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솥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뉴욕 유엔 본부에서 UN지원 SDGs협회가 발표한 글로벌 지속가능 리더 100, 글로벌 지속가능 기업 100 리스트(The 100 Top Global Sustainability Leaders 2019 & The 100 Most Sustainable Brands 2019)에 ‘글로벌 지속가능한 브랜드 40’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또한 한솥 제품과 브로셔 등이 협회 전시주제에 맞춰 지속가능 모델로 유엔 본부 1층에 함께 전시됐다. 유엔은 지난 9일부터 열흘간 유엔본부에서 90여 정부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2019 지속가능 고위급 정치회담(HLPF)을 개최했다. 또한 협회는 회담의 부속행사인 전시회 개최기관으로, 글로벌 지속가능기업 모델과 글로벌 주요 리더들의 지속가능 사례를 함께 전시했다. 전시회는 데이비드 비즐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 등 유엔을 찾은 주요 글로벌 인사들이 둘러보았으며, 협회는 전시회 마지막 행사로 ‘글로벌 지속가능 100’ 리스트를 발표했다. 유엔본부 행사 김정훈 UN지원SDGs협회 사무대표(39)는 공식 발표에 앞서, 엘리엇 해리스(Elliot Harris) 유엔 사무차장보(ASG) 겸 유엔 수석 이코노미스트(Chief Economist)에게 리스트 및 관련 내용을 자세히 설명했다. 이번 선정과정은 지난 5월부터 전 세계 주요 리더 2000명, 주요 글로벌기업 3000개사를 대상으로 10개 기준과 43개 지표를 통해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했다. 이번에 선정된 지속가능한 리더 100명, 글로벌기업 60곳, 글로벌 브랜드 40군데는 지난주 UN HLPF 비정부기구 공식 의견서로 채택된 협회의 UN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SDGBI)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10개 기준, 43개 지표 통해 분석한 내용으로 리더 100명, 기업 60곳, 브랜드 40군데 선정 국내 프랜차이즈 창업 도시락 전문점 1위 브랜드이며, 대표적인 ESG기업인 한솥은 페이팔, 유튜브, 버거킹, 코카콜라, 네스프레소, 마스터 카드 등 세계적 브랜드들과 함께 글로벌 지속가능한 브랜드 40(The 100 Most Sustainable Brands 40 2019)에 선정됐다. 이와 함께 해당 브랜드에서 1위는 미국의 푸드테크 기업인 임파서블 버거가 선정됐다. 한편 이번 발표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리더 1위에 한국의 방탄소년단(BTS)이 선정되어 눈길을 끌었다. 최근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가 갑질이나 가맹점과의 분쟁으로 얼룩진 상황에서 세계적인 협회에서 국내 프랜차이즈 업체를 지속가능 기업으로 선정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크다. 한솥은 환경보호 경영,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 남녀평등 직장문화 조성, 빈곤 및 기아퇴치 노력, 친환경 용기개발, 공정무역을 통한 사회개발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한솥은 중견기업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ESG경영을 선도적으로 주창하고 있는데 ESG는 환경보호(Environment)·사회공헌(Social)·윤리경영(Governance)의 약자다. 한솥이 이번에 글로벌 지속가능한 브랜드 40에 선정된 배경에는 ESG가 결정적인 견인을 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도시락 전문점 한솥 브랜드40 올라 1위는 미국 푸드테크 임파서블 버거 이영덕 한솥 회장은 “양질의 합리적 도시락 메뉴로 알려진 치킨마요는 지금까지 1억5000만 그릇이 판매되었으며, 이는 우리 국민 5000만명이 3그릇 이상 먹은 양에 해당된다. 또한 1993년 이후 판매된 한솥 도시락은 지구 60바퀴를 감을 수 있는 6억그릇에 이른다. 그만큼 한솥은 사회에 많은 영향을 주고받은 식문화 기업이다.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게’ (Leave no one behind)라는 UN SDGs(지속가능한개발목표)는 한솥의 경영이념과 뜻을 같이한다. 한솥이 이번 글로벌 지속가능 브랜드에 선정된 것은 큰 영광이며, 함께 선정된 글로벌 기업들과 인류와 지구환경을 위해 더 많은 노력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1억5000만 그릇 최근 환경과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기업에게도 높은 수준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고 있다. 기업 역시 저성장 기조에 들어가면서 지속가능경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속가능경영은 기업이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사회에 공헌하고 환경문제에 기여하는 가치를 창출해 기업 경쟁력을 높임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에 나서는 경영활동을 뜻한다. 이런 가운데 ESG경영은 지속가능경영의 필수조건으로 꼽힌다. ESG경영을 선도하고 있는 한솥도시락이 국민도시락으로 인정받고 있는 까닭이다. <webmaster@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강병오 FC창업코리아 대표 다른기사 보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댓글 0 댓글입력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 최신순 추천순 경제 많이 본 뉴스 ‘녹십자’ 삼촌 vs 조카 살얼음 대립각 ‘녹십자’ 삼촌 vs 조카 살얼음 대립각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녹십자그룹 오너 일가에서 때 아닌 지분 경쟁이 목격되고 있다. 지주사 지분을 꾸준히 늘려온 삼촌이 핵심계열사 주식 매각을 통해 실탄을 확보하자, 조카들 역시 우회 방식으로 현금 마련에 힘을 쏟는 양상이다. 녹십자그룹은 고 허채경 한... ‘8000억 두산인프라코어’ 재벌그룹 도련님들의 쟁탈전 ‘8000억 두산인프라코어’ 재벌그룹 도련님들의 쟁탈전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매물로 나온 두산인프라코어를 누가 품게 될지 재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다수의 기업이 인수 의향을 밝힌 가운데, 재계의 눈은 GS건설과 현대중공업을 향한다. 최근 들어 한층 명확해진 두 회사의 후계 구도가 두산인프라코어의 미래를 ... 인천 주안10구역 시공사 교체 추진에 갈등 심화 인천 주안10구역 시공사 교체 추진에 갈등 심화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인천 주안10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이하 주안10구역조합, 조합장 김치환)은 지난 8일, 임시총회를 통해 시공사인 대림산업의 공사도급계약 변경(안)을 수용하지 않고, 대림산업과 체결했던 공사 도급계약 해지 안건을 가결했다.주안1... 일요시사 주요뉴스 ‘대선까지’ 민주당 당권경쟁 관전포인트 ‘대선까지’ 민주당 당권경쟁 관전포인트 ‘대선까지’ 민주당 당권경쟁 관전포인트 파죽지세 ‘처럼회’ 역할론 국세청 ‘세무대’ 불신론 왜? 온라인 소개팅 사기 주의보 ‘일파만파’ 배구계 학폭 막전막후 [일요초대석] 유준상 한국정보기술연구원장 [아트&아트인] ‘토끼굴 시간갤러리’ 백용인 파죽지세 ‘처럼회’ 역할론 파죽지세 ‘처럼회’ 역할론 국세청 ‘세무대’ 불신론 왜? 국세청 ‘세무대’ 불신론 왜? 온라인 소개팅 사기 주의보 온라인 소개팅 사기 주의보
댓글 0 댓글입력 로그인 이름 비밀번호 내용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회원 로그인 비회원 글쓰기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 최신순 추천순
경제 많이 본 뉴스 ‘녹십자’ 삼촌 vs 조카 살얼음 대립각 ‘녹십자’ 삼촌 vs 조카 살얼음 대립각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녹십자그룹 오너 일가에서 때 아닌 지분 경쟁이 목격되고 있다. 지주사 지분을 꾸준히 늘려온 삼촌이 핵심계열사 주식 매각을 통해 실탄을 확보하자, 조카들 역시 우회 방식으로 현금 마련에 힘을 쏟는 양상이다. 녹십자그룹은 고 허채경 한... ‘8000억 두산인프라코어’ 재벌그룹 도련님들의 쟁탈전 ‘8000억 두산인프라코어’ 재벌그룹 도련님들의 쟁탈전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매물로 나온 두산인프라코어를 누가 품게 될지 재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다수의 기업이 인수 의향을 밝힌 가운데, 재계의 눈은 GS건설과 현대중공업을 향한다. 최근 들어 한층 명확해진 두 회사의 후계 구도가 두산인프라코어의 미래를 ... 인천 주안10구역 시공사 교체 추진에 갈등 심화 인천 주안10구역 시공사 교체 추진에 갈등 심화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인천 주안10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이하 주안10구역조합, 조합장 김치환)은 지난 8일, 임시총회를 통해 시공사인 대림산업의 공사도급계약 변경(안)을 수용하지 않고, 대림산업과 체결했던 공사 도급계약 해지 안건을 가결했다.주안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