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우민미술상 수상자’ 민성홍

코로나19, 표류하는 사물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코로나19의 여파는 작품활동을 하는 작가들에게 심리적·정신적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신은 그 자리에 있는 것 같지만 사회 시스템의 변화로 의지와는 상관없이 위치가 바뀌는 상황이다. 민성홍은 그 과정서 정체성, 이산과 집단, 그리고 그 경계의 모호성을 드러내는 작업에 천착하고 있다. 
 

▲ 18 다시락(多侍樂)  Playing with everyone, 2016, 세라믹, 수집된 오브제, 나무에 채색, 나무구슬, 바퀴, 조명, 종이꽃, 가변 설치

충북 청주 소재 우민아트센터가 지난해 6월 우민미술상 수상자로 민성홍 작가를 선정했다. 민성홍은 세라믹과 종이, 나무, 바퀴 등 버려진 가구를 재조립해 만든 ‘다시락’으로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용미 우민아트센터 관장 등 4명의 심사위원은 “만장일치로 민성홍 작가를 선정했다”며 “자료의 수집부터 개념의 설정, 작품 제작까지 스스로 해결하는 작가의 끈기 있는 태도가 돋보였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사물의 변화

민성홍은 우민미술상 수상작가전 ‘Drift_표류하는 사물들’로 관객들과 만난다. 그는 버려진 사물이라는 객관적 상관물에 주변 환경의 영향력 아래 있는 개인과 집단적 삶의 태도를 유비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객관적 상관물은 개인의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사물과 사건을 통해 객관화하려는 창작기법을 뜻한다. 

이번 전시서 그는 외부환경의 변화로 인한 사회구조적 불안이라는 정서적 전이에 대한 개인과 집단의 대응방식을 임시 주거 공간, 애드벌룬, 병풍, 방어벽 등의 구조물로 형상화했다.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정체성을 끊임없이 구축해나가야 하는 현대인의 생존 방식과 인식적 변화를 반영한 작업이다. 


만장일치로 수상
“끈기 있는 태도” 

민성홍에게 사물은 분신적 의미를 가진 대상인 동시에 외부로부터 부여된 고정성을 탈피하고 다른 존재들로의 가능성에 무한히 열려 있는 존재다. 노마드 세계관이 투영된 사물은 주변 환경에 따라 자아 정체성의 변화를 꾀하는 복수적 존재에 대한 욕망이 투영된 대상이거나 상황 인식이 시각적으로 확장된 형태다. 

이번 전시는 버려진 사물을 보이는 주체서 행위 하는 주체로 변화를 꾀한 다시락 작업과 신작 Drift_표류하는 사물들 시리즈로 구성됐다. 민성홍은 작품들을 통해 표류하는 사물에 투영된 인식 변화와 적응 태도를 가시화했다.
 

▲ 05 Drift_제한성을 위한 연습 Drift_ Exercise for limitation, 2020, 세라믹, 나무구슬에 채색, 금속링, 에드벌룬, 패블릭에 피그먼트 프린트, 가변 설치

이는 지난해 열린 ‘전이를 위한 연구’ 전시의 연장선상에 있는 작업이다. 또 상황과 인식의 변화로 인해 정체성이 불분명해지거나 불확실해진 존재인 사물의 확장 가능성을 찾아 한계를 뛰어넘으려 다양한 시도를 모색했다. 사물이 가진 의미와 기능을 확장해 변화의 속성을 연습, 연구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변화된 시대의 생존방식을 찾는 구체적인 대안에 대해 실험했다. 

팬데믹으로 심리적 압박감
변모를 위한 다양한 시도

비정형, 가변성, 적응 방식 등의 제목이 붙은 신작들은 위기와 변화에 대처하는 민성홍의 고민을 드러낸다. 위기 상황에 특정 방식을 고수하지 않으면서 자기 방어적이면서 유연한 태도는 예측할 수 없는 형태로 들이닥치는 변화의 파고에 휩쓸리지 않고 적응하려는 다양한 노력의 면면을 보여준다. 

신작과 함께 걸린 다시락 시리즈는 상주와 유족의 슬픔을 덜어주기 위한 장례 놀이서 그 의미를 따왔다. 여기에 시각적 대상의 해석과 행위의 가능성을 확장시켜 상실의 슬픔을 넘어 새로운 시작과 재탄생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적응의 노력

우민아트센터 관계자는 “주변 환경의 변화를 수용하는 삶의 인식적 태도를 작업적 태도와 일치시켜온 민성홍에게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은 전시 때만큼이나 불안감을 안겨준 것으로 추측된다”며 “작업을 제작하는 과정을 사회적 시스템과 관계를 이해하는 과정으로 인식한 그는, 변화에 휩쓸리지 않고 변모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을 표류하는 사물들의 실험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다”고 전했다. 전시는 9월5일까지.


<jsjang@ilyosisa.co.kr>

 

[민성홍은?]

1972년 서울 출생

▲학력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대학원 회화 전공(2004)
추계 예술 대학교 서양화 전공(1999)

▲개인전

‘전이를 위한 연구’ Space XX(2019)
‘Fence around’ CR 콜렉티브(2018)
‘Overlapped Sensibility’ Art Loft(2018)
‘Known or Unknown’ 아트스페이스 휴(2018)
‘Rolling on the ground’ 문래예술공장 스튜디오 M30(2017)
‘Overlapped Sensibility: Imbued 채우다’ 경기도미술관- 프로젝트 갤러리(2015)
‘Overlapped Sensibility: Carousel’ 갤러리 Planet(2015)
‘Compression’ 갤러리 마노(2012)
‘the ISLAND’ Gallery Art Ga(2011)           
‘Festival in the Island’ Sabina Lee 갤러리(2008) 외 다수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채 상병 특검’ 공수처 불편한 속내

‘채 상병 특검’ 공수처 불편한 속내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 기자 = ‘채 상병 특검’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야권의 4·10 총선 압승으로 더불어민주당의 움직임에도 속도가 붙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난감하기만 하다. 부족한 인력으로 인해 수사의 첫 단추도 끼우지 못하는 실정이다. 발 빠른 수사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공수처 안팎에서는 정치권의 책임 떠넘기기에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조직이 와해되기 직전인데 수사에 속도가 어떻게 나겠느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 출신 한 변호사의 말이다. 요즘 공수처의 분위기는 참혹하다. 해병대 ‘채 상병 사건’으로 반전을 꾀하고 싶어도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특별검사(이하 특검) 목소리가 거세지면서 ‘비교 대상’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대통령실 압수수색? 채 상병 사건 특검법 추진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공수처의 분위기는 암흑 상태다. 검찰 제도를 보완해 ‘상설특검’ 명목으로 출범했음에도 ‘늑장·부실’ 수사 논란 속에 결국 사건 기록을 특검에 넘겨줘야 하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은 오는 5월2일, 임시국회를 열어 법안을 표결하자는 분위기다. 법안 통과를 위해서는 국회의장과 여당의 협조가 필요한데, 총선 이후 여당 일각서도 채 상병 특검에 동의하는 분위기가 표출되고 있다. 채 상병 특검 법안은 지난해 10월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된 뒤 180일의 숙려 기간을 거쳐 본회의 표결만 하면 언제든 통과할 수 있는 상황이다. 채 상병 사건 수사 갈래는 크게 두 가지다. 무리한 수색 지시 등 책임자를 가리는 본안 수사가 경북지방경찰청서 진행 중이고,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 조사에 국방부와 대통령실 관계자가 개입했다는 외압 의혹은 공수처가 맡고 있다. 외압 핵심 피의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달 주호주대사로 임명돼 부임 후 사퇴하는 과정서 대통령과 법무·외교부 장관의 직권남용 의혹도 공수처에 추가로 고발됐다. 야권이 특검을 통해 밝히려는 사안의 실체는 수사 외압에 집중돼있다. 특검이 통과되면 공수처가 내려던 실적이 특검으로 넘어가는 건 불 보듯 뻔한 일이다. 민주당은 이 대사 임명 과정서의 추가 의혹도 특검법안을 수정 발의해 포함할 계획이다. 공수처는 수사의 무게를 일부 덜겠지만, 6개월 넘게 진행해온 사건 기록을 외부에 넘긴다는 건 또 다른 비판의 빌미를 제공하는 셈이다. 특검 추진 본격화…수사팀 의욕 잃어 “이럴 거면 왜 강조하나” 불만 증폭 공수처 출신 한 변호사는 “인력난 때문에 고전하는 상황이다. 내부 얘기를 들어보면 ‘죽을 맛’이란다. 채 상병 사건 수사는 최선을 다하려 했는데 특검이 언급되면서 수사팀의 의욕이 상실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공수처법상 수사 범위와 인원 범위가 지나치게 제한돼있어 실질적인 수사 기능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설명이다. 공수처법은 공수처의 수사 범위를 현직 공직자와 그 가족, 퇴임 3년 이내 전직 고위공직자로 한정하고 있다. 공수처 검사와 수사관의 인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현재 공수처법이 규정하고 있는 검사와 수사관의 규모는 처·차장 포함 검사 25명, 수사관 40명이다. 공수처법을 추진할 당시 규모는 검사 30~50인, 수사관 50~70인이 제안됐지만 법무부와 국회의 논의를 거치면서 현재 정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공수처 관계자는 “총선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인원 확대와 관련해 국회와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며 “검사의 신분보장을 위한 임기에 대해서도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공수처는 최소한의 행정인력이라도 확보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해 달라고 호소한 바 있다. 현행법상 행정인원 정원은 20명인데 지난 2022년 공수처는 행정직원 중 국·과장과 직제 파견자 등 7명을 제외하면 실제 가용인원이 13명에 불과해 수사관을 행정인력에 투입해야 할 상황에 놓인 바 있다. 공수처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법 개정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다. 특히 공수처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일치시켜 수사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공수처는 ‘공수처법상 기소권 없는 사건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연구용역’을 발주하는 등 수사 대상과 기소 대상의 불일치로 발생하는 구속영장 논란을 정리하기 위한 연구에 착수하기도 했다. 인력난 가중화 지금까지 공수처가 채 상병 사건을 수사한 상황을 보면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지난해 12월 이 전 장관 등을 출국금지했고, 한 달 후인 지난 1월 압수수색에 착수했다. 이후 포렌식과 참고인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전 장관을 비롯한 국방부 지휘부와 해병대 수뇌부 등에 대한 조사는 특검의 몫이 될 가능성도 있다. 경우에 따라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등으로 특검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공수처와 경찰은 특검법 처리 여부를 주시하며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총선 국면서 논란의 중심에 선 공수처는 수사를 신속하게 진행해 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겠다는 입장이다. 공수처 지휘부 공백 상태가 영향을 줄 여지도 있다. 주요 피의자 소환 및 신병처리 등 주요 의사결정을 처장 대행인 부장검사가 결정하기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다. 만약 국회서 여야가 특검법 처리에 합의하는 수순을 밟으면 공수처도 새로 출범할 특검에 기록을 인계하기 위한 작업에 중점을 둘 가능성이 크다. 현재 본회의에 회부된 안은 민주당이 지난해 9월 발의한 법안이다. 민주당이 지난 3월, 이 전 장관이 주호주대사로 임명된 경위를 수사해야 한다는 별도의 특검안도 국회에 제출했기 때문에 이 두 법안이 병합되는 안도 거론된다. 본회의 회부 안건은 수사기간을 최장 100일로 정하고 있는데, 잔여 수사를 검찰에 이첩하도록 명시됐다. 경찰과 공수처가 시작한 수사가 특검을 거쳐 검찰 손에 넘어가는 것은 부자연스럽다는 말도 나온다. 민주당이 3월 발의한 안은 잔여수사 이첩 대상을 검찰과 공수처로 정했다. 단추도 못 끼워 민주당이 특검법 조항 일부를 양보하고 국민의힘이 수사 대상 확대에 동의하는 시나리오도 정치권을 중심으로 나온다. 이런 과정서 본회의 회부 안이 조정될 수도 있다. 이 가운데 이 전 장관은 최근 변호인을 통해 공수처에 “소환조사를 진행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전 장관 측이 공수처에 소환조사를 요청한 것은 이번이 네 번째다. 이 전 장관 측 김재훈 변호사는 최근 공수처에 소환 촉구 의견서를 내고 “이 전 장관은 호주 대사직서도 물러났으나 공수처는 지금까지도 아무런 연락이 없다”며 “공수처의 이런 수사 방기 탓인지 정치권에서는 특검 필요성까지 제기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 전 장관 측은 공수처에 보낸 의견서에서 “이첩 보류 지시는 직권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 전 장관 측은 “국방부 장관은 민간 수사기관으로의 사건 이첩에 대한 최종 승인권자이므로 인사권자가 인사안 결재 후 이를 취소·변경할 수 있듯이 그 승인을 변경할 수 있다”며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수사 권한이 있다느니, 수사단장에게 민간 수사기관으로의 이첩 권한이 있다느니 하는 것은 법 규정의 몰이해로부터 비롯된 억지”라고 주장했다. 이 전 장관 측은 ‘이 장관이 보고서를 회수하라고 지시하기 전에 대통령실 내선번호로 전화를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 전 장관 측은 “이 전 장관은 대통령으로부터 (사단장을 빼라는)지시를 받은 사실이 없다”며 “당시 장관이 군사보좌관과 논의하는 과정서 ‘(초급 간부들까지 처벌 대상에 포함한다면)초급 간부들이 힘들어할 것 같다’는 의견을 나눴고 법무관리관실의 법리 검토를 거쳐야 한다고 판단해 이첩 보류를 지시했다”고 강조했다. 수사 인원 범위 제한적 법 개정 안되면 도루묵 이어 “재검토한 결과 8월24일 직접적인 혐의가 있는 2명을 경찰에 이첩했고, 해병대수사단 조사기록 원안도 그대로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전 장관 측은 민주당이 추진하는 ‘채 상병 특검’도 비판했다. 이 전 장관 측은 “공수처의 1차 수사 결과도 나오지 않은 상황인데 무엇이 미흡하고 국민적 의혹이 남아 해소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냐”며 “특검 논란을 잠재울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은 공수처의 신속한 수사와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공수처 수장이 석 달째 공석인 점은 제도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더한다. 윤석열 대통령은 최종 후보자 지명을 두 달 가까이 미루고 있다. 앞서 국회 공수처장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2월29일 판사 출신 오동운(사법연수원 27기) 변호사와 검사 출신 이명순(연수원 22기) 변호사를 후보로 추천했다. 김진욱 전 처장과 여운국 전 차장이 임기 만료로 퇴임해 공수처가 ‘대행 체제’에 들어간 건 지난 1월 말부터다. 김선규 수사1부장이 처장 대행을 맡고 있지만, 지난달 제출한 사직서가 수리되지 않아 임시로 대행직을 수행 중이다. 최근 인사위원회서 연임이 불발된 수사1부 소속 김송경 검사(사법연수원 40기) 임기도 만료됐다. 김 대행이 이끄는 수사1부는 공기광 검사만 남게 된다. 별도 조직개편 계획도 없어 수사 부서 1개가 사실상 사라질 위기다. 윤 대통령이 공수처장 후보자를 지명해도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야 임명이 가능하다. 21대 국회 임기는 내달 29일까지다. 22대 국회가 개원해도 원구성에 시일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신속한 공수처장 공백 해소를 위해선 이달 안으로 후보 지명을 마쳐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수장 공백 장기화 우려 법조계에서는 특검 수사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공수처법에 따르면, 공수처는 이 전 장관에 대한 수사권은 있지만 기소 권한이 없다. 수사를 마친 뒤 검찰에 사건을 넘기고 검찰이 기소 여부를 판단해야 하는 구조다. 공수처 출범 당시 수사·기소권을 모두 줄 경우 일각에선 ‘무소불위 공수처’가 될 거란 우려가 제기되면서 공수처는 법관, 검사, 고위 경찰공무원에 대해서만 제한적 기소권을 갖게 됐다. 문제는 검찰이 채 상병 사건 기소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검찰을 관할하는 법무부는 지난달 8일, 공수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를 해제했다. 사건 처리의 중립성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특검을 통해 채 상병 사건을 수사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