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풍경과 감정’ 김지선

익숙하지만 낯선 공간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이 김지선 작가의 개인전 ‘Expect the Unexpected’를 준비했다. 김지선은 자연 속 나무 수풀이 어우러진, 어떻게 보면 평범하다고 할 수 있는 풍경에 자신만의 감정을 더해 새로운 공간을 구현해내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김 작가의 자연 풍경 속으로 들어가보자.
 

▲ Colourful Memories, 캔버스에 유채, 390.9cm x 162.2cm, 2019

송은 아트큐브는 2002년 1월 개관 이래 매년 공모를 통해 작가를 선정하고, 전시 기획을 바탕으로 공간과 도록 제작 등을 후원하고 있다. 이번 전시의 주인공인 김지선은 ‘2018-2019 송은 아트큐브 전시 지원 작가’로 선정됐다.

장소의 잔상

김지선의 작품은 자연의 압도적인 경이로움으로부터 시작한다. 풍경의 정서는 곧 내면의 다층적인 감정과 결합해 감각적인 초현실의 시공간으로 귀결된다. 이번 개인전 Expect the Unexpected서 김지선은 생생한 자연에서 형성된 정서에 집중한다.

그는 지난해 제주도 예술공간 ‘이아’에서 반년간의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은 여행 중 스치듯 사라지는 한순간이 아니라 생활의 일부분으로 확장되는 것을 경험했다. 이 과정서 몇 번이나 같은 장소를 방문해 자연의 움직임을 관찰했다. 숲속에서 불어오는 바람, 나뭇잎의 녹색을 머금은 햇살, 시시각각 농도를 달리하는 주황색 석양의 강렬함을 이번 전시의 주요 컬러인 ‘Green’과 ‘Orange’로 가시화했다.

다시점으로 그려진, 경계를 알 수 없는 캔버스 안의 공간은 그가 바라본 여러 장소의 잔상이 한 평면에 축적된 것일 수도, 혹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매순간 변하는 감정의 잔상일 수도 있다. 작품 속 풍경은 고정된 순간이 아닌 시간을 획득한, 그러면서도 한 번에 인지가 불가능한 ‘익숙하지만 낯선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김인선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대표는 “김지선이 회화를 통해 상을 이미지화하는 데 있어서 주체자로서의 입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보는 듯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작가는 선택한 기록의 장치인 회화로써 온전히 작가의 눈과 감각을 통해 현장에서의 환경 정보를 체화한 상태서 재현을 시도한다”고 말했다.

객관적 정보는 없지만
작가가 느낀 감흥 담겨

이어 “김지선에게 재현의 의미는 시각적인 장면의 환영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체득한 감각을 끌어내는데 눈은 이미지 인식 단계의 도구일 뿐, 온몸의 감각을 발휘하는 신체 자체에 기억된 것들을 끄집어내는 작업이 그가 행하는 회화의 단계”라고 강조했다.

그런 의미서 기억은 김지선이 모든 감각적 경험을 적극적으로 동원해 끄집어낸 것이다. 특정 장소로부터 작업실로 돌아와 빈 캔버스 앞에서 몸에 남아있는 시각·청각·촉각적 감흥을 떠올리며 붓을 쥔 채 몸을 움직인다.
 

▲ ▲Green Wind, 캔버스에 유채, 45.4cm x 37.9cm, 2019

화면 속에 그려지는 선과 색면들은 그가 감흥했던 흐름과 감각을 재현하는 매개로 작동한다. 주시해야 할 부분은 현장서 돌아오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화면은 점차 추상성을 띤다는 점이다.

김지선의 작품 속 풍경들은 지역을 특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정보가 거의 없다. 단지 그가 방문한 어느 지역의 숲속에서 느낀 감흥이 남겨져 있을 뿐이다. 관람객들은 당시의 햇빛, 주변의 새소리, 바람 소리, 풀냄새, 흙냄새 등 김지선이 느꼈던 환경을 재구성한 화면을 접하게 된다.

김 대표는 “온전히 시각적 정보로만 구성하지 않는 김지선의 작업 과정이 흥미롭다. 다른 감각들을 동원해 그 결과를 생산하려는 것은 카메라를 통해서 본 풍경이 그러했듯 자신의 눈으로 취득한 시각 정보 또한 그대로 의존할 수 없는 오류의 값일 수 있다는 의심을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감정의 변화

이어 “김지선은 시간의 흐름에 의해 변하는 기억을 어떻게 표현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을 지속하고 있다. 이전 전시서 그는 캔버스를 장소 특정적 방식으로 공간 안에서 재구성했다”며 “캔버스를 작업 형식으로서 이미지와 동등하게 다루며 기억의 파편을 현실 공간 속에서 직시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설치 방식”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이미지에 대입되는 시간의 흐름을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을 꾸준히 실험하고 있다”며 “캔버스 표면 위에서 회화의 한계를 극복하는 그의 실험들이 또 어떻게 전개될 수 있을지 기대해본다”고 덧붙였다.


<jsjang@ilyosisa.co.kr>

 

[김지선은?]

▲학력

런던대학교 슬레이드 미술대학, 회화과 석사 졸업(2012)
런던대학교 슬레이드 미술대학, 회화과 학사 졸업(2010)

▲개인전

‘Expect the Unexpected’ 송은 아트큐브, 서울(2019)
‘반복, 리듬, 차이’ 대구예술발전소, 대구(2018)
‘Familiar, but Unfamiliar(익숙하지만 낯선 풍경)’ UM갤러리, 서울(2017)
‘섭씨 공간°C: The Temperature of Unknown Place’ 청주창작스튜디오, 청주(2016)
‘풍경 속 게으른 쾌락’ 갤러리 도스, 서울(2014)

▲수상 및 지원

서울문화재단 예술작품지원사업 선정 작가(2019)
서울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 선정 작가(2018)
신한갤러리 역삼 Shinhan Young Artist Festa 선정 작가(2018)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