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가양주 비법 전수자 이화선 향음 대표

2014.09.22 10:29:07 호수 0호

“일본 술이 과학? 우리 술은 예술!”

[일요시사 경제2팀] 박효선 기자 =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이 끝났다. 대부분의 차례상에는 정종이 올라왔다. 일제의 잔재가 술에도 남아 있는 것이다. 게다가 정부는 쌀시장을 전면개방하기로 했다. 농민들은 울부짖었다. 농민의 아픔과 일본의 잔재를 어떻게 씻어낼 수 있을까. 이화선 향음 대표를 만나 그 대안을 들어보았다.



서울 은평구 무악재역 4번 출구를 나와 아담한 빌딩에서 술 익는 구수한 냄새가 발걸음을 잡는다. 이곳에서 계량한복을 입은 이화선 향음 대표가 전통주를 빚고 있었다.

“맛 예측 못하죠”

“와인을 이야기할 때 미국 캘리포니아산 와인은 과학이고, 프랑스산 와인은 예술이라고들 하지요. 마찬가지로 일본의 술이 과학이라면 우리의 술은 예술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일본 술은 맛이 균일합니다. 잘 배양한 누룩을 인공 접종하는 방식이라 실패가 없죠. 반대로 우리 술은 변화무쌍합니다. 생전분에 곰팡이가 자연 접종되게 하는 자연배양법으로 만들기 때문에 예측이 불가해요. 누룩에 따라, 물맛에 따라 맛이 달라지거든요. 계절마다, 지역마다, 집안 내력마다 또 다르고요. 그런데 이렇게 다양해질 수 있는 우리 전통주가 일본 술처럼 만들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

우리와 일본은 같은 곡식으로 술을 빚지만 그 과정은 전혀 다르다. 우리 전통술은 단백질을 포함해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안고 간다. 산패할 위험이 있지만 맛에 있어서는 일본 술을 뛰어넘기도 한다.

우리 전통주에는 혀를 감아올리는 감칠맛, 언뜻언뜻 쓴맛, 모를 듯 적시는 신맛, 잔을 놓기 전에 혀를 조이는 매운맛까지 다양한 맛이 담겨 있다. 우리 술을 제대로 빚었을 때 느끼는 오미다. 반면 쌀을 확 깎아내 전분만을 취했을 때 낼 수 있는 사케의 맛은 서리같이 베어내는 칼 같은 깔끔함이다. 이 대표는 우리 술과 일본 술의 맛을 이렇게 표현했다.


이 대표는 올 초 우리 술과 천연식초 연구회인 ‘향음’을 설립했다. 연구소에서 그는 워크숍을 통해 우리 술 빚기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가양주 비법을 전수하고 있다. 가양주란 말 그대로 집에서 담근 술이다.

조선시대는 가양주의 전성기였다. 연구소 문패가 ‘향음’인 것도 조선시대 향교의 6례 중 하나인 향음주례를 의미하기 위해서다. 조선시대 우리 선조들은 열심히 가양주를 빚었다. 집집마다 독특하고 다채로운 술이 존재했다. 문헌에 나오는 술의 종류만 600종이 넘는다.

일제강점기·박정희 시대 때 명맥 끊어져
농촌경제에 관심…이후 전통주 복원 사업

이러한 우리 전통주의 맥이 단절된 것은 1900년대부터다. 1909년 조선통감부는 최초의 간접세인 주세법과 주세령을 내렸다. 자가 양조는 전면 금지됐다. 즉 허가받고 세금 내는 양조장만 술을 만들게 한 것이다. 이후 전국의 가양주는 사라지기 시작했다. 숱하게 많았던 탁주와 청주들 그리고 우리의 고유한 술들이 사라졌다.

“처음부터 전통주를 연구하겠다고 어떤 계획을 세웠던 것은 아니었어요. 평소 술 자체에 관심이 많았거든요. 해외로 출장 갈 때마다 각국의 술 라벨을 살펴보는 버릇도 있고요. 백제에서 술 조제법을 배워간 일본이 우리보다 술 문화를 잘 지켜내고 있는 것도 한편으론 부러웠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거꾸로 전통주를 그동안 일본 술처럼 만들고 있잖아요. 세계 어느 곳에 내놔도 손색없는 우리 전통주가 이런 식으로 사라지고 있다는 게 안타까웠습니다.”

그나마 명맥을 이은 전통주도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산업화 시대 이후 사라져갔다. 당시 정부는 막걸리 제조에 국내 쌀 사용을 금했다. 당시에는 쌀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수입 밀가루로만 만들게 하니 막걸리의 맛은 형편없어 졌다. 이후 속성 카바이트 막걸리와 사카린 막걸리가 쏟아져 나왔다. 막걸리를 빨리 발효시키기 위해 탄산칼슘을 넣은 불량 막걸리들이 활개를 쳤다. 지금까지도 진정한 의미의 전통주는 모습을 감췄다. 3대째 이어온 명주들 중 대다수가 일본식 입국법을 통해 만들고 있다고 한다.

전통주는 크게 청주, 탁주, 약주, 소주로 분류할 수 있다. 청주는 말 그대로 맑은 술이고, 탁주는 대체로 막걸리를 떠올리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이 대표는 ‘약주’라는 명칭을 쓰지 않는 게 좋다고 주장했다.

“원래 약주는 조선시대 때 약용주라고 해서 당귀나 인삼 같은 약용 성분이 있는 재료를 첨가한 술이에요. 그런데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이 자국에 청주가 있다는 이유로 조선의 청주를 약주라고 명칭을 바꿔버렸습니다. 지금까지도 어르신들 사이에서 약주가 소주나 청주 등으로 통하죠. 게다가 대부분의 생산업체들은 누룩을 발효제로 사용하지 않는 입국법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지역적인 맛의 특성은 없고 소비자에게 거의 동일한 맛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혀감는 감칠맛
언뜻언뜻 쓴맛
살짝도는 신맛

이 대표가 전통주 복원에 매달리게 된 것은 일본의 잔재를 없애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쌀시장 전면개방에 맞설 수 있는 해답이 전통주에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금융전문가로 살았던 그가 전통주 복원 사업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쌀 수입 개방 이후 농민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연구하면서부터다. 한국은행 출신 금융인들과 어울리며 자연스레 농촌경제에 관심을 가졌다. 이 대표는 전통주가 농촌경제를 살리는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쌀시장 개방의 해답

“그간 정부에서 쌀 소비를 늘린다고 떡, 쌀 과자 등을 소개하고 개발하며 부단히 애써왔죠. 그러나 이러한 과자나 떡류만으로 쌀 수입개방에 맞서기는 부족합니다. 반면 우리 전통 청주 한 병을 빚으려면 우리 쌀 2∼3kg 정도가 소비됩니다. 어떤 상품보다 쌀 소비를 늘릴 수 있다고 봅니다.”

이 대표의 꿈은 오늘도 항아리 안에서 익어가고 있다.

 

<dklo216@ilyosisa.co.kr>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