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기의 시사펀치> 총선 후보, 인문학 속도를 내라

2024.02.26 14:40:43 호수 1468호

근대 이전까지만 해도 전 세계는 공간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에 목숨을 걸었다. 그러나 지금은 속도를 둘러싼 경쟁에 올인하는 시대가 됐다.



특히 IT기기의 발달로 인류가 만들어 낸 엄청난 속도가 공간 자체를 아예 무(無)로 전락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류도 10년 전까진 넓은 평수의 물류센터를 확보해야 원활한 수·배송 속도를 낼 수 있었으나 지금은 AGV(무인 운반 차량) 시스템만 도입하면 좁은 공간서도 시간당 수천개의 물량을 분류할 수 있어 수·배송 속도가 무척 빨라졌다.

산업의 모든 과정이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유통이나 물류의 밸류는 공간 개념서 속도 개념으로 빠르게 진행돼 왔다.  

정부와 물류기업이 원자재를 어디서 어떻게 조달할지를 따지는 공급망 전략을 뛰어 넘어 제품을 누가 어떻게 소비자에게 빠른 속도로 전달할 지에 대한 치밀한 전략을 세워야 하는 이유다.

세계적인 물류회사 UPS는 이미 시작된 국제물류 속도전을 선점하기 위해 수·배송 시스템 특허만 1000개 이상 보유하고 있을 정도다. 


얼마 전 ‘권투인의 밤’에 초청돼 참석한 적이 있다.

당시 한국권투협회 신재명 회장은 “육상이나 수영 같은 기록경기가 단순한 스피드 경기라면 권투는 눈빛과 손과 발과 두뇌가 복합적으로 작동하면서 전광석화 같은 스피드를 내야 하는 경기”라며 “수영과 육상이 자연과학 속도를 필요로 하는 경기라면, 권투는 인문학 속도를 필요로 하는 경기”라고 말하면서 권투인들로부터 박수를 받았다.

그렇다. 속도엔 자연과학 속도와 인문학 속도가 있다. 

같은 속도로 달리는 자동차를 가까이서 보면 무척 빠르다는 것을 느끼지만, 멀리서 보면 아주 천천히 달리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실제 속도는 같지만 얼마나 떨어진 거리서 보느냐에 따라 체감하는 속도는 확연히 다르다.

하늘을 나는 비행기 역시 속도가 무척 빠른데도 시야서 멀리 있기에 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보다 속도가 느리게 느껴진다.  

그러나 사람의 성장 속도는 반대여서 늘 가까이서 보는 사람은 무척 느리게 성장하는 것으로 느껴지지만, 멀리 떨어져 있어서 가끔 보는 사람은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게 느껴진다.

이것은 착각이 아니고, 우리가 일상서 보고 느끼고 판단하는 실제 체감속도다. 

두 대의 자동차가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달릴 땐 느리게 느껴지지만, 서로 교차하며 달릴 땐 빠르게 느껴진다.

세월의 속도도 같은 방향성을 가진 같은 세대가 함께할 땐 느리게 느껴지지만, 다른 방향성을 가진 기성세대와 청년 세대가 함께할 땐 빠르게 느껴지면서 세대 차이를 느끼게 된다. 


또 같은 속도로 달려도 차체가 긴 기차는 느리게 달리는 것 같지만 차체가 짧은 자동차는 빠르게 달리는 것으로 느껴지듯이, 같은 일을 하더라도 노인은 느리게 하는 것 같고 젊은 청년은 빠르게 하는 것 같이 느끼게 된다. 

같은 속도인데도 수평으로 날아오는 공보다 수직으로 내려오는 공이 더 빠르게 느껴지듯이, 사람과의 의사소통도 수평적인 사람과의 의사소통보다 수직적인 사람과의 의사소통이 더 빠르게 느껴진다.  

거리 외에 방향과 길이도 상황에 따라 우리가 실생활서 체감하는 속도에 영향을 준다는 말이다.    

속도에 관한 자연과학에선 실제 속도만을 말하지만, 인문학에선 거리와 방향과 길이까지 복합적인 관점서 느끼는 속도를 말한다.

인문학은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자연현상을 대상으로 하는 자연과학과 달리, 사람의 생각과 환경을 대상으로 하는 영역으로 사람의 관점서 보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지금 지구촌에선 사람과 기계와 움직일 수 있는 모든 물체가 다양한 자연과학 속도를 내고 있지만, 실제 사람은 인문학 속도만을 보고 느끼고 살아간다.

자연과학 관점에선 인문학 속도가 착각으로 보이지만, 인문학 관점에선 자연과학 속도가 실생활과 거리가 먼 원리에 불과할 뿐이다.

물론 정확한 자연과학 속도를 알아야 과학이 발달하고, 사회가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부인하는 건 아니다.

인문학은 자연과학 속도에 대한 정확성을 염두에 두고, 자연과학은 인문학 속도에 대한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서로 적절히 조화를 이뤄야 우리 사회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4월 총선을 향해 뛰고 있는 후보는 후보 스스로가 뛰는 자체 속도보다 유권자가 느끼는 체감속도가 더 중요하다는 걸 알고 모든 전략과 방향성을 인문학 속도에 맞춰야 한다.

지역구를 돌면서 속도를 내기 위해 유권자를 스치듯이 대하면 오히려 마이너스 효과만 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자연과학 속도가 아닌 인문학 속도를 내야 유권자가 좋아한다는 의미다.  

즉, 멀리서 보는 것보다 가까이서 보는 게 빠르게 느껴지듯이 유권자를 가까이서 만나고, 같은 방향보다 교차할 때 더 빠르게 느껴지듯이 반대 방향의 유권자에 집중하고, 긴 기차보다 차체가 짧은 자동차가 빠르게 느껴지듯이 많은 행렬로 다니지 말고, 수평으로 날아오는 공보다 수직으로 내려오는 공이 더 빠르게 느껴지듯이 직설적인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그래야 유권자를 향해 최선을 다하는 후보로 인정받을 수 있다.

5000만 인구가 살아가는 대한민국서 거리와 방향과 길이에 의해 만들어진 인문학 속도가 다중사회 대한민국을 대변하는 것 같다.

현대인은 여야, 갑을, 노사가 각각 내는 여러 가지 속도도 제각기 다르게 느껴지는 참으로 다양한 사회서 살고 있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Copyright ©일요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