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돈이 있었다면…”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추워서요, 입고 있으면 안 될까요?” 마이크 착용을 위해 겉옷을 벗어 달라는 기자의 부탁에 박민우씨는 난처한 듯 웃으며 말했다. 민우씨는 조금만 기온이 떨어져도 보일러가 얼어붙는 월세 30만원의 집에 살고 있다. 현재 민우씨는 영락보린원 앞에서 1인 시위 중이다. ▲ 과거 영락보린원에서 퇴소 당시 자립정착금을 떼였다는 박민우씨 ⓒ고성준 기자 지난 22일 고아권익연대 사무실에서 민우씨를 만났다. 다음은 민우씨와의 일문일답. ▲영락보린원에서는 언제부터 살았는지. - 네 살인가, 다섯 살 때 엄마 손에 이끌려 시설에 맡겨졌다. 가기 싫다고 떼쓰고 울고 불고 했던 걸로 기억한다. 부모님은 이혼하고 집안 형편이 많이 어려웠던 것 같다. 첫 번째 시설에서 몇 개월 있다가 영락보린원으로 전원됐다. 영락보린원에서 14~15년을 살았다. ▲당시 생활은 어땠는지. - 성경에 나오는 인물 이름을 따서 요셉방, 마리아방, 베드로방 등으로 나뉘었다. 나이로 구분해서 방을 썼다. 방 2개, 거실, 주방이 있는 공간에서 10~14명 정도 같이 지냈던 걸로 기억한다. 새벽에 예배드리고, 학교 갔다가 돌아오면 공부시간이 있었다. 나는 친구들하고 쏘다니느라 고등학교를 중퇴했다. ▲후원금 내역서 같은 걸 본 적은 있는지. - 중학교 때까지인가? 선생님이 1년에 1번 정도 후원금 내역이 적힌 종이를 보여주셨던 기억이 난다. 당시에는 후원자들이 많이 있었고 금액도 많았기 때문에 ‘든든하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퇴소할 때 상황이 기억나는지. - 선생님이 갑자기 짐을 싸라고 했다. 그리고 2~3일 뒤에 자립생활관으로 옮기게 됐다. 가방 하나, 옷 한 박스, 이렇게 가지고 나왔다. 고등학교를 다 마치지 못해 다른 애들보다 일찍 나온 건가 하고 생각했다. ▲퇴소 이후에 어떻게 살았는지. - 당장 돈을 벌어야 했다. 주유소에서 아르바이트를 했다. 내가 좀 덜 떨어지고 공부도 많이 못해서인지 아르바이트 사장들이 나를 많이 등쳐먹었다. PC방에서 일할 땐 몇 만원씩 용돈처럼 주고 월급을 주지 않기도 했다. 월급을 달라했더니 ‘내가 언제 널 고용했냐. 네가 날 돕겠다고 하지 않았냐’는 답이 돌아오기도 했다. ▲자립정착금에 대해 알고 통장 내역을 봤을 때 기분은. - 퇴소 당시 백 얼마가 든 통장 하나만 주면서 그걸로 살라고 해서 부당하다고 생각을 하면서도, 내가 고등학교도 졸업하지 못해서 그런 건가, 이렇게 생각을 하곤 했다. 그랬는데 통장 내역을 보고 내가 만져보지도 못한 돈이 들락날락했다는 걸 알았을 땐 ‘정말 뭐지?’ 싶었다. ▲영락보린원 앞에서 시위를 하고 있다. 영락보린원 반응은. - 내가 바라는 건 영락보린원에서 당시 일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힘들게 산 만큼 적절한 피해 보상도 원한다. 하지만 영락보린원에서는 자기네들도 모르는 일이고 너무 오래된 일이다 보니까 이런 일에 좀 관여하고 싶어하지 않는 기색이다. 지난주 화요일(23일)에는 원장님이 나를 따로 불러 ‘개인적으로 월세 한두 달치를 챙겨주겠다’고 하더라. 거절했다. ▲자립정착금을 제대로 받았다면 민우씨의 생활이 달라졌을까. - 한 푼, 한 푼이 정말 귀했다. 1만원, 2만원이 급한 상황이었다. 자립생활관에서 월세 몇 만원이 없어서 쫓겨나 길바닥 생활을 했다. 누군가에게는 많은 돈이 아닐 수 있다. 하지만 내게 그 돈이 있었다면 그때 참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jsjang@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지선 기자 다른기사 보기 관련기사 <단독> ‘56초 만에’ 사라진 자립정착금의 비밀 <단독> ‘고아의 홀로서기 비용을 누가?’ 56초 만에 사라진 자립정착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댓글 0 댓글입력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 최신순 추천순 사회 많이 본 뉴스 [단독] ‘국민 훈장님’ 김봉곤 서당 불법전용 의혹 [단독] ‘국민 훈장님’ 김봉곤 서당 불법전용 의혹 [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법 없이도 살 사람하면 훈장님이 떠오른다. 불법과는 거리가 멀 것만 같은 김봉곤 훈장 관련 서당이 지자체에서 위반 조치를 받았다. 김 훈장이 운영하는 서당에서 불법 농지전용 의혹이 불거졌다. 최근 TV조선 에서 3위를 차지한 김다현... [단독] ‘청소년 지키기’ 교육부 이중행보 [단독] ‘청소년 지키기’ 교육부 이중행보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최근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 도움의 손길을 바라는 아이들의 신호를 파악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한 상황이다. ‘단 한 명의 아이도 놓치지 않습니다’라는 취지로 시작한 청소년 모바일 상담센터 ‘다 들... ‘성범죄 사각지대’ 위기의 탈북녀 천태만상 ‘성범죄 사각지대’ 위기의 탈북녀 천태만상 [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목숨을 걸고 월남한 이들에게 반전의 삶은 없었다. 생활고에 시들린 탈북여성들의 종창역은 유흥업소였다. 이들은 유흥업소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성폭행을 당하기도 한다. 성범죄 사각지대에 놓인 탈북여성들을 가 파헤쳐봤다. 탈북여성들이... 일요시사 주요뉴스 국수본-검찰 불안한 동거 내막 국수본-검찰 불안한 동거 내막 국수본-검찰 불안한 동거 내막 [아트&아트인] 1세대 사진작가 주명덕 작사비 안 주는 작사학원 논란 [일요초대석] ‘걸그룹서 배우로’ 하니의 인생 2막 ‘천정부지’ 특A급 배우들의 몸값 ‘이야기꾼’ 영화감독 장항준의 이야기 [4·7 후폭풍] ‘포스트 재보선’ 마지막 개각 카드 [아트&아트인] 1세대 사진작가 주명덕 [아트&아트인] 1세대 사진작가 주명덕 작사비 안 주는 작사학원 논란 작사비 안 주는 작사학원 논란 [일요초대석] ‘걸그룹서 배우로’ 하니의 인생 2막 [일요초대석] ‘걸그룹서 배우로’ 하니의 인생 2막
댓글 0 댓글입력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 최신순 추천순
사회 많이 본 뉴스 [단독] ‘국민 훈장님’ 김봉곤 서당 불법전용 의혹 [단독] ‘국민 훈장님’ 김봉곤 서당 불법전용 의혹 [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법 없이도 살 사람하면 훈장님이 떠오른다. 불법과는 거리가 멀 것만 같은 김봉곤 훈장 관련 서당이 지자체에서 위반 조치를 받았다. 김 훈장이 운영하는 서당에서 불법 농지전용 의혹이 불거졌다. 최근 TV조선 에서 3위를 차지한 김다현... [단독] ‘청소년 지키기’ 교육부 이중행보 [단독] ‘청소년 지키기’ 교육부 이중행보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최근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아이들이 늘고 있다. 도움의 손길을 바라는 아이들의 신호를 파악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한 상황이다. ‘단 한 명의 아이도 놓치지 않습니다’라는 취지로 시작한 청소년 모바일 상담센터 ‘다 들... ‘성범죄 사각지대’ 위기의 탈북녀 천태만상 ‘성범죄 사각지대’ 위기의 탈북녀 천태만상 [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목숨을 걸고 월남한 이들에게 반전의 삶은 없었다. 생활고에 시들린 탈북여성들의 종창역은 유흥업소였다. 이들은 유흥업소 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성폭행을 당하기도 한다. 성범죄 사각지대에 놓인 탈북여성들을 가 파헤쳐봤다. 탈북여성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