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석은 없지만 지킬 건 있다” ▲ 퍼터 올바른 예(왼쪽), 퍼터 잘못된 예(오른쪽) 아마추어 골퍼들은 퍼터에서 잦은 실수를 범한다. 그 실수를 줄이기 위해 어떤 방법으로 연습해야 할까? ▲어드레스를 점검하자= 퍼터에 대한 손의 그립에 관한 정석은 따로 없다. 하지만 지켜야 될 부분이 딱 하나 있다. 양손의 엄지손가락은 항상 퍼터의 클럽 그립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는 것. 퍼터는 샷이랑은 다르게 하체의 움직임이 없다. 따라서 스탠스로 방향을 점검해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내용이다. 스탠스가 너무 과하게 넓으면 상체 부분에 힘이 들어가기 때문에, 양발의 간격은 자신의 발 사이즈가 적정하다. 퍼터는 어깨와 팔로만 움직이는 동작이기 때문에 항상 헤드 페이스로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헤드 페이스를 정확하게 목표 쪽으로 바라보기 위해서는 팔과 어깨 라인이 육각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다음 내 팔꿈치는 상체 각도와 최대한 수평을 만들어야 한다. 팔꿈치가 과하게 양옆으로 혹은 일자로 펴져 있다면 스트로크에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공의 위치를 점검하자= 공의 위치는 어드레스를 취한 뒤 왼쪽 눈 밑에 있어야 한다. 스트로크 시 백스윙은 낮고 팔로 스로우는 높이 올라가야 되기 때문에, 공의 위치가 오른쪽에 있다면 백스윙은 높고 팔로스로우가 낮게 되는 동작이 되므로 공을 올바르게 굴릴 수가 없게 된다. 편안한 자세를 찾아라 피니시에는 헤드 고정 ▲스트로크= 먼저 올바른 스트로크를 하려면 스트로크 시 올라가는 속도와 내려오는 속도가 균등하도록 해야 한다. 백스윙 크기가 팔로스로우 크기보다 크거나, 올라가는 속도보다 내려오는 속도가 더 빠르면 원하는 거리만큼 맞추기가 어렵다. ▲거리 맞추기 연습 팁= 퍼터는 항상 양손의 힘이 같아야 한다. 만약 양손의 힘이 다르다면 퍼터를 굴린 뒤 피니시에서 퍼터의 헤드는 흔들릴 것이다. 항상 공을 친 뒤(피니시)에는 퍼터 헤드가 고정이 되도록 해줘야 한다. 이렇게 양손의 힘을 같게 만들었다면 백스윙 크기로 정하는 것보다 헤드 스피드로 거리를 맞추는 게 효율적이다. 백스윙 크기는 오른발까지만 해준 다음 공을 쳐서 거리의 기준을 정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는 오른손으로만 스트로크를 해준다. 이 경우 양손의 힘은 같지만 손의 움직임의 리드는 오른손이 되어야 한다. 숏퍼팅(3미터 이하)까지는 홀 뒷벽을 맞추는 연습을 하고, 롱퍼팅(3미터 이상)은 홀 앞까지 보내는 연습을 해본다. <webmaster@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자료제공: <월간골프> 다른기사 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댓글 0 댓글입력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 최신순 추천순 일요시사 주요뉴스 [단독] ‘56초 만에’ 사라진 자립정착금의 비밀 [단독] ‘56초 만에’ 사라진 자립정착금의 비밀 [단독] ‘56초 만에’ 사라진 자립정착금의 비밀 ‘포스트 이낙연’ 발맞출 차기 원내대표 각축전 [이슈&인물] 명실상부 재계 맏형 최태원 SK그룹 회장 ‘유재석 파트너’에 유독 가혹한 ‘여론 청문회’ 왜? ‘지금 학교에선…’ 신종 학폭 천태만상 코로나 파견 간호사 임금체불 논란 [인터뷰] 자립정착금 떼인 박민우씨 ‘포스트 이낙연’ 발맞출 차기 원내대표 각축전 ‘포스트 이낙연’ 발맞출 차기 원내대표 각축전 [이슈&인물] 명실상부 재계 맏형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슈&인물] 명실상부 재계 맏형 최태원 SK그룹 회장 ‘유재석 파트너’에 유독 가혹한 ‘여론 청문회’ 왜? ‘유재석 파트너’에 유독 가혹한 ‘여론 청문회’ 왜?
댓글 0 댓글입력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 최신순 추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