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호 사고 1년, 그 후…

청년의 죽음이 세상을 바꾸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음주운전은 도로교통의 3대 악으로 불릴 정도로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이 크다. 실제 음주운전 사고로 가정이 송두리째 파괴되는 안타까운 사연이 지금도 심심치 않게 언론에 오르내린다. 윤창호법을 이끌어낸 윤창호씨 사건도 그중 하나다.
 

▲ 제2윤창호법 통과 촉구 기자회견 갖는 윤창호씨 지인 이영광-김민진씨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발생한 국내 음주운전 건수는 255592건에 이른다. 7018명이 사망했고 455288명이 부상당했다. 사고 발생건수와 사망자·부상자수는 감소했지만 피해 가족의 고통은 여전하다.

도로의 악

음주운전의 무서운 점은 재범률이 높다는 것이다. 음주운전 자체는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인데 재범률은 200836.5%201744.7%까지 치솟았다. 마약범죄 재범률(36.3%)보다 높은 수치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상습 운전자들의 평균 음주주행 횟수는 5.97회로 나타났다. 10회 이상 음주운전을 해봤다는 운전자도 29.6%에 달했다. 상습 음주운전의 이유로는 허술한 단속망과 미미한 처벌이 꼽힌다.

도로교통공단의 상습 교통법규 위반자 관리 방안 연구에 따르면 음주운전 경험이 있지만 한 번도 적발된 적이 없다는 응답이 83.3%에 이르렀다. 산술적으로만 따지면 음주운전자 10명 중 단속에 걸리는 사람은 채 2명도 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 번 단속망을 피한 음주운전자는 점차 자신이 붙는다. 음주운전을 해도 단속에 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강해지면서 술을 마시고 운전대를 잡는 일에 거리낌이 없어진다. 설사 단속에 걸렸다 해도 처벌 강도가 높지 않아 음주운전자들에게 경각심을 주지 못한다.

윤창호법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법률 개정안이다. 윤창호씨는 추석 연휴인 지난해 925일, 새벽 부산서 음주운전 차량에 치여 병원으로 옮겨졌다. 윤씨는 의식불명 상태로 46일 동안 사경을 헤매다 11월 세상을 떠났다.

전체 건수 감소했지만
10명 중 4명은 또 운전

군인 신분으로 휴가를 나왔다가 변을 당한 22세 청년의 죽음에 청와대 국민청원이 제기되는 등 분노가 일었다. 윤씨의 가족과 친구들은 음주운전 근절을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녔다. 윤씨의 사건으로 일어난 사회적 반향에 국회는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가법) 개정안도로교통법 개정안이른바 제1윤창호법과 제2윤창호법을 발의했다.

국회는 지난해 1129일 본회의를 열고 음주운전 처벌 강화를 골자로 한 특가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그해 1218일부터 음주운전으로 사망사고를 낸 경우 현행 1년 이상의 유기징역‘3년 이상의 징역 또는 무기징역으로 법정형량이 높아졌다.

음주운전으로 사람을 다치게 한 경우에도 기존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상 30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형량이 강화됐다.

지난해 127일에는 음주운전 2회 이상 적발 시 징역 25년 또는 벌금 10002000만원으로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의 도로교통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이전에는 3회 이상 적발 시 징역 13년 또는 벌금 5001000만원에 처했다.


또 운전면허 정지와 취소 등에 관한 단속 기준도 강화됐다. 음주운전의 면허정지 기준을 현행 알코올농도 0.05% 이상서 0.03% 이상으로, 면허취소 기준은 0.1% 이상서 0.08% 이상으로 정했다. 3회 적발돼야 면허가 취소됐던 것도 2회로 강화했다. 개정안은 지난 625일부터 시행됐다.
 

윤씨 사고 이후 1년이 흘렀다. 1윤창호법이 시행된 지 9개월, 2윤창호법이 시행된 지는 3개월이 지났다. 그 사이 음주운전을 근절하고 심각성을 알리자는 취지서 제2윤창호법이 시행된 첫날부터 지난달 24일까지 2개월 간 경찰은 대대적인 단속을 벌였다.

경찰은 지난달 27전국 음주운전 특별단속결과를 발표했다. 단속 기간 동안 음주운전 사망자는 21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60명과 비교해 65% 감소했다.

음주운전 교통사고 건수도 지난해 3145건서 1975건으로 37.2% 줄었다. 음주운전 적발 건수는 지난해 27953건서 올해 19310건으로 30.9% 감소했다. 음주운전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오후 10시서 오전 4시 사이 단속 건수는 63% 줄었다.

윤창호법 시행 후 감소세
‘반짝 효과’ 그치지 않아야

이번 추석 연휴에도 음주운전 적발 건수가 지난해 추석 연휴에 비해 감소세를 보였다. 각 지방경찰청에 따르면 경기지역의 추석 연휴 나흘 간(1215) 음주운전 163(면허취소 112, 정지 47, 측정거부 4)을 단속했다. 지난해 추석 연휴 닷새 간 380(면허취소 240, 정지 129, 측정거부 11)과 비교하면 거의 절반이 감소했다.

인천은 77(지난해)39건으로, 부산은 113건서 42건으로, 대구는 68건서 23건으로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광주(5521), 전남(10751)도 절반 가까이로 감소했다. 반면 울산과 경북, 대전 등에서는 음주운전 단속 수치가 늘어나거나 변화가 없었다.

윤창호법이 시행된 이후 전국서 대체적으로 음주운전이 줄었다. 음주운전 추방에 대한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고 출근길 단속도 이어지면서 전날 술자리서 과음을 절제하는 음주문화가 조성되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각에선 윤창호법의 시행으로 뚜렷하게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현재 상황이 반짝 효과에 그칠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실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망사고는 여전히 심심치 않게 일어나고 있다. 음주운전 피해자와 피해가족의 소식도 잊을 만하면 한 번씩 언론을 달구고 있다.
 

▲ 음주운전 근절

지난 7일에는 아들을 마중나왔던 70대 노모가 아들이 몰던 차량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사고 당시 아들은 면허취소 수준인 혈중알코올농도 0.151%로 만취상태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숨진 노모는 아들과 함께 살고 있었다.

지난달에는 제주도서 50대 운전자가 무면허 음주운전으로 70대 노부부를 차로 치었다. 노부부는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다. 서귀포경찰서에 따르면 사고를 낸 운전자는 혈중알코올농도가 0.185%로 만취상태였다. 그는 음주 상태로 트럭을 몰다 노부부를 포함해 3명을 차로 친 혐의를 받았다.

사회변화 될까


자유한국당 장제원 의원 아들인 장용준씨의 음주운전도 논란으로 떠올랐다. 장씨는 지난 7일 오전 23시 사이 마포구 지하철 5호선 광흥창역 인근 도로서 음주상태로 차를 몰다가 오토바이와 충돌했다. 음주측정 결과 장씨의 혈중알코올농도는 0.12%로 면허취소 수준이었다. 이 사고로 피해자는 경상을 입었다. 장씨는 현재 음주운전, 사고 후 미조치, 범인도피 교사 혐의 등으로 입건된 상태다. 특히 경찰은 운전자 바꿔치기, 뺑소니 의혹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 처리됐다. 지급보증을 섰던 롯데건설은 우빈산업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넘겨 받으면서 49%를 확보했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이 보유한 19.5%는 롯데건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다. SPC 빛고을 내에서 롯데건설의 발언권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1명은 앤유 대표인 정모씨의 아내로 추정된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