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우민미술상 수상자’ 이수진

언어에 대한 배신과 믿음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올해의 좋은 작가 미술상’은 충북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02년 만들어졌다. 이 상은 2016년부터 우민아트센터가 주최·주관을 맡으면서 2018년 ‘우민미술상’으로 다시 태어났다. 우민아트센터는 제17회 우민미술상 수상작가인 이수진의 개인전 ‘Language Is Treacherous 언어는 배신하지 않는다’전을 준비했다.
 

▲ 부엌 낭독 (A Kitchen Reading), 2018, HD 비디오, 컬러, 유음, 21분19초

지난해 5월 우민아트센터는 제17회 우민미술상 최종 수상자로 이수진 작가를 선정했다. 우민미술상 심사위원회는 “독창적 사고와 방법, 그 동안의 발표 실적과 미술계의 평가 등을 고려해 수상자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수진 작가는 이미지와 텍스트를 접목한 미디어 작품으로 독창성이 돋보이며, 어렵게 느껴지는 영상작업에 해석을 통한 접근은 지역서도 좋은 전시의 기회가 되리라 판단했다고 수상자 선정 이유를 밝혔다.

원문과 번역

우민아트센터는 지난 7일부터 이수진의 개인전을 열고 있다. 전시 제목인 ‘Language Is Treacherous 언어는 배신하지 않는다는 영어와 한국어 제목이 상반된 의미를 전하고 있다. Language is Treacherous언어는 신뢰할 수 없다는 뜻인 반면 한국어 제목은 배신하지 않는다로 서로 상충된다.

이수진은 이러한 다소 과장된 일반 명제를 전시의 제목으로 삼아 언어가 우리의 기대를 배신하는 속성을 역설적으로 강조했다. 그는 영어-한국어 문장은 원문과 번역처럼 제시되지만 실제로는 번역이 아니라, 각각 언어에 대한 불신과 믿음을 표현하는 상반된 의미의 두 문장이라며 이번 전시서 제시되는 여러 가지 번역의 방법과 그 의미를 전시의 제목을 통해 함축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다고 전했다.


오랫동안 해외에 거주한 경험서 비롯된 언어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이수진은 텍스트, 비디오, 퍼포먼스 작업을 해왔다. 언어 간의 번역, 말에서 글로, 글에서 말로의 이동 과정서 발생하는 번역의 불가능성과 불확실성의 공간에 주목한다.

특히 임의의 실험들을 통해 언어의 경험을 확장하거나 언어 체계 바깥의 말해질 수 없는미결정적 공간을 재확인시킨다. 이수진은 이 공간을 언어 공간(Language space)’이라고 언급하면서 매우 제한적인 동시에 연약하고 가변적인 공간으로 바라본다.

이번 전시에선 말하기만큼 쓰기로 시간성과 연결된 신체적인 행위임을 드러내는데 집중하거나 목소리의 탐구를 위한 방법론으로써 텍스트를 부각시킨다. 특히 ‘ephemeras’ ‘모스크바서 페투슈키까지의 소리(The Sound of Moskva-Petushki)’ ‘부엌 낭독(A Kitchen Reading)’이 눈에 띤다.
 

▲ 모스크바서 페투슈키까지의 소리(The Sound of Moskva-Petushki), 2019, 아티스트 북 설치, 가변 크기

이수진은 이 독립된 세 작업을 하나의 작품으로 구상하고 제작했다. 세 작품 모두 러시아의 콜롬나 아티스트 레지던시 체류기간 중에 제작했다. 모스크바서 페투슈키까지의 소리는 러시아 작가 베네딕트 예로 페에프의 책 <모스크바발 페투슈키행 열차>를 직접 필사한 기록이 겹겹의 아코니언 형태로 설치돼 시간적이고도 신체적 경험으로의 확장을 유도한다.

영어-한국어 상반된 의미
미결정적 언어 공간으로

ephemeras는 영어와 러시아어로 구성된 파편적인 텍스트와 러시아 콜롬나서 촬영한 영상과 함께 베네딕트 예로 페에프의 책을 손으로 베껴쓰는 소리가 담긴 오디오 트랙으로 구성돼있다. 서로 언어를 모르는 인물들이 상호 소통을 위해 구글 번역기를 이용해 대화한 기록을 재구성하고 있다.

부엌 낭독은 이수진 자신이 영어로 쓴 자전적 텍스트를 소리내 읽고 옆에 앉아 있는 작가의 러시아인 친구가 다시 러시아어로 통역하는 장면을 보여주면서 텍스트가 쓰기, 읽기로 번역되는 과정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셉템버(September)’는 몸과 언어를 묶어 생각하는 사회적 고정관념에 주목한 작업이다. 출생지나 인종과 같은 생득적 요건에만 의존해 언어구사 능력을 평가하고 대우나 처우에 있어 차별을 두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그린 모큐멘터리 형식의 영상작업이다.

이수진은 영어 유치원 강사 채용 기준을 담고 있는 모순적인 위계 구조 내에서 애매한 위치를 점유한 탓에 원어민을 연기해야 했던 셉템버라는 인물의 인터뷰를 통해 언어와 불가분한 관계인 정체성 문제로 고민하는 인물의 내적 갈등을 드러낸다.
 

▲ 소리 내 읽어주세요(Please Read Aloud), 2019, 종이에 타자, 295 x 210mm

‘'이것은 아이들을 위한 이야기이다. 진짜 있었던 사랑 이야기(This is a story of for small children, a true-life love story)’는 영어 사전에 나오는 예문들서 발췌한 영어 자막이 원문으로, 한국어 내레이션은 원문의 번역 역할을 하고 있다. 내레이션은 영어 원문의 번역임에도 불구하고 소리로 들리기 때문에 원문으로 착각하게끔 한다.

이수진은 결국 자막, 내레이션, 이미지 이 세 가지 요소가 동일한 무게를 가지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편집해 이들 사이의 경계를 교란시키고 불분명하게 만든다. 자막과 이미지, 원문과 번역의 위치를 전복시키거나 유지하면서 긴장감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위치의 전복

우민아트센터 관계자는 이수진은 언어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임의의 실험을 통해 언어의 경험을 확장시키거나 언어 체계 바깥의 미결정적 공간을 재확인시키는 작업을 지속해왔다이번 전시에 많은 관심을 바란다고 당부했다. 전시는 다음달 21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이수진은?]

1978년생

개인전

‘Language Is Treacherous 언어는 배신하지 않는다’ 우민아트센터(2019)
‘Performing Translation’ 아트코뮤날카 갤러리(2018)
‘말 사이의 거리’ 케이크 갤러리(2016)
‘detached reading. Korean text’ 타이가 스페이스(2015)
‘Transcribe’ 토마스 헌터 프로젝트 스페이스 갤러리(2014)
‘Voicing the Sound’ A.I.R.갤러리(2013)
‘Sujin Lee: This is a story for small children. A true-life love story’ AC 인스티튜트(2013)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일요시사 취재1팀] 안예리 기자 = 전국 한의과대학교에는 ‘졸업준비위원회’가 존재한다. 말 그대로 졸업 준비를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명목상 자발적인 가입을 독려하는 듯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강제로 가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졸업준비위원회(이하 졸준위)는 졸업앨범 촬영, 실습 준비, 학번 일정 조율, 학사 일정과 실습 공지, 단체 일정뿐 아니라 국가시험(이하 국시) 대비를 위한 각종 자료 배포를 하고 있다. 매 대학 한의대마다 졸준위는 거의 필수적인 조직이 됐다. 졸준위는 ‘전국한의과대학졸업준비협의체(이하 전졸협)’라는 상위 조직이 존재한다. 자료 독점 전졸협은 각 한의대 졸업준비위원장(이하 졸장)의 연합체로 구성돼있으며, 매년 국시 대비 자료집을 제작해 졸준위에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의텐’ ‘의지’ ‘의맥’ ‘의련’ 등으로 불리는 자료집들이다. 실제 한의대 학생들에게는 ‘국시 준비의 필수 자료’로 통한다. 국시 100일 전에는 ‘의텐’만 보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졸준위가 없으면 국시 준비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말이 정설이다. 한의계 국시는 직전 1개년의 시험 문제만 공개되기 때문에 시험 대비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시 문제는 오직 졸준위를 통해서만 5개년분 열람이 가능할뿐더러, 이 자료집은 공개자료가 아니라서 학생이 직접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사실상 전졸협이 자료들을 독점하고 있는 셈이다. 이 자료집을 얻을 수 있는 경로는 단 하나, 졸준위를 결성하는 것이다. 졸준위가 학생들의 투표로 결성되면 전졸협이 졸준위에 문제집을 제공한다. 이 체계는 오랫동안 유지돼왔고, 학생들도 졸준위를 통해 시험 자료를 제공 받는 것이 ‘관행’처럼 받아들여왔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반드시 결성돼야만 한다는 기조가 강하다. 학생들의 반대로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시 전졸협은 해당 학교에 문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은 모든 학생들의 가입 동의를 얻어야 가능하다. 졸준위 가입 여부는 실질적으로 선택이 아니다. 자료집은 전졸협을 통해서만 제공되기 때문에, 졸준위에 가입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는다는 인식이 학생들 사이에서 강하게 자리 잡았다. 학생들은 “문제를 얻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고 말한다.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경우 현실적으로 문제집을 받아볼 수 있는 마땅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학생들의 해당 학년 학생들을 모두 가입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실제 한 대학교에서는 졸준위 결성을 위한 투표를 진행했는데 익명도 아닌 실명 투표로 진행됐다. 처음에는 익명으로 진행했지만 반대자가 나오자 실명 투표로 전환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반대 의견이 나오기 어렵다. 실명으로 투표가 진행되는 데다, 반대표를 던질 경우 이후 자료 배포·학년 일정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 실명 투표로 진행 가입시 200만원 이상 납부 필수 문제는 이 졸준위 가입이 무료가 아니라는 점이다. 졸준위에 가입하면 졸업 준비 비용(이하 졸비) 명목으로 학생들에게 돈을 걷는데, 그 비용이 상당하다. <일요시사> 취재 결과 한 대학교의 졸비는 3차에 걸쳐 납부하도록 했는데 1차에 75만원, 2차에 80만원, 3차에 77만원 등 총 232만원 수준이었다. 이는 한 학기 등록금에 맞먹는 금액이다. 금액 산정 방식은 졸준위 가입 학생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한 명이라도 빠지게 되면 나머지 인원의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된다. 심지어 2명 이상 탈퇴하게 된다면 졸준위가 무산될 수도 있다. 이 모든 사안은 ‘졸장’의 주도 하에 움직인다. 졸장은 학년 전체를 대변하며 전졸협과 직접 소통하는 역할을 맡는다. 실제 졸장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한 명이라도 탈퇴하면 안 된다”는 취지의 발언이 오갔을 정도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졸준위가 결성되면 가입한 모든 학생들은 졸준위의 통제를 받는다.<일요시사>가 입수한 한 학교의 규칙문에 따르면 졸준위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두고 있었다. ▲출석 시간(8시49분59초까지 착석 등) ▲교수·레지던트에게 개인 연락 금지 ▲지각·결석 시 벌금 ▲회의·행사 참여 의무 ▲병결·생리 결 확인 절차 ▲전자기기 사용 제한 ▲비대면 수업 접속 규칙 ▲시험 기간 행동 규칙 ▲기출·족보 자료 관리 규정 등이다. 학생들이 이 규정을 어길 시 졸준위는 ‘벌금’을 부과해 통제하고 있었다. 금액도 적지 않았다. 규정 위반 시 벌금 2만원에서 50만원까지 부과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병결이다. 졸준위는 병결을 인정하기 위해 학생에게 진단서 제출을 요구하고, 그 내용(질병명·진료 소견·감염 여부 등)을 직접 열람해 판단했다. 제출 병원에 따라 병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공지도 있었다. 한 병원의 진단서가 획일적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단체가 학생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해 병결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학생들 사이에서 부담과 압박으로 작용했다. 질병이 있어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고, 병결을 얻기 위한 절차가 학습보다 더 어렵다는 말도 나왔다. 규정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면 졸준위는 대면 면담을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3:1로 면담을 진행하는 등 학생이 위축될 수 있는 방식을 행하기도 했다. 전자기기 사용 불가 규칙 어기면 벌금도 이 같은 문제로 탈퇴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실제 A 대학 졸준위 전체 학번 회의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한 학생은 규정에 문제를 느껴 졸준위 측에 탈퇴를 의사를 밝혀왔다. 이 회의에서는 그간 탈퇴 의사를 밝힌 학생과의 카톡 대화 전문이 학생들에게 공개됐다. 공개된 카톡 내용에는 탈퇴 과정이 담겨있었는데 순탄하지 않았다. 졸준위 측은 탈퇴 의사를 즉각적으로 승인하지 않았고, 재고를 요청하거나 면담하는 방식으로 요청을 지연했다. 해당 학생이 다시 한번 탈퇴 의사를 명확히 밝힌 뒤에도, 졸장은 “만나서 얘기하자”며 받아주지 않았다. 심지어는 이 대화를 공개한 뒤 학우들에게 ‘졸준위에서 이탈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서약서를 받아내기도 했다. 졸준위 운영이 조직 이탈 자체를 문제로 판단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박을 가한 정황이 확인되는 대목이다. 해당 학우는 탈퇴 확인 및 권리 포기 동의서에 서명한 뒤에야 졸준위를 탈퇴할 수 있었다. 탈퇴 이후에도 갈등은 지속됐다. 목격자에 따르면 시험 기간 중, 강의실 앞을 지나던 탈퇴 학생은 졸준위 임원 두 명에게 “제보가 들어왔다”며 불려 세워졌다. 임원들은 이 학생이 학습 플랫폼 ‘퀴즐렛’을 사용한 점을 언급하며, 그 자료 안에 졸준위에서 배포한 기출문제가 포함돼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졸준위에서는 퀴즐렛에 학교 시험 내용이 있다며 탈퇴자가 보지 못하도록 사용자를 색출하기도 했다. 한편, 전졸협은 10년 전 자체 제작한 문제집으로 논란된 적이 있다. 당시 한의사 국가고시 시험문제가 학생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예상 문제집과 지나치게 유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시험이 끝난 직후 시험장 앞에서 수험생 60여명을 상대로 참고서와 문제집을 압수했고, 국가시험원까지 압수수색해 기출문제와 대조 작업에 들어갔다. 기형적 구조 문제가 된 교재는 ‘의맥’ ‘의련’ 등 졸준위 연합체인 전졸협이 제작·배포해 온 자료들이다. 학생들은 교재에 일련번호를 붙이고 신분증을 확인한 후 배포하는 등 통제된 방식으로 유통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학생들이 전졸협을 통해서만 기출문제를 구할 수 있는 구조는 기형적”이라며 “국가고시를 위해 몇백만원씩 돈을 받고 문제를 제공하는 건 문제를 사고파는 것”이라고 말했다. <imsharp@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