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샤 ‘어린 딸들’ 기막힌 주테크

절묘하게 저점매수 고점매도 ‘혹시…’

[일요시사 취재1팀] 이광호 기자 = 서영필 에이블씨엔씨(브랜드 미샤) 회장의 두 딸이 ‘저점매수 고점매도’로 9억원이 넘는 현금을 손에 쥐었다. 증여와 배당만으로 110% 이상의 수익률을 거둬들인 것이다. 어린 딸들이 어떻게….

 
지난 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서영필 에이블씨엔씨(브랜드 미샤) 회장은 보통주 409만2005주(29.22%)를 소유하고 있는 최대주주다. 그 다음은 이광열 에이블씨엔씨 부사장으로 9만2775주(0.66%)를 소유하고 있다.

고등학생이 직접?
 
현재 서 회장의 두 딸 진경(22세·1994년생)씨와 진하(18세·1998년생)씨는 소유하고 있는 주식이 없다. 지난해 3분기 말 3만812주를 장내매도 했기 때문이다. 서 회장의 두 딸은 공시된 변경일인 지난해 9월29일 종가 기준 각각 9억1800여만원의 현금을 챙겼다. 그런데 매매 시점에 눈길이 간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았기 때문이다.
 
에이블씨엔씨는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주당 0.1주(10%) 주식배당을 실시했다. 그동안 두 딸이 배당으로 받은 주식은 9109주로 매각일 종가로 2억7144만원 규모다. 2008년, 2013년 장내매수를 제외하면 모두 주식배당으로 확보한 것이다.
 
서 회장의 두 딸은 2008년 11월 3분기 실적공시 전후로 8180주씩 장내매수를 통해 주식을 소유했다. 당시 진경씨는 15살 중학생이었고 진하씨는 11살 초등학생이었다. 단순히 나이만 봐도 서 회장이 딸들에게 증여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진경씨와 진하씨의 주식수는 같았지만 이들의 주식을 사들이는데 들어간 돈은 1600여만원, 1800여만원으로 실적 공시 전후로 매수 시기가 갈린다.
 
 

당시 미샤는 가파른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었다. 특히 2008년 6월과 10월 임대차 낙찰로 서울지하철 1∼8호선 78개 역사에서 5년간 화장품 전문매장을 운영하게 돼 쾌재를 부르고 있었다. 그해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2000%이상 급증하는 놀라운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3년 에이블씨엔씨는 업계 경쟁으로 인해 매출성장 둔화를 겪었다. 여기에 광고·판촉비가 증가했다.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75% 감소했고, 당기순이익도 70% 급감하면서 실적 부진을 겪게 됐다.
 
서영필 회장 두 딸 회사 주식매매로 한몫씩
수익률 110%…18세·22세 각각 9억씩 챙겨
 
이 같은 악재가 겹치면서 2013년 3월 8만원대 중반을 달리던 주가는 2분기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부진한 실적에 3분의 1토막이 났다. 하지만 이 위기는 서 회장의 딸들이 주식을 매수할 절호의 기회이기도 했다. 연저점 수준으로 주식을 매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당시 매입자금 4억300여만원은 모두 증여로 마련됐다.
 
에이블씨엔씨 주가는 지난해 초까지 2만8000원대에 머물다가 반년 만에 연저점(6월12일, 1만8900원)까지 35%급락했다. 서 회장의 딸들의 지분을 매각한 9월 말에는 연초 수준을 회복했다. 공시된 변경일 29일만 놓고 보면 종가 2만9800원에 장중 2만9300∼3만700원을 오갔으니 110% 이상의 수익률을 거뒀다고 볼 수 있다. 배당을 제외하고 주식 확보에 들였던 자금은 총 4억2000여만원이었다.
 
에이블씨엔씨 관계자는 “8년 간 갖고 있던 주식에 시세차익이 나는 건 당연하다”며 “도덕적으로 법적으로 문제될 부분이 없다”고 말했다. 
 
 
미샤 직영점은 2011년 500여개에서 지난해 800여개로 늘었다. 당시 급격히 늘어난 직영점을 운영하면서 권리금, 임대료, 임대보증금, 직원 월급 등의 비용이 커지자 몸집 줄이기에 나서는 모양새다. 에이블씨엔씨는 수익이 낮은 점포 40∼50개를 정리하고 광고비를 줄여 150억원을 절감할 계획을 갖고 있다.
 

에이블씨엔씨의 목표는 해외 시장 개척이다. 현재는 국내시장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지만 앞으로 해외시장 비중을 절반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미샤는 지난해 매출이 4384억원에 그쳐 4567억원의 매출을 올린 아모레퍼시픽의 브랜드샵 ‘이니스프리’에 처음으로 추월당했다. 에이블씨엔씨는 매출감소와 판관비 증가에 영업이익 67억4800만원으로 전년대비 48.8%나 줄어 반토막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 상반기 총 6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누구 돈으로 샀나
 
한편 서 회장은 자신의 SNS를 통해 미샤 브랜드의 부진을 반성하는 글을 지난 3월29일 올린 바 있다. 당시 서 회장은 “처음의 꿈이 매출이니 수익이니 하는 것으로 변질되었으니 미샤는 그저 그런 브랜드숍의 하나라 해도 할 말이 없다”며 “다행이라면 이 사실을 자각했다는 것인데 자각만으로 뭐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도 함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니 꼬라지를 알라’는 말은 상품시장에서도 진리”라며 “브랜드가 소비자 인식 속에 어떻게 자리잡고 있는가를 이해하고 이것을 깨겠다고 꿈꾸지 말아야 제 길을 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적개선을 위해 초심경영을 가슴에 새기고 있다. 
 
 
<khlee@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 처리됐다. 지급보증을 섰던 롯데건설은 우빈산업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넘겨 받으면서 49%를 확보했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이 보유한 19.5%는 롯데건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다. SPC 빛고을 내에서 롯데건설의 발언권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1명은 앤유 대표인 정모씨의 아내로 추정된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