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NET세상> 간판 내리는 국민예능 설왕설래

  • 박민우 기자 pmw@ilyosisa.co.kr
  • 등록 2018.03.19 16:10:00
  • 호수 1158호
  • 댓글 0개

이제 주말 저녁엔 뭐 하나∼

[일요시사 연예팀] 박민우 기자= 인터넷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가 되는, 그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주는 간판 내리는 국민예능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온갖 추측이 난무했던 국민 예능 <무한도전>이 결국 막을 내린다. 나머지는 아무 것도 정해진 게 없다. 시즌2로 갈 것인지 새로운 프로그램으로 대체될지 아직 미궁이다.

폐지? 휴식?

MBC에 따르면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이 오는 31일 방송을 끝으로 종영한다. 13년간의 방송을 마무리하는 것. 

MBC는 “<무한도전>은 변화에 대해서 여러 가지 방안을 두고 논의한 끝에 3월말 시즌을 마감하고 휴식기를 가지기로 결정했다”며 “연출자 김태호 PD는 당분간 준비할 시간을 갖고 가을 이후 <무한도전> 새 시즌 또는 새 기획으로 다시 돌아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후속 프로그램은 <세바퀴> <위대한 탄생> <우리 결혼했어요> <나 혼자 산다> 등을 연출한 최행호 PD가 준비 중이다. 오는 4월부터 방송 예정인 후속 프로그램엔 <무한도전> 멤버들은 참여하지 않는다. 이는 출연자들의 의견과 여론을 따른 결정. 새 출연자와 새 포맷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이란 게 MBC 측의 설명이다.


2005년 4월 시작한 <무모한 도전> <무리한 도전>을 거쳐 2006년 5월 첫 방송된 <무한도전>은 MBC를 넘어 국내를 대표하는 예능 브랜드로 사랑받았다. 

유재석·박명수·정준하·정형돈·노홍철·하하 등을 시작으로 전진·길 등이 투입됐고, 다시 노홍철·길이 하차하고 광희가 대국민 투표로 선발됐다. 입대한 광희 자리를 양세형이 채웠고, 최근 조세호가 합류했다.

MBC <무도> 3월31일 끝으로 종영
온갖 추측이 난무…결국 마무리 결론

유재석·박명수·정준하·하하 등 멤버들도 프로그램 종료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먼저 <무한도전> 하차를 결정했던 김태호 PD는 지난해 이미 <무한도전> 시즌제를 여러 차례 언급한 바 있다. 

또는 새 기획으로 갈 수 있다는 여지도 남겼다. 다만 제작진은 ‘폐지’가 아닌 ‘휴식’이라고 표현해 시즌2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MBC 측이 김태호 PD의 신작을 “새 시즌 또는 새 기획”이라고 설명하면서, 김태호 PD가 <무한도전>을 다시 맡을 가능성도 있다. 김태호 PD의 신작에 <무한도전> 멤버들이 뭉치는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진짜 안녕이구나. 그동안 수고 많았고 덕분에 즐겁고 행복했는데 많이 아쉽다. 다른 프로에서 웃음 주길 바란다. 마지막 회에 울 거 같다’<hkm0****>

‘누구나 하나씩 무도에 대한 추억과 사연이 있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 정말 힘든 시기에 그나마 무도 덕에 웃을 수 있었고 힘든 시간 잘 이겨냈는데…이렇게 무도가 내 인생에서 사라지는 구나. 영원히 잊지 못할 거야, 안녕∼’<abal****>

‘토요일이 많이 심심하겠군’<hyun****> ‘엠비씨는 무슨 생각으로 무한도전을 없애는 거죠?’<mnlk****>

‘진짜 너무 뜬금없이 폐지한다. 아무리 예전만 못하다지만 여전히 수많은 연예인들이 한번은 꼭 나가고 싶어 하는 가장 브랜드 가치 높은 프로였는데…시청률이 떨어진 것도 아니잖아? 도무지 이해가 가질 않네’<govl****>

‘조세호는 이제 봇짐 풀었는데…다시 메야겠네’<chon****> ‘무도가 사라진다니 아직도 믿기질 않는다. 추억이 많은 프로그램이었는데…아직도 다시보기로 옛날 회차를 돌려 보는데…정말이지 슬프다’<jaeh****>

‘이제 진짜 얼마 안 남았구나. 언젠가는 올 날이라고 생각했지만 그 생각보다 빨라서 당혹스럽다’<0nly****>

새 시즌이냐
새 기획이냐

‘그동안 수고 하셨습니다. 13년 동안같이 했는데 이젠 주말 저녁은 뭐 해야 하나? 그냥 쉬어야 겠다’<comm****> ‘이렇게 급작스럽게 폐지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적어도 몇 개월 굿바이 방송을 해야 하는 게 아닌가? 너무 아쉽다’<cali****>

‘무한도전은 무한도전이다. 아름답게 보내주고 다시 돌아올 거라 믿는다’<ksm8****> ‘진짜 아쉽다. 같이 성장했던 지난날들 이젠 추억이 되는구나’<chav****> ‘무한도전 없는 세상이 상상이 잘 안 된다’<hapu****>

‘10대와 20대까지 함께한 프로그램인데…너무너무 소중한 프로그램인데 아쉬워요. 항상 레전드로 기억하겠습니다. 더 좋은 모습으로 돌아와 주세요’<yubi****> ‘이렇게 강제적으로 이별을 하게 하는 구나. 10년 넘은 인연을 이렇게 찝찝하게 끝내는 구나’<nanh****> ‘친구가 떠나는 기분이라 먹먹하다’<jy39****>

돌아오나

‘마지막 회는 노홍철, 정형돈, 전진 등 무도를 빛낸 스타들 다 불러서 아름답게 마무리했으면 좋겠다. 실패가 아닌 성공으로 마무리하는 거니 웃으면서 끝났으면…’<ehd5****> ‘안녕 무한도전. 덕분에 힘든 시간 웃으면 견딜 수 있었어요. 그동안 정말 수고 많았고, 진심으로 감사했습니다’<dong****>


‘진짜 오래오래 보고 싶었는데…무한도전은 끝이 없을 줄 알았는데…’<clic****> ‘매우 아쉽지만 멋진 마무리 기대하겠습니다’<phil****> ‘요새 재미가 없던데 잘됐네’<ja_s****> ‘박수칠 때 떠나는 것도 현명한 거다’<priv****>

‘고인물 퍼낼 때가 됐지. 유재석 빼고는 열심히 안 하는 거 너무 눈에 보일 정도였다’<xeon****> ‘차라리 잘됐다. 인생예능 하나가 사라지는 건 아쉽지만 좋은 추억에 먹칠하는 것보단 깔끔히 끝내고 새 예능 하는 게 낫다’<hp_c****>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를 내면서 지급보증 섰던 롯데건설에 보유지분 25%를 넘겼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사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사는 롯데건설로부터 지분을 일부 양도받은 것으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는 사실상 롯데건설인 셈이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0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해 최대주주(49%)가 됐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