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 이력서> (8)곤드레·냉이

곡식 대신 나물로 보릿고개를 넘기다

오이, 쑥갓, 가지… 소박한 우리네 밥상의 주인공이자 <식재료 이력서>의 주역들이다. 심심한 맛에 투박한 외모를 가진 이들에게 무슨 이력이 있다는 것일까. 여러 방면의 책을 집필하고 칼럼을 기고해 온 황천우 작가의 남다른 호기심으로 탄생한 작품. ‘사람들이 식품을 그저 맛으로만 먹게 하지 말고 각 식품들의 이면을 들춰내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나름 의미를 주자’는 작가의 발상. 작가는 이 작품으로 인해 인간이 식품과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곤드레’라는 말을 처음 접한 시기는 20대 막판 무렵 JP(김종필 전 총리) 주도로 이루어진 술 자리에서였다.

잔을 채우자 느닷없이 JP께서 제안하신다.

당신이 ‘곤드레’를 선창할 터이니 ‘만드레’로 화답하라고.

[곤드레]

의아해하며 그를 따라하자 그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당신이 제안한 건배사, ‘곤드레만드레’는 그야말로 허리띠 끌러놓고 정신은 물론 몸도 제대로 가누지 못할 정도로 흠뻑 취해보자는 이야기였다. 

당연히 그리 해야 할 일로 그 좌석은 물론 이후 JP와 술자리를 가지게 되면 항상 ‘곤드레’와 ‘만드레’를 외치며 잔을 비우고 시쳇말로 ‘떡이 되어’ 귀가하고는 했다.

JP의 건배사인 곤드레만드레에 대해 우리 선조들은 어떤 표현을 사용했는지 궁금하다.

하여 고문서를 살피자 醉如泥(취여니), 醉作泥(취작니), 醉似泥(취사니) 등이 등장한다.

말 그대로 진창(泥)이 되도록 취한다는 의미로, 애주가인 필자로서 선조들의 호방함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내친 김에 필자의 건배사 ‘애주가를 위하여’에 대해서도 소개해보자.

소설가로 변신한 어느 한날 이 사회에서 잘 나가는 친구들을 만나 술자리를 가지게 되었는데, 술자리가 무르익자 서로 제가 잘났다고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가만히 그를 지켜보다 술잔을 들고는 대뜸 한마디 했다.

“이 땅에서 가장 끗발 좋은 자가 누군지 아냐”고.

그러자 이 친구들 서로의 얼굴을 바라보다 나를 주시한다. 순간 곧바로 다음 말을 이어간다.

“‘가’자로 끝나는데 감이 오지 않냐”라고. 

그러자 약속이라도 한 듯 ‘소설가’를 되뇐다.

그들의 얼굴을 찬찬히 살피며 답한다. 

“소설가 같은 소리하고 있네. 소설가가 아니라 애주가야, 이 자식들아!” 

그러자 좌석은 잠시 폭소판으로 변하고 이어 필자의 건배사 ‘애주가를’, ‘위하여’가 이어진다.

이제 나물 곤드레로 돌아가자.

곤드레라는 나물 이름에 대해 혹자는 바람에 흔들리는 잎사귀가 마치 술 취한 사람과 같다 해서 붙은 이름이라 하고 또한 민들레나 둥글래처럼 곤드레의 원이름은 곤들레였다고도 한다.

그에 대한 정확한 사실은 알 수 없으나 필자는 그 이름의 기원을 ‘곤’에서 찾고자한다.

곤은 물론 困(곤)으로 곤궁함을 의미한다.


곤궁한 시기에 들판 여기저기서 즉 ‘들에’서 자라나는 나물로 굶주림을 해결했다고 해서 ‘곤들에’로 또 ‘곤드레’로 변한 게 아닌지 추측해본다. 

이를 위해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 1호인 정선 아리랑 가사 중 일부 인용한다.

한 치 뒷산에 곤드레 딱죽이 임의 맛만 같다면
올 같은 흉년에도 봄 살아나네

정선 아리랑은 조선 건국 직후 정선 전씨의 중시조인 전오륜 등 고려 충신 7인이 정선 서운산으로 피신해 고려왕조에 대한 충절을 맹세하며 여생을 산나물을 뜯어먹고 살면서 자신들의 정한을 노래에 담아 불렀다고 알려져 있다.

그 과정에 등장하는 대표적 나물이 곤드레였으니 필자의 추측이 마냥 그르다 할 수 없다. 

곤궁함 의미 ‘곤들에’서 ‘곤드레’로? 
고량진미(膏粱珍味)’ 냉이에 대한 극찬


[냉이]

조선 초기 인물로, 용재총화로 널리 알려진 성현(成俔, 1439∼1504)의 작품 감상해보자. 

薺花(제화)

叢生盤地托芳根(총생반지탁방근) 
향기로운 뿌리로부터 무더기로 태어나니 
甘軟調羹自媚飧(감연조갱자미손)
달고 연해 국 끓이면 맛 일품인데
陌上雪殘靑葉長(맥상설잔청엽장) 
눈 남은 길 위에 푸른 잎 자라나고
墻陰春老素花繁(장음춘로소화번) 
늦 봄 그늘진 담장에 흰 꽃 무성하네 
五溪野外人誰採(오계야외인수채)  
오계의 들 밖에서 어느 사람이 캐는가 
萬落城中賣作斤(만락성중매작근) 
만호의 성 안에서 근으로 달아 파네
舊穀旣空新麥短(구곡기공신맥단)  
오래된 곡식 떨어지고 햇보리도 부족하면 
饞農辛苦度朝昏(탐농신고도조혼) 
주린 농부 고통스럽게 아침저녁 넘긴다네

성현이 냉이 꽃을 바라보며 냉이에 대해 읊은 시다.

그에 의하면 흥미로운 표현이 등장한다.

냉이가 그저 그렇고 그런 나물이 아니라 보릿고개에 직면해 먹을 음식이 모두 동났을 때 구황식품으로도 사용됐다고 하는 대목이다.

구황식품이란 말 그대로 식량이 부족할 때 곡식 대신 먹는 식품인데 냉이가 바로 그러하다는 이야기다.

정말 그럴까.

이를 위해 중국 송대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집대성한 주희의 문인 채원정(蔡元定)이라는 인물에 대해 살펴본다.

고전을 살피면 그는 스승인 주희를 만나기 전 서산 꼭대기에 올라 냉이 나물로 연명하며 글을 읽었다고 한다.

또 있다. 고려 말 대유학자인 이색(李穡, 1328∼1396)의 작품 스스로 읊다(自詠, 자영)에 등장하는 대목이다.

繞墻老薺望人肥(요장로제망인비) 
담장 주위에 피어난 냉이라도 사람들이 배불리 먹고 허기를 면했으면

마지막으로 서거정 작품 감상해보자.

薺(제)
냉이

食肉元無相(식육원무상)
고기 먹을 일 원래 없는데
春廚薺菜香(춘주제채향)
봄날 부엌에 냉이 나물 향기롭네
和羹能悅口(화갱능열구)
국에 넣으면 기막히게 맛나
佐食足撑腸(좌식족탱장)
밥을 더하니 속이 든든하네
軟滑何須酪(연활하수락)
보드랍기는 어찌 우유뿐이랴
甛甘絶勝糖(첨감절승당)
달기는 사탕수수보다 훨씬 낫네
客來吾欲詫(객래오욕타)
손님 오면 자랑하고 싶네
第一是膏粱(제일시고량)
제일 가는 고량진미라고

냉이에 대한 극찬이 멈추지 않는다.

급기야 서거정은 냉이를 고량진미라 추켜세운다.

고량진미(膏粱珍味)는 기름진 고기와 밥으로 이루어진 대단히 귀한 음식인 바 냉이가 바로 그렇단다.


<계속>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마계 캄보디아’ 정부 뒷북 내막

‘마계 캄보디아’ 정부 뒷북 내막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 기자 = 캄보디아 대학생 피살 사건에 대한 정부의 뒷북 대응에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급증했음에도 침묵한 것이다. <일요시사>가 최초 보도했던 보이스피싱 원조 김미영 팀장 탈옥 사건에 이어 주무부처의 소극 행정이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정부는 급히 대책을 마련 중이지만 ‘코리안데스크’가 능사는 아니라는 분석이 나온다. 캄보디아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은 수백명이다. 스캠(사기) 산업에 연루된 수만 1000여명으로 추산된다. 일부는 불법행위라는 걸 알면서도 발을 들였다. 문제는 구금 시설에서 빠져나오려다가 인신매매를 당하거나 살해당하는 일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정부는 여러 사건을 인지했음에도 그저 피해자들에게 “기다리라”고만 했다. 감금 한국인 그들은 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인 대상 범죄 피해가 확산하는 캄보디아 문제에 대해 언급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월부터 8월까지 현지 공관에 접수된 감금 관련 신고는 약 330건, 외교부 공관 신고를 포함하면 약 550건인 것으로 파악했다. 대다수 사안이 처리된 가운데 현재 처리 중인 신고 건은 70여건이라고 위 실장은 설명했다. 위 실장은 “정부 차원에서 여러 대처를 하고 있지만, 캄보디아 내에서 범죄 대응은 본질적으로 캄보디아 주권 사안이기 때문에 우리가 대응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며 “우리 국민 중 불법행위라는 것을 알면서도 자발적으로 발을 들인 경우도 많다”고 설명했다. 최근 현지에서 고문당해 숨진 대학생의 시신 운구가 지연된 상황과 관련해서는 “유가족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공동 부검을 요구한 것과 관련이 있다”며 “캄보디아 측에서는 공동 부검이 흔치 않기 때문에 소화하려면 내부 절차가 있고, 내부 절차가 진행되는 데 시간이 소요됐다”고 부연했다. 위 실장은 현지 당국에 구금된 한국인 60명 송환 계획과 관련해서는 “빠른 시일 내 그분들을 서둘러서 데려오려는 입장”이라며 “항공편도 다 준비됐다”고 말했다. 돈이 급한 한국인들은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글을 보고 동남아로 향한다. 태국이나 라오스 및 캄보디아 국경지대서 피싱 조직에 납치당하면 빠져나오기 쉽지 않다. 현지 당국에 신고한다고 해도 오히려 살해 협박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캄보디아는 필리핀처럼 현지 수사기관 및 공무원들과 범죄조직 사이의 비리가 만연하다. 범죄조직 아지트를 당국이 확인해도 눈감아주는 경우가 다반사다. 현지 코리안데스크 있으나마나 똑같다? 유족·피해자에 “기다려라” 황당 대응 한 경찰 관계자는 “수감 중인 한국인이 다른 조직에 팔려가 인신매매가 벌어지거나 탈출을 시도하면 살해당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캄보디아 피싱 조직은 대부분 중국계 갱단인 ‘흑사회’로 구성돼있다. 이들은 캄보디아 고위 공무원들에게 우리나라 돈 수억원을 상납한다. 매수된 공무원은 구속된 조직원을 빼주는 것은 물론, 경찰 급습 시점을 사전에 알려주기도 한다. 캄보디아 피싱 조직이 드러나기 시작한 건 필리핀과 태국에 주둔했던 흑사회 간부들이 캄보디아에 자리 잡기 시작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피싱 조직에 몸담았던 한 관계자는 “필리핀과 태국은 자본주의 국가다. 아무리 부패와 비리가 심해도 공산주의와 독재 국가 체제인 캄보디아보다 심하지 않다”며 “중국 갱단은 원래 필리핀에 자리 잡았다. 마약, 도박 범죄 등으로 여러 번 언급되자 4~5년 전부터 캄보디아에 모여들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캄보디아는 필리핀보다 공무원을 매수하는 비용이 싸다. 경찰관 한 명을 매수해 자신의 인터폴 수배 여부를 확인하는 등 수사 정보를 알기 위한 비용이 한국 돈으로 100만원이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한국인 대상 범죄 급증에 대한 대책으로 캄보디아 ‘코리안데스크(한인 사건 전담반)’ 설치를 추진 중이다. 지난 10일 조현 외교부 장관이 쿠언폰러타낙 주한 캄보디아 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항의했다. 영사협의회에서도 코리안데스크 설치 협력을 요청하기도 했다. 경찰청도 최근 캄보디아와의 양자 협의에서 이를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코리안데스크는 경찰 협력관과 달리 대사관 등 외교 채널을 거치지 않고 현지 경찰과 소통할 수 있어 합동 수사에 용이하다. 국외도피사범을 추적하거나 한국인 범죄 피해를 파악할 때 교민 사회 등에서 관련 내용을 수집해 현지 경찰관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수사를 돕는다. 실종, 살해… 뒤늦게 논의 현지 경찰관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어 국제형사사법공조나 인터폴(국제형사경찰기구) 등을 통한 공식 요청보다 빠르게 현지 수사가 가능하다. 필리핀에서 코리안데스크는 한국인을 상대로 자행된 청부살인 등 강력 사건 해결에 큰 역할을 했다. 캄보디아 공권력을 신뢰하기 어렵고 현지 치안이 열악한 점 등을 고려해볼 때 최우선 해결책으로 꼽히는 이유다. 국제 앰네스티는 지난 6월 보고서에서 캄보디아 내 범죄 산업이 성행한 원인이 “조직범죄와 부패한 공권력의 결합 구조”에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보·수사기관 안팎에서는 무의미한 조치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캄보디아 당국이 국제 공조에 소극적이기도 하지만 코리안데스크는 수사 권한이 없다는 게 핵심이다.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청은 최근까지 캄보디아 당국에 20건의 국제 공조를 요청했으나 절반도 되지 않는 답변을 받았다. 특히 캄보디아 당국이 코리안데스크 설치를 세 차례 거부하기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코리안데스크 출신 한 경찰은 “필리핀은 우리나라 정부가 집요하게 압박해 코리안데스크를 설치한 이후 현지 경찰과의 협조가 가능해졌다. 협조가 된다고 해도 범죄자 송환이나 사건 조사가 이뤄지는 경우는 절반도 안 된다. 캄보디아는 더 힘들 것”이라고 평가했다. 경찰 파견 무의미? 이 경찰은 “정부 차원에서 강하게 압박을 넣어야 한다. 외교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받아들이지 않으면 국물도 없다’는 식의 각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코리안데스크 설치가 불발될 경우의 수가 존재하는 만큼 경찰관 직무 파견 확대가 현실적 대안으로 거론된다. 파견 경찰관을 선발한 뒤 1년 단위로 재발령을 거쳐 최대 2~3년간 현지에서 근무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단기간에 경찰 주재관을 늘리는 게 쉽지 않은 게 이유다. 2021년 11월 가나 해군은 한국인이 승선한 어선을 위해 안전조치를 하고 있다. 선례도 있다. 앞서 정부는 러시아, 아르헨티나 등에 경찰 인력을 직무 파견했다. 2020년엔 가나대사관에 해양경찰관을 직무 파견했다. 서아프리카 해역에 해적이 출몰하면서 한국인 선원 13명이 납치된 데 따른 조치였다. 정부는 외교 채널을 통해 가나 부처에 공식적으로 도움을 청하는 동시에 파견 경찰은 물밑에서 움직였다. 현지 해군, 경찰 관계자를 지속해 접촉하며 설득을 이어갔고, 가나에 주재하는 타국 외교 사절과도 교류하며 정보를 공유했다. 또 가나가 필요로 하는 컴퓨터 등 기자재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호감을 얻으며 협의를 이어갔다고 한다. 이는 결국 가나 해군이 투입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 소극 행정을 일삼는 우리 정부도 문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 외교부와 행정안전부 등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행안부는 지난해 주캄보디아 대사관 경찰 주재관을 증원해달라는 외교부의 요청을 불승인했다. ‘해외 도주’ 황하나 프놈펜 잠적 단독 확인 인터폴·경찰 수배 피하려 피싱조직 연루설도 당시 행안부는 외교부 증원 요청을 불승인한 이유에 대해 “사건 발생 등 업무량 증가가 인력 증원 필요 수준에 못 미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인 범죄 피해는 2022년 81건에서 2023년 134건, 지난해 348건으로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확인된 범죄 피해는 303건에 달한다. 현재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서 근무 중인 경찰은 주재관 1명과 협력관 2명 등 총 3명이다. 그나마 이렇게 늘어난 인력도 애초 경찰 주재관 1명만 있다가 지난해 10월과 지난달 직무 파견 형태로 협력관을 1명씩 추가 투입한 데 따른 것이다. 위 의원은 “캄보디아에서 우리 국민이 잇따라 납치·감금 피해를 당하고 있음에도 당시 윤석열정부가 경찰 주재관 증원을 외면한 것은 명백한 잘못”이라며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조차 거부한 이유를 이번 국정감사에서 반드시 따져 묻겠다”고 강조했다. 캄보디아는 범죄자들에게 천국이다. 필리핀에서 송환되지 않거나 자유롭게 탈옥해 붙잡히지 않은 텔레그램 ‘마약왕 전세계’ 박왕열과 보이스피싱 원조 김미영 팀장 박정훈 등이 그렇다. 국내에서 수차례 마약 사건의 중심에 섰던 황하나씨도 이들의 수법을 활용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일요시사>는 지난해부터 황씨가 인터폴 수배 대상에 오르자 태국과 필리핀, 캄보디아 등을 오간 사실을 확인하고 취재해 왔다. 실제로 황씨는 지난해 3월 <일요시사>와 전화 통화에서 “지금 태국에 있는데, 아파서 병원에 왔다. 나중에 연락하겠다”고 말했다. 황씨는 수년 전부터 화류계에 몸담거나 연예계에 종사하는 여성들을 재벌가에 연결하는 일종의 브로커를 담당했다. 그로 인해 마약을 강제로 투약당하거나 피해 본 인물이 있을 정도다. 국내에서의 생활이 어려워진 황씨가 캄보디아에서 브로커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범죄자 천국 악당 은신처 인터폴에 체포되지 않으려 캄보디아 피싱 조직에 한국인 여성들을 공급한다는 것이다. 실제 캄보디아 공항에 도착한 한국인 20~30대 여성들은 납치된 이후 여권과 휴대전화를 빼앗겨 범죄 단지 ‘웬치’에 감금된다. 이 여성들은 대부분 유흥업소로 끌려간 것으로 알려졌다. ‘웬치’에는 현재 한국인 1000명 이상이 거주 중이다. 다만 이들의 범죄 연루 여부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상황이다. <hound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