을 끌었다.
 

방명록을 통해 수많은 방문객들의 발자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생부터 나이 지긋한 어르신까지, 회사원부터 정치권 인사까지 그야말로 남녀노소 및 계층을 불문하고 그 시간, 그 장소서 느꼈던 감정이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그중 촛불혁명에 대한 반응을 통해 주 방문객들의 성향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2016년 11월9일의 한 방문객은 “박근혜 사기꾼 대통령 물러나라”라고 적었다. ‘촛불!!!’이라는 강렬한 느낌의 글귀도 인상적이었다.

환히 웃는 노무현 얼굴이 입구에
노영민·도종환 함께 찍은 사진도

건물 바로 옆에는 이 마을의 주인인 이홍원 화가의 작업실이 위치했다. 이 마을은 노영민 대통령비서실장이 이홍원 화가를 비롯한 6명의 화가와 함께 교육청으로부터 공동구입해 예술가들에게 작업공간으로 제공한 장소다.

노 비서실장은 그림에 조예가 깊을 뿐 아니라 본인이 직접 시집을 낸 시인이기도 하다. 고위공직자 재산공개상 노 비서실장은 지난 2015년까지 이홍원 화가의 그림 ‘소나기’ 작품을 소유하고 있었다. 두 사람의 친분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두 사람의 친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또 있었다. 이 화가의 작업실 탁자에는 노 비서실장과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함께 찍힌 사진이 놓여 있었다. 도 장관은 노 비서실장과 마찬가지로 시인 출신이다. 사진 하단에 ‘2002년 개인전 예술의 전당 대전시실’이라는 설명이 적혀 있었다.
 


작업실 뒤편에는 게스트하우스가 자리하고 있었다. 취재진이 방문했을 당시 투숙객이 없는 탓인지 문이 굳게 잠겨 있어 내부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바로 옆에 가정집으로 보이는 집이 있었지만, 출타 중이었다. 인근 주민에게 물어보니 “그 집에 화가가 살고 있는데 집을 비운 것 같다”고 말했다.

강 건너

굳이 이 마을을 정의하라면 “노 전 대통령의 감성을 예술가의 표현법으로 풀어낸 장소”라고 말하고 싶다. 고즈넉하면서 사람의 손때가 깊게 배어 있다. 추운 날씨에도 정서적 온기를 느낄 수 있었다. 내일의 일과를 위해 어쩔 수 없이 발길을 서울로 돌려야하는 상황이 야속하게 느껴졌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