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골프용품업계, 클럽 재고물량 털어내기 안간힘

“클럽 장만, 연말 대목 노려라!”

“골프클럽 대목이 왔다.” 골프클럽을 구입하고 싶은데 얇아진 지갑 때문에 미뤄왔다면 12월을 노려볼 만하다. 연말이 가까워질수록 할인 혜택도 커진다. 골프용품업계는 보통 11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새 상품이 쏟아진다. 대부분의 업체들이 신제품 출시 이전 재고물량 털어내기에 돌입하는 게 관례다. 새 상품도 있지만 시타용으로 사용했던 제품과 진열용 제품까지 다양하다. 구형이 된 제품은 적게는 30%, 많게는 70%까지 가격을 낮춰 판매해 알뜰 쇼핑족들의 소비를 자극하고 있다.

 

 

G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새 제품은 아니지만 시타용으로 사용됐던 핑, 히로 마스모토, 류골프 등 다양한 제품을 최대 7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한다. 핑 K15 시타 클럽은 32만9000원(정가 72만원), G20 페어웨이 우드는 15만9000원(정가 34만원), 유틸리티는 13만9000원(정가 34만원)에 판매한다.

리퍼브 제품 할인

A 쇼핑몰에서는 새 상품이지만 매장에 진열됐던 상품 또는 구입했다가 곧바로 교환한 제품, 경미하게 흠이 있는 상품 같은 리퍼브 상품을 최대 60%까지 할인 판매한다. 85만원 상당의 브리지스톤 VIQ 드라이버를 38만9000원에, 페어웨이 우드는 정가보다 25만원 이상 저렴한 19만9000원에 판매한다.
포장을 뜯지 않은 새 상품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G 쇼핑몰에서는 테일러메이드의 RBZ 드라이버는 19만9000원(정가 65만원), 코브라골프의 엠프 드라이버는 38만3000원(정가70만원), 캘러웨이 레가시 블랙 아이언은 132만원(정가 155만원)으로 가격을 낮췄다.
A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2014년형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는 나이키골프의 아이언을 최대 60만원 이상 할인된 69만원에 판매하고, 정가 15만원이던 퍼터는 7만5000원에 판매한다. 테일러메이드의 버너 슈퍼 패스트 드라이버는 11만9000원, 로켓볼즈 아이언은 74만원까지 가격을 낮췄다. 테일러메이드 로켓볼즈 풀세트는 105만원이다.
H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혼마골프와 여성용 제품을 특가로 판매한다. 정가 145만원의 혼마 골프 베레스 드라이버는 116만원, 580만원에 판매한 아이언은 464만원까지 가격을 인하했다. 또 다이와 온오프 드라이버와 유틸리티, 페어웨이 우드 등도 최대 70만원 이상 싸게 판매하고 있다.
이밖에도 골프백, 모자, 장갑, 우산 등의 용품을 30∼50% 할인 판매한다. G 쇼핑몰에서는 32만원에 판매하던 아디다스 골프화가 9만9000원, H 쇼핑몰에서는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스파이크 리스 골프화(에코 스트리트)를 16만5000원(정가 31만원)에 판매한다.

신제품 출시 이전 재고·구형 물량 대방출
새 상품을 최대 70%까지, 대폭 할인 판매

아이언 시장은 벌써 2014년을 맞았다. 골프용품 업체들이 시장 선점을 위해 신상품 출시시기를 앞당기는 가운데 그 신호탄으로 새 아이언의 힘겨루기가 시작됐다.
‘신상’ 아이언의 화두는 ‘손맛’이다. 단조(Forged·포지드) 아이언을 주력 아이템으로 밀고 있는 트렌드가 뚜렷하다.
단조 아이언은 클럽헤드 소재로 연철을 사용한다. 두드려 만드는 단조 헤드는 쇳물을 형틀에 부어 만드는 주조 헤드에 비해 일반적으로 타구감이 부드럽다는 장점이 있다. 다소 비싼 가격에 흠집이 쉽게 나고 반발력이 주조보다 못하다는 게 단점이지만 ‘고수들의 무기’라는 이미지가 강해 특히 우리나라 골퍼들의 선호도가 높다.
주요 브랜드들은 이구동성으로 부드러운 손맛을 살리면서도 주조 헤드의 장점을 접목한 제품임을 내세우고 있다.
미즈노의 MP-54 아이언은 그레인 플로 연철 단조 공법이 타구감의 비밀이다. 단조 조직이 헤드에서 넥 부분까지 한번에 이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8개국 특허 기술이다. 모든 번호 클럽의 스위트스폿(최대반발점) 높이를 20.5㎜로 설계해 안정적인 탄도를 내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캘러웨이 뉴 레가시 블랙은 헤드 안쪽을 비운 중공구조로 거리 성능과 실수 완화성을 높인 게 특징이다. 기존 모델과 마찬가지로 헤드 뒷면에 진동흡수 고무를 장착해 임팩트 때 손에 느껴지는 미세한 진동을 흡수하게 했다. 바닥에 텅스텐 웨이트를 추가해 무게중심을 낮췄다.
던롭의 ‘젝시오 포지드 CB’는 젝시오 최초의 원피스 단조 제품이다. 한국 전용 모델로 탄소 함유량이 적은 연철소재(S20C)와 독자적인 열처리 방법으로 금속의 경도를 낮췄다. 페이스를 2.8㎜로 얇게 만들어 샷 거리 증대도 꾀했다.
타이틀리스트의 2014년형 CB(캐비티백)와 MB(머슬백)는 중급 골퍼들이 편안함을 느끼게끔 헤드 디자인에 변화를 줬다. 바닥과 호젤(헤드와 샤프트 연결부)의 형태가 어드레스와 정렬 때 안정감을 준다.
테일러메이드의 글로리포지드는 연철과 텅스텐 합금 소재를 사용해 더 긴 비거리를 도모했다. 번호별로 다르게 장착된 텅스텐 웨이트가 적합한 탄도를 주고 직진성을 높인다는 설명이다.

초저가 판매


나이키의 VR 포지드 프로 콤보는 롱 아이언(3~6번)의 헤드 뒷면 캐비티를 포켓 형태로 크게 만들어 좀더 치기 쉽게 한 게 특징. 짧은 아이언은 얇은 캐비티로 정교함에 초점을 맞췄다. 투어스테이지도 내년 단조 아이언인 V300의 4번째 모델을 내놓을 예정이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 처리됐다. 지급보증을 섰던 롯데건설은 우빈산업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넘겨 받으면서 49%를 확보했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이 보유한 19.5%는 롯데건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다. SPC 빛고을 내에서 롯데건설의 발언권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1명은 앤유 대표인 정모씨의 아내로 추정된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