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재완의 수상한 돈벌이 추적

2014.09.29 11:16:05 호수 0호

'빌딩 부자’ 회장님 돈놓고 돈먹기

[일요시사 경제2팀] 박효선 기자 = 복사용지 밀크(miilk)로 유명한 한국제지 등을 계열사로 갖고 있는 단재완 회장. 최근 독립 경영하던 계열사들을 묶어 해성그룹을 출범했다. 그런데 최근 단 회장을 향한 투자자들의 원성이 높다. 단 회장 일가의 회사로 알려진 해성산업 주가가 갑자기 추락했기 때문이다. 이후 해성산업을 둘러싼 여러 가지 설들이 퍼지고 있다.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는 해성산업을 파헤쳐보았다.



단재완 해성그룹 회장의 개인회사가 도마에 올랐다. 해성산업 이야기다. 지금까지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별다른 이슈 없이 조용한 회사였다. 그런데 이달 들어 주가가 수직하락하면서 해성산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짭짤한 수익 챙겨

해성산업은 임대 및 관리 사업을 하는 부동산업체다. 빌딩관리가 주력사업이다. 1954년 2월 설립된 이 업체는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사무실이 있다. 직원은 80여명으로 파악됐다. 해성그룹의 지주사역할을 하고 있다. 대중들에게는 복사용지 밀크를 생산하는 한국제지가 가장 많이 알려져 있지만 해성그룹의 모체는 해성산업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단 회장은 해성산업 지분 30.13%(294만주)를 보유하고 있다. 이어 단 회장의 장남 단우영 한국제지 전무가 15.70%(153만주), 차남 단우준 계양전기 상무가 15.23%(148만주)를 갖고 있다. 나머지 지분도 단정숙, 명명진(단명진), 단명호 등 대부분 단 회장의 친인척들이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즉, 단재완 회장은 특수 관계인을 포함해 65.12%의 해성산업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사실상 단 회장 일가의 회사다.

해성산업은 재계에서 은근한 알짜배기 회사로 알려져 있다. 다만 수익이 실적에서 나오는 것은 아니다. 해성산업의 매출은 100억원 안팎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부동산업체 특성상 매출 규모가 크거나 높은 이익을 내지는 못한다. 하지만 우량한 재무구조를 갖췄다. 역설적이게도 부동산 덕분이다. 해성산업은 서울 북창동 해남빌딩과 서초동 송남빌딩, 부산 송남빌딩 등 다수의 토지와 빌딩을 소유하고 있다. 해성산업의 주요 수입은 이들 빌딩으로부터 나온다. 빌딩 임대료와 시설관리비가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단 회장은 해성산업을 통해 ‘짭짤한’ 현금수익을 챙기고 있다.


자산이 대부분 현금이라 모두 파악하기 어렵지만 단 회장은 수조원대의 막대한 부동산 자산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성산업이 관리하고 있는 빌딩들도 대부분 단 회장 개인 소유다. 서울 강남에 해성1빌딩과 2빌딩, 성수동에 성수빌딩 등을 소유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두 채의 해성빌딩만 해도 1조원 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평가한다. 단 회장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 1877억원(지난 2007년 공시지가 기준)짜리 토지를 보유한 것으로 밝혀져 화제가 된 적도 있다. 따라서 단 회장은 ‘현금부자’로 통한다.

지난 4월에는 삼성테크윈 반도체 부품(MDS)까지 인수하면서 자산은 1411억원으로 불어났다. 반면 부채는 140억원에 불과했다. 지난해 해성산업의 부채비율은 9.7%로 집계됐다. 이처럼 단 회장이 부채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도 많은 현금자산을 보유할 수 있었던 것은 아버지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금을 중시하는 가풍 때문이다. 단 회장의 부친 고 단사천 창업주는 부채비율에 예민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단사천 명예회장 역시 60∼70년대 재계를 주름잡던 현금왕으로 불렸다.

개인회사 통해 금싸라기 부동산 소유
주가 추락…믿고 투자한 개미들 울상

그런데 최근 해성산업에 투자했던 개인투자자들의 원성이 높다. 지난해 12월부터 서서히 올랐던 주가가 이달들어 급격하게 수직 하강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13일만해도 8만원대였던 주가는 2만∼3만원대로 뚝 떨어졌다. 15일 2만원대 바닥을 찍고 서서히 올라가고 있지만 힘을 못 쓰고 있다. 25일 종가는 3만1400원에 그쳤다. 한달 만에 주가가 3분의 1토막이 난 셈이다.

이에 따라 해성산업을 둘러싼 여러 가지 설들이 퍼지고 있다. 우선 해성산업의 보유 부동산이 애초부터 지나치게 고평가됐다는 해석이 나왔다. 해성산업에서 삼성테크윈 반도체 사업을 인수했다는 점과 보유한 부동산의 재개발로 자산가치가 크게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에 많은 매수세가 유입됐지만 가치가 떨어지면서 주가가 빠졌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런 이유만으로 주가가 가파르게 떨어지지는 않는다.

특히 업계에서는 작전세력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시세차익을 노린 투기세력이 있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올 초부터 증권가에서는 해성산업에 개입한 작전세력 때문에 개미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이전부터 ‘과열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주가가 지나치게 ‘고공비행’하고 있다는 평가가 잇따랐고, 개인투자자들 중 피해자가 생길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매출액 100억원대 소형 건물관리업체가 코스닥 시장에서 9000억원을 육박하는 시가총액을 모으기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려는 현실이 됐다. 현재 시가총액은 3000억원대(25일 기준)로 토막이 난 상태다.

한국거래소는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해성산업을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한 뒤 집중 모니터링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부 금융사 지점이 집중적으로 해성산업 주식을 매도한 정황을 파악하고 있다. 거래소는 해성산업 측에 주가 급락 관련 조회공시를 요구했으나 회사는 이와 관련해 공시할 정보가 없다고 답했다. 해성산업은 공시를 통해 “최근에 현저한 시황변동(주가급락)과 관련하여 공시할 중요한 정보가 없다”고 밝혔다.

해성산업은 담당자 부재를 이유로 자세한 답변을 회피했다. 요동치는 주가에 대해 해성산업 관계자는 “홍보팀은 따로 없고 담당자가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재까지 특별한 이슈는 없다”고 일축했다.


작전세력 개입?

단 회장이 기업을 키우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대부분 부동산을 통해 돈벌이를 하다 보니 회사를 키우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단 회장이 독립 경영하던 계열사들을 묶어 해성그룹을 출범했던 것도 실질적인 ‘성장’을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속 성장하는 선도 기업을 만들겠다는 단 회장의 다짐이 지켜질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dklo216@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해성그룹은?

해성산업은 단재완 회장의 부친 고 단사천 명예회장이 설립했다. 단 명예회장 역시 재계에서 손꼽히는 ‘현금왕’이었다. 많은 부동산을 보유했고, 현금 동원력도 상당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황해도 해주 출신으로 개성상인 집안에서 태어난 단 명예회장은 고등학교 졸업 후 18세에 홀로 월남했다. 이후 재봉틀 조립회사 ‘일만상회’를 설립했다. 그의 나이 23세였다. 일만상회를 운영하며 모은 돈으로 1945년 해성직물상회를 세웠다. 이후 1958년 한국제지를 일궈냈고, 1977년 계양전기를 설립했다.

사채시장에서도 그는 명성을 날렸다. ‘명동 사채시장의 큰손’으로 불렸을 정도다. 당시 사업하는 사람 중에서 단 회장의 돈을 빌려 쓰지 않은 사람이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1980년대 단 회장의 하루 현금동원력이 무려 3000억원 규모였다는 얘기도 있었다. 과거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단 회장의 도움을 받았다는 소문은 아직도 회자되고 있다. 70년대 그는 국내 종합소득세 납부 순위 7위에 오르기도 했다. 당시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보다 더 많은 소득세를 냈다.

그렇게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도 단 회장은 검소한 생활로 일관했다. 특히 부채비율에 민감했다. 사업을 무리하게 확장하는 것을 극도로 싫어했다. 단 회장은 아버지의 뜻에 따라 낮은 부채비율을 유지해가며 지금까지 기업을 경영해왔다. <효>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