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자연의 재발견’ 황다연

나만의 파라다이스를 찾아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미세먼지의 침투로 맑은 하늘 보기가 어려운 날이 이어졌다. 사람들은 푸른 하늘, 깨끗한 공기를 갈망했다. 청정한 자연에 대한 그리움이 물씬 올라오는 상황이다. 이 시기에 딱 맞는 전시회가 롯데갤러리에 상륙했다. 황다연의 개인전 ‘#푸릇푸름을 만나러 가보자.
 

▲ 황다연 Today 45.5x145.5cm gouache acrylic on canvas  2015 80변형 RGB

추웠던 겨울이 지나고 만물이 생동하는 봄이 왔다. 롯데갤러리는 봄을 맞이해 황다연의 개인전 #푸릇푸름을 준비했다. 황다연은 자연을 싱그러운 휴식과 위안을 주는 존재로 여겨왔다. 끝을 알 수 없는 푸른 바다와 하늘, 화면 가득히 펼쳐진 초록빛 나무 등 우리가 꿈꾸는 이상적인 낙원서의 기억을 담은 회화 35여점을 소개한다.

소리·향기·감정

몇 해 전 몰디브로 여행을 떠난 황다연은 눈앞에 펼쳐진 자연에 경이로움을 느꼈다. 하늘과 바다, 땅이 연결돼 경계를 알 수 없고 가끔씩 보이는 인공물조차 원래 거대한 자연에 속한 듯 순응적인 모습이었다. 새와 바다 소리만 가득한 그곳에서 황다연은 자연에 완전히 속한 느낌을 받았다. 자연이 주는 여유로움으로 정신과 육체는 충만해져갔다.

황다연은 몰디브에서의 경험을 계기로 파라다이스를 그리기 시작했다. 작가는 대자연서의 무한함과 안락함, 치유의 느낌을 구현하기 위해 선과 색을 세밀하게 사용했다. 특히 선은 평온함과 부드러움, 조용함을 느끼게 해주는 주된 요소다. 화면을 크게 분할하는 정적인 수평 구도는 대자연의 광활함과 안정감을 잘 표현하고 있다.

뻗어나간 나무의 가지는 바람의 방향을 보여준다. 오묘한 색의 변화는 한 번의 붓질로 표현하기 힘들기 때문에 여러 번 관찰하고 덧칠하는 방식으로 일어난다. 그림 속 색은 맑지만 가볍지 않고 밀도가 느껴진다.
 

▲ 황다연 Bloom_7, 161.8x130cm gouache acrylic on canvas 2017 100F RGB

황다연이 섬세하게 되살리고자 한 것은 풍경 자체보다는 풍경에 속했던 순간이다. 바람, 파도소리, 향기, 평온함과 아름다움의 기억을 고스란히 화면 속에 담고자 했다.

황다연의 그림은 단순하게 풍경을 재현한 것이 아니다. 화초나 선인장, 석고상 등 이질적인 오브제는 황다연의 작품이 단순 재현이 아니라는 점을 상기시킨다. 이런 오브제들은 장소에 어울리지 않는 낯선 것들이지만 원래 그곳에 있던 것처럼 평온하게 자리한다.

몰디브 여행 경험을 계기로
이질적 오브제 곳곳에 배치

선인장과 스투키는 물이 있는 곳에선 키우기 어려운 식물들인데 황다연의 작품 속에선 물에 잠겨 있다. 석고상은 미대 입시를 거친 작가에게 애증으로 남은 불편한 물건이다.

잔잔하면서도 어색한 풍경, 사람은 없고 사람의 흔적만 있는 풍경은 공허함을 자아낸다. 부조화된 장치를 통해 황다연은 파라다이스의 완벽한 균형을 깨고 그 속에 개입할 수 있는 틈새를 마련한다.

관람객들로 하여금 풍경을 관조하는 외부적 시선을 넘어 풍경에 속하고 자신들만의 이상적인 낙원을 그려볼 수 있기를 권유하는 것이다. 이상적인 풍경이 현실과 맞닿는 순간이다. 황다연의 파라다이스는 쉽게 범접할 수 없는 천상의 그곳이라기보다 일상과 가까운 어디쯤이다.
 

▲ 황다연 Paradise_7, 90x90cm gouache acrylic on canvas 2019 50S RGB

황다연은 날씨, 시간, 바람, 향기까지 표현하려 한다. 낙원은 실제 존재하는 공간이며 작가의 개인적인 기억과 상상을 더해 현실공간 속으로 이상적인 자연을 가져온다. 그가 머무는 곳이 작업의 소재다.


누구나 한 번쯤 가봤던 곳, 어딘지 모르지만 익숙한 장소들이 낙원처럼 느껴지며, 평범한 장소에서 판토피아를 꿈꾸길 원한다. 판토피아는 어디에도 없다를 뜻하는 유토피아의 반대말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상품을 구입하고 폐기하는 속도가 빠를수록 뒤처지지 않는 사람으로 인정받는다. 현대사회의 개인은 자유를 얻은 대신 영원히 충족되지 않는 욕구를 유지하고 갈망한다. 황다연의 파라다이스는 이러한 갈망 속에서 만들어졌다. 그는 파라다이스의 허구를 이야기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단면을 파라다이스라는 세계로 그려낸다.

휴식과 위로

자연과 만나는 순간이라면 누구나 낙원을 그려볼 수 있다. 소소한 기회라도 기억은 위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롯데갤러리 관계자는 인공적이고 삭막한 것이 대부분인 도시의 삶을 사는 우리에게 가끔이나마 마주하는 자연은 늘 휴식과 위로를 준다.

또 여행은 새로운 자연과의 만남을 주선한다”며 황다연의 전시회를 통해 도시에서의 복잡함, 잿빛을 걷어내고 푸르고 푸른 곳으로 떠나보자. 나만의 파라다이스를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jsjang@ilyosisa.co.kr>

 

[황다연은?]

학력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과 졸업

개인전

‘#푸릇푸름롯데갤러리 잠실점/일산점(2019)
‘The memory of paradise’
수호갤러리, 분당(2018)
네이버 프로젝트 꽃X광주’ / ‘크리에이터 in 시리즈 광주 릴레이 프로젝트_네이버X얼반테이너’ ‘광주 in paradise’ 인천학생문화예술회관, 인천(2018)
네이버 프로젝트 꽃 2’ ‘그라폴리오 스토리’ ‘네이버x어반플레이퍼슨비, 서울(2017)
‘The moment of a Life’
휴멕스 빌리지, 분당(2017)
‘Paradise society’
고양시청 갤러리 600, 경기

수상


8회 대한민국여성미술대전 서양화 특선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김철준 기자 = ‘채 상병 사건’의 핵심 관계자인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여러 차례 연락을 취한 것으로 파악됐다. 자신의 사건을 언급하면서 사실관계를 확인하려 한 게 핵심이다. 임 전 사단장과 연락이 닿은 인물들은 대부분 이해관계자다. 자칫하면 회유 정황으로 보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은 ‘채 상병 사건’의 핵심 피의자다. 수사외압 논란의 시발점이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직접 챙긴 인물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의 수사 대상인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사건을 물밑에서 알아보기 시작했다. 시종일관 침묵을 지키다 왜 움직이기 시작했을까? 침묵 지키다… 임 전 사단장은 최근까지 복수의 해병대 간부들과 연락을 주고받았다. 그는 간부 A씨에게 “(공수처)수사가 종결되지 않은 상황서 괜한 오해를 살 수 있어서 연락하지 못했다”며 “어떻게 지냈는지 궁금하다”고 했다. “미안하다”는 사과의 말은 없었다. 다만 “모두가 상상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도 겪고 있지만 아들을 잃은 채 상병의 유족 특히 모친의 고통을 생각하면서 버티고 있다. 진실을 밝힐 때까지는 고통스러워도 견딜 생각이다. 후배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은 다 하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임 전 사단장은 A씨에게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하 대령)의 변호인이었던 김경호 변호사에게 내용증명을 보낸 것과 관련해 민·형사 소송을 준비 중이라며 도움을 요청하는 뉘앙스로 연락을 취했다. 김 변호사가 자신을 고발한 게 무고에 해당하는지와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한 것이다. 그는 타 간부들에게도 비슷한 도움을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간부는 <일요시사>와의 연락서 “난감해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모셨던 사람이긴 한데 임 전 사단장에 대해 개개인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모든 사람이 채 상병 사건 진상규명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전 사단장은 과거 박 대령에게도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바 있다. 자신은 물속 수색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수차례 했고 작전통제권이 육군 50사단장으로 넘어간 상황서 자신의 책임과 범위 내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했다며, 이에 대한 박 대령의 기억과 판단을 요청하는 내용이었다. 공수처 수사 대상인데… 사건 연루자들에 연락 당시 임 전 사단장은 “상급지휘관(임 전 사단장)에게 작전통제권은 없지만, 부대를 방문해 전술토의할 수 있고 효율적인 작전이 되도록 유도할 권한은 있다”고 했다. 작전통제권이 없어 안전 책무가 없다면서도, 자신이 현장서 ‘수변을 수색하라’고 지휘한 건 직권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다. 이런 이유로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직권남용 문제를 언급한 해병대수사단의 조사 결과 보고서가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해병대 수사단은 임 전 사단장의 직권남용 혐의를 적시하지 않았다. 수사단은 ‘작전통제권과 상관 없이’ 임 전 사단장을 실질적 수색작전 지휘관으로 보고, 안전지침을 부대에 하달하지 않아 채 상병 순직사고가 일어났다고 판단했다. 임 전 사단장은 김 변호사와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법적 대응까지 예고했다. 김 변호사가 SNS에 게시한 글 중 허위 사실이 포함된 내용이 있다는 게 임 전 사단장의 주장이다. 그는 김 변호사에게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한계 속에서 해석과 이해를 거쳐 어떤 주장을 하는 것에 관해서는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도 같은 주장을 반복하는 것은 악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문제점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발견됐고, 제가 사안의 진상을 밝히면서 그걸 뒷받침하는 자료를 제시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허위가 여론을 조작하고 진실을 가리는 불의한 상황을 시정하기 위해 나 자신의 안위는 돌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을 공수처에 세 번째로 고발했다. 이번 혐의는 군형법 제79조 무단이탈죄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임 전 사단장은 지난 1월 말 서울 노원구에 있는 화랑대연구소가 아닌 영등포구에 위치한 해군 관사 ‘바다마을아파트’에 거주하며 인접한 해군 재경근무지원대대 사무실로 출근 중이다. 마음 급해졌나…어떤 의도? 갑자기? 특검 압박 느꼈나 이 사실은 그가 여러 곳에 자신이 결백하다는 취지의 문서를 내용증명, 등기우편 등으로 보내면서 드러났다. 등기 봉투의 발신지는 화랑대연구소였으나 배송 조회 결과 실제 발신지는 서울 신길7동 우편취급국이었다. 임 전 사단장이 거주 중인 서울 관사 인근이다. 발송 시간도 대부분 일과시간 직전이나 일과 중이었다. 임 전 사단장은 언론을 통해 “연수 초기에 육사에서 주로 근무했으나 장거리 출퇴근 비효율적이라서 최근엔 해군재경대대서 근무 중이다. 근무 장소 중 하나가 해군 재경대대”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김 변호사는 “정책 연수의 일시와 출퇴근 시간 및 장소가 명령으로 특정된다. 인사명령의 지정된 장소서 지정된 출퇴근 시간을 준수해야 한다”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인사명령이나 상급기관의 지휘관에게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근 자주 번호를 변경하는 임 전 사단장의 핸드폰을 압수수색해 무단이탈한 장소와 상급지휘관인 해병대 사령관에게 정식으로 사전에 허가를 받았는지에 관한 진실을 밝혀 강력히 처벌해 달라는 취지”라고 전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연락을 취하는 행동이 증거인멸 시도로 볼 수 있다”며 “자신의 책임을 부정하기 위해 메시지를 보내며 같이 책임을 면하자는 회유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공수처는 지난 1월부터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와 경찰 이첩 과정서 외압이 있었는지에 대해 강제수사를 착수해 왔다. 박 대령에게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것에서 임 전 사단장이 적극적인 책임 회피에 나섰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현재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정치권서 ‘채 상병 특검’ 목소리가 커지자 조용했던 임 전 사단장이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적절한 처신 한 해병대 간부는 “전우의 죽음 이후 형평성에 어긋나거나 석연치 않은 윗선의 처리는 진상규명 문제를 떠나 정치권 개입을 불렀다”며 “도의적 책임도 지지 않고 자리를 지키는 일부 작자들의 행동으로 인해 해병대 전체의 명예가 실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 전 사단장은 <일요시사>가 사건 관계인에 연락한 이유에 관해 묻자 "사건 관계인에게 연락한 것은 사실 확인을 위한 것일 뿐"이라고 답했다. <hounder@ilyosisa.co.kr> <kcj512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