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초대석> ‘중동 건설의 선봉장’ 주봉노 봉경건설 회장

“세계서 가장 멋진 건물 짓고 싶어요”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중동은 기회와 고난이 공존하는 땅이다. 1966년 중동에 우리나라 건설이 첫 발을 내딘 이후 수많은 업체가 실패의 쓴맛을 봤다. 봉경건설은 지난 50여년간 중동 시장의 부침 속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기업이다. 봉경건설의 창조주, 주봉노 회장을 만나 그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 들어봤다.
 

인구 2800만명, 영토 면적은 한반도의 10배, 남한의 21배. 결혼제도로 일부다처제를 택하고 있으면서 인구는 증가 중. 전체 인구의 3분의 2가 30세 이하인 젊은 나라. 금·은·동·철 등 자원이 풍족한 나라. 우리가 “석유만으로 먹고 사는 나라 아냐?”라고 말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실제 모습이다.

기회의 땅

주봉노 봉경건설 회장은 중동의 맹주 사우디서 햇수로 34년째 건설일을 하고 있다. 주 회장에게 사우디는 제2의 고향이자 기회의 땅이다. 현대건설서 일하던 당시 28세의 주 회장은 20여년 후 50세의 자신을 그려봤다. 그가 그린 청사진의 배경은 중동이었다. 

1년내내 기온이 40∼50도를 넘나들고 비가 서너 번밖에 내리지 않는 나라는 주 회장이 펼칠 꿈의 거점이 됐다.

“사우디에는 자원이 어마어마하게 많아요. 대부분 기름만 있다고 생각하지만 유리 원료인 모래도 엄청나게 풍부하죠. 또 성장하고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일이 끊이지 않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땀을 흘린 만큼 결과가 뚜렷할 것이라는 믿음도 있었어요.”


피부가 따가울 정도로 햇볕은 뜨거웠지만 습도가 없어 오히려 건설을 하기엔 안성맞춤이었다. 바닷가서 고기를 잡는 일 외엔 마땅한 취미도 갖기 어려워 주 회장은 오로지 일에만 전념했다. 

스스로 “두더지처럼 일했다”고 표현할 정도였다. 각고의 노력 끝에 설립한 봉경건설에는 1991년부터 현지인을 스폰서로 두고 노하우를 익혔던 주 회장의 사업 철학이 집약돼있다.

2007년 본격적으로 틀을 잡은 봉경건설은 2009년 사우디 정부가 발주한 공사를 맡으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특히 봉경건설이 사우디 현지 1군 건설면허를 취득함으로써 정부와의 신뢰가 형성됐다. 

1군 건설면허는 3년간의 정부 공사 실적을 기본으로, 15개에 달하는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받을 수 있다. 국내 건설업체 중 이 면허를 취득한 것은 봉경건설이 유일하다.

34년째 사우디서 건설업 매진
유일하게 1군 건설면허 취득

성장의 바탕엔 현지화 전략이 있었다. 봉경건설은 여타 업체가 국제입찰 방식으로 공사를 수주하는 것과는 달리 현지입찰 방식으로 공사를 따낼 만큼 현지화에 성공했다. 그동안 많은 국내 건설업체가 ‘제2의 중동 붐’을 노리고 사우디에 진출했지만, 그들은 대부분 공사 기간만 채우고 돌아갔다. 

반면 봉경건설은 공사 기간은 물론 그 외 시간에도 현지에 머물며 서서히 뿌리를 내렸다. 현지화를 목표로 사우디서 보낸 시간은 고스란히 사업 노하우로 축적됐다.


“공사를 진행하기 전 예측한 마진은 공사를 어떻게 따내고 진행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때 영향을 미치는 게 바로 현지서 쌓은 노하우죠. 사우디는 인구의 3분의 1 정도가 외국인입니다. 봉경건설은 현지화를 통해 그들과 부대낀 세월이 길기 때문에 공사를 좀 더 수월하게 빨리 진행할 수 있었죠.”
 

주 회장은 현재 하우징, 대학병원, 공항, 하수구 처리 등 정부 사업에 전념 중이다. 대부분 인프라를 정비하는 공사다. 집을 짓기 전 전기·수도 등 주변 인프라 공사를 먼저 하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사우디는 집을 먼저 만들고 난 후에야 부대시설에 손댄다. 

최근 인구가 증가 추세에 있는 사우디로선 집과 부대시설 공사가 시급한 상황이다.

“사우디서 사업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한 번도 일을 쉰 적이 없어요. 온 나라가 아니라 일부 도시서만 사업을 펼치고 있는데도 말이죠. 우리나라에선 대형 공사가 거의 마무리 단계에 와있지만 사우디는 팽창 단계이기 때문에 건설 잠재력이 엄청나죠.”

주 회장에 따르면 매월 사우디 정부가 발주하는 공사 규모는 4억 달러, 약 4000억원에 이른다. 1년이면 40억 달러, 4조원이 넘는 규모의 정부 공사가 건설업체의 입찰을 기다리고 있는 셈이다. 

봉경건설은 1군 건설면허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서 발주하는 모든 사업 입찰에 무제한으로 참여할 수 있다. 또 공사 수주를 위한 서류 구비는 물론, 그동안 정부 공사만 하면서 쌓은 노하우와 신뢰 등으로 입찰에서 좋은 성과를 거둘 가능성이 여느 업체보다 높다.

하지만 국내 상황이 봉경건설의 발목을 잡고 있다. 사우디의 경우 정부 공사를 수주 받기 위해선 금융권 은행의 보증서가 반드시 필요하다. 공사 금액의 약 5%에 해당하는 돈을 은행이 보증한다는 확인서가 있어야 최종적으로 공사를 따낼 수 있는 것.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과 달리 선수금 보증이나 이행 보증 등 각종 보증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때가 많다. 봉경건설 역시 사우디서 숱한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것과는 별개로 중소기업에 해당한다.

은행 보증한도 부족해 도전 어려워
대기업 제휴로 노하우 공유하고파

“지금도 공사는 계속 진행 중에 있습니다. 2000억∼3000억원 규모의 공사를 꾸준히 하고 있어요. 하지만 공사 규모를 조 단위로 키우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 1군 면허가 있어 사우디 정부가 발주하는 모든 공사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데 은행 보증 한도 때문에 더 도전하지 못하는 게 아쉽습니다.”

주 회장의 현재 은행 보증 한도는 780억원 정도다. 다시 말해 그의 신용이 약 800억원가량 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가 2년6개월서 3년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공사 기간 중 정부서 새로운 공사 입찰을 내도 동시에 참여가 어려운 실정이다. 
 

더 많은 공사를 따기 위해선 보증기관이 주 회장의 은행 한도를 늘리거나 자금력이 좋은 대기업과 제휴를 맺는 수밖에 없다.


“저는 처음 사우디에 왔을 때부터 ‘이거 아니면 안 된다’는 간절함으로 모든 일에 임했습니다. 그야말로 뼈를 묻는다는 심정으로 실적을 쌓아왔습니다. 그 생각은 33년이 지난 지금도 전혀 변하지 않았습니다.”

성장 가능성

건설업체 오너로서 그가 한결같이 품고 있던 꿈은 전 세계서 가장 멋있는 건물을 짓는 것이다. 주 회장은 이제 자신은 나이도 많고 시간도 없다며 손사래를 쳤지만 전 세계서 최고로 높은 건물을 짓고 싶다는 그의 포부는 현재 진행형처럼 보였다. 

그는 자신과 기업을 둘러싼 제약이 조금만 느슨해진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높이 또 멀리 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자금력이 있는 기업과 노하우를 갖춘 봉경건설이 힘을 합친다면 조 단위의 정부 공사를 따내는 것도 어려운 일은 아닙니다. 그렇게만 되면 봉경건설은 3∼4년 안에 지금보다 몇 배는 더 성장할 수 있을 겁니다. 저는 그렇게 믿고 있습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 처리됐다. 지급보증을 섰던 롯데건설은 우빈산업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넘겨 받으면서 49%를 확보했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이 보유한 19.5%는 롯데건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다. SPC 빛고을 내에서 롯데건설의 발언권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1명은 앤유 대표인 정모씨의 아내로 추정된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