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 없는’ 토니모리 잔혹사

빠져나오기 힘든 ‘적자의 늪’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토니모리가 좀처럼 적자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진은 그나마 선방 중이지만, 딸린 식구들이 1년 농사를 망친 모양새. 빚에 의존하는 경향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 ▲ 배해동 토니모리 회장

2006년 8월 출범한 토니모리는 효율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에 힘입어 단기간에 뷰티업계 강자로 거듭났다. 지난해 말 기준 530여개 국내 매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0년 이후 6년 연속 흑자를 기록하는 등 외형과 내실을 모두 잡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분위기는 그리 녹록지 않다. 최근 3년간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면서 재무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돈만 
까먹는다

2016년 연결 기준 176억3900만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찍었던 토니모리의 영업이익은 이듬해 19억1300만원 손실로 돌아선 뒤부터 줄곧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2018년 영업손실은 50억3600만원에 달했다. 

최고점을 기록했던 지난 2016년과 비교하면 무려 227억원 급감한 ‘어닝쇼크’ 수준의 성적표다. 중국정부의 사드 보복에 따른 수출 부진, 유커 급감에 의한 국내 매장 매출 급감, 동종 업체 간 출혈 경쟁이라는 악재가 동시에 터진 여파였다.

지난해 역시 영업손실 2억7500만원을 기록했지만, 적자 규모를 전년 대비 94.5% 줄였다는 건 그나마 위안 삼을 일이었다. 기타판관비로 처리된 항목이 2018년 171억원서 지난해 75억원으로 급감한 게 손실 폭을 줄인 주된 요인이었다.


다만 이 과정서 가맹점에 대한 지원을 최소화하면서 손실 폭을 줄이고자 애쓴 흔적이 역력하다. 2018년 기준 69억원, 102억원이던 토니모리의 광고선전비와 판매촉진비는 지난해 58억, 56억원으로 축소됐다.
 

순이익도 처참하긴 마찬가지다. 2016년 129억원을 기록했던 순이익은 이듬해 55억500만원 손실로 돌아선 데 이어, 2018년 78억300만원, 지난해 56억9900만원 등 최근 3년간 적자 행진을 거듭했다. 

토니모리 관계자는 “2017년 5월 자회사 메가코스의 공장 완공과 초기 안정화에 따른 적자 발생이 수익성 악화로 연결됐다”며 “올해부터는 다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익 고사하고 손실만 잔뜩
빚 의존도 심해지는 양상

수익성은 물론이고 전체적인 볼륨마저 줄어드는 양상이다. 2016년 2331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토니모리는 ▲2017년 2057억원 ▲2018년 1810억원 ▲2019년 1720억원 등 매출 감소를 겪고 있다. 

특히 직영점 및 가맹점의 매출 하락이 눈에 띈다. 2017년까지만 해도 전체 매출 가운데 36.27%(746억원)를 책임졌던 직영점 및 가맹점은 2018년 31.44%(569억원)로 매출 비중이 줄어든 데 이어 지난해 20.95%(360억원) 수준으로 뒷걸음질쳤다.

반면 해외 매출 비중은 ▲2017년 15.79%(325억원) ▲2018년 16.83%(305억원) ▲2019년 22.03%(379억원)으로 매년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비용 변동추이는 수익성 하락 궤도와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은 ▲2017년 2.05%(42억원) ▲2018년 1.87%(34억원) ▲2019년 1.66%(29억원)로 감소했다. 연구인력 효율화에 따른 인원 감축과 정부 연구과제 수행에 따른 변동으로 해석된다.
 

적자가 거듭되는 가운데 부채에 대한 의존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토니모리의 총자산(총자본+총부채)은 실적 하향세가 두드러졌던 최근 3년간 꾸준히 상승곡선을 그렸다. 2017년 1996억원이던 총자산은 지난해 2408억원까지 증가했다. 이는 전년(2041억원) 대비 18% 상승한 수치다.

총자산이 불어난 건 전적으로 부채가 늘어난 데 따른 결과다. 이 과정서 총자본은 빠르게 감소했다. 토니모리의 총자본은 2016년 1271억원 최대치를 찍은 뒤 ▲2017년 1142억원 ▲2018년 1055억원 ▲2019년 986억원 등 매년 줄어드는 상태다.

현실이 된
빚의 수렁

반면 같은 기간 총부채는 ▲2016년 548억원 ▲2017년 855억원 ▲2018년 987억원 ▲2019년 1423억원 등 매년 증가했다. 급기야 지난해를 기점으로 총부채가 총자본을 역전한 모습이 눈에 띈다.

총자본 감소와 총부채 증가가 동시에 발생한 탓에 부채비율은 요동치기 시작했다. 지난해 말 기준 토니모리의 부채비율(총부채/총자본)은 144.35%. 통상 부채비율 20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봐도 무리는 없다.

다만 ▲2017년 74.8% ▲2018년 93.5%서 볼 수 있듯이 부채비율이 최근 급격한 상승 추세라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실적 최대치를 기록했던 2016년의 경우 부채비율이 43.1%에 불과했다.

토니모리 관계자는 “리스 자산 증가와 1회차 CB 상환 재원 마련 차원서 선제적으로 발행했던 BW로 인해 부채비율이 증가했지만, 이 두가지 효과를 제외하면 오히려 부채비율은 감소했다”며 “1회차 CB는 발행액 300억원 중 260억원을 지난달까지 상환한 상태”라고 말했다.
 

▲ 토니모리 사옥 ⓒ토니모리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 역시 악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2017년 237.3%였던 토니모리 유동비율은 2018년(175.1%) 200%대 밑으로 떨어진 데 이어, 지난해 133.68%까지 뒷걸음질쳤다. 지난해 말 기준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는 각각 1208억원, 904억원이다.

토니모리 측은 IFRS16 효과, 1회차 CB 유동성 대체로 인해 유동부채가 증가했지만 이를 제외하면 유동비율은 지난달 말 기준 약 201%를 나타낸다고 언급했다. 유동비율은 기업이 보유하는 지급능력이나 신용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통상 200% 이상을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반전커녕
악화일로


차입금에 의존하는 경향은 한층 뚜렷해지고 있다. 실적 최대치를 찍던 2016년까지만 해도 40억원에 불과했던 토니모리의 총차입금은 영업손실로 돌아선 2017년에 10배 이상 증가한 411억원에 달했다. 이후에도 총차입금은 매년 증가추세다. 재무제표상에서 토니모리의 2018년과 지난해 총차입금은 각각 573억원, 764억원으로 기재돼있다. 

이는 리스비용을 제외한 채 합산한 수치다. 기준을 달리해서 유동성 리스부채 56억원과 비유동성 리스부채 216억원을 포함시켰다면 총차입금 규모는 1020억원으로 증가한다.

총차입금 중에서 단기차입금의 비중이 나날이 높아지는 현상도 주목해볼 부분이다. 이자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1년 내 갚아야 하는 단기차입금의 특성으로 인해 자금 운영에 일시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든 까닭이다.

2017년 말 기준 100억원이었던 단기차입금 항목은 2018년과 지난해 각각 240억원, 225억원으로 기재돼 있다. 얼핏 보면 단기차입금이 감소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포함된 247억원의 유동성사채를 포함시키면 단기차입금은 사실상 472억원으로 인식된다. 전년 대비 단기차입금이 두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유동성장기부채(유동성리스부채+유동성장기차입금) 역시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빚으로 분류된다는 점에서 단기차입금과 별반 차이가 없다. 2018년 9000만원에 불과했던 토니모리의 유동성장기부채는 지난해 말 기준 158억원으로 증대된 상황이다.


차입금이 늘어난 만큼 차입금의존도 역시 눈에 띄게 올랐다. 2016년 2.2%였던 차입금의존도는 지난해 말 기준 42.4%로 급증했다. 통상 차임금의존도는 30% 이하를 적정 수준으로 인식한다. 같은 기간 단기차입금의존는 2.2%서 26.2%로 변동이 가해졌다.
 

토니모리 재무건전성 악화 추세는 자회사들의 심각한 부진에 따른 것이다. 절반 가까운 자회사가 자본잠식에 빠진 상태고, 이 여파가 토니모리에 악영향을 준 셈이다.

토니모리는 지난해 말 기준 ▲토니모리칭다오유한공사(중국) ▲심양토리화장품유한공사(중국) ▲메가코스화장품유한공사(중국) ▲메가코스화장품상해유한공사(중국) ▲메가코스바이오 ▲메가코스 ▲에이투젠 등 7곳을 종속회사로 두고 있다. 종속법인 가운데 3곳은 총자본이 마이너스 상태인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심양토리화장품유한공사는 2016년 설립 이래 매년 완전자본잠식 상태였다. 2017년 출범한 메가코스화장품상해유한공사, 2018년 편입시킨 에이투젠 역시 심각한 자본잠식 상태다. 에이투젠의 경우 지난해 11월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수혈이 결정되기도 했다.

자회사 편중
부담만 가중

완전자본잠식에 빠지지 않은 자회사라고 해도 실적은 녹록지 않다. 지난해 종속기업 7개 모두가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으며 자회사의 계속되는 실적 악화는 토니모리에 부담이 되고 있다.


<heat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토니모리 오너 일가 지배력

토니모리는 오너 일가 지배력이 공고한 회사로 꼽힌다. 이 같은 특징은 특수관계인 지분구조서 여실히 드러난다.

지난해 말 기준 토니모리의 최대주주는 지분율 32.12%(566만4703주)를 기록한 배해동 회장이다.

배 회장의 부인인 정숙인씨(17.01%, 300만주)가 2대주주로 이름을 올렸고, 배 회장의 자녀인 배진형씨, 배성우씨도 8.50%(150만주)씩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특수관계인의 지분 총합은 66.13%(1166만4703주)에 달한다.

오너 일가 구성원 가운데 배 회장과 장녀인 진형씨가 회사 경영에 관여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토니모리는 2명의 사내이사를 두고 있는데, 배 회장과 진형씨가 여기에 포함된다.

진형씨는 2016년 정기 주주총회를 통해 사내이사에 선임된 후 연임에 성공했다. 1990년생인 진형씨가 사내이사에 오를 당시 나이는 27살이었다.

뉴욕대학교를 졸업한 진형씨는 2015년 토니모리 해외사업부에 입사하면서 내부에 모습을 드러냈다. <양>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 처리됐다. 지급보증을 섰던 롯데건설은 우빈산업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넘겨 받으면서 49%를 확보했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이 보유한 19.5%는 롯데건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다. SPC 빛고을 내에서 롯데건설의 발언권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1명은 앤유 대표인 정모씨의 아내로 추정된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