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력 대선주자 검증> ①재산

  • 최현목 기자 shs@ilyosisa.co.kr
  • 등록 2017.03.20 13:54:28
  • 호수 1106호
  • 댓글 0개

‘억' ‘억' 잠룡들 주머니 털어보니…

[일요시사 정치팀] 최현목 기자 = 대선 정국의 막이 올랐다. 현행 공직선거법은 대통령 궐위 후 60일 이내 대선 실시를 규정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오는 5월9일을 19대 대선일로 공표했다. 대선일까지 두 달이 채 남지 않은 상황. <일요시사>는 숨 가쁘게 흘러갈 대선 정국서 후보 검증을 갖는 시간을 준비했다. 그 첫 번째 항목은 유력 대선주자들의 재산이다.

자천타천 대선주자들이 난립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주자만 8명(문재인, 안철수, 심상정, 김선동, 김기천, 김환생, 장성민, 최석규). 경선 예비후보 등록, 출마선언까지 범위를 넓히면 총 32명의 대선주자들이 레이스를 펼치는 중이다(더불어민주당 4명, 국민의당 6명, 자유한국당 11명, 바른정당 2명, 정의당 1명, 민중연합당 1명, 늘푸른한국당 1명, 무소속 6명). 대선 춘추전국시대라고 부를만하다.

김영삼정부 출범 후 고위공직자의 재산공개가 실시되고 있다. 고위공직자 재산공개제도는 공직자윤리법 제10조에 의거, 대통령과 국무위원 등 국가의 정무직 공무원, 1급 이상의 국가공무원,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및 지방의원, 부장판사급 이상 법관 등의 재산변동사항을 관보 등을 통해 공개하는 것이다.

유권자들이 이를 살핌으로써 부의 도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다음은 복수의 여론조사 결과에 이름을 올린 유력 대선주자 7명의 최근 재산 공개내용이다.

[문재인] 14억

지난해 3월25일 국회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16년 고위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의 재산은 14억2949만원이었다. 이 중 건물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건물은 전체 42.02%(7억9715만원)를 차지했으며 예금이 31.62%(5억9983만원)로 뒤를 이었다. 토지는 15.55%(2억9504만원)의 비중을 보였고 정치자금 예금계좌는 5.24%(9950만원)를 차지했다. 채무는 4억6776만원이 있었다.

전체 재산은 그 전년(2015년) 대비 약 1억2800만원이 늘어난 수치다. 2015년 재산공개 때 문 전 대표는 13억74만원을 신고한 바 있다. 재산 증가는 토지와 건물의 가액변동에 의해 일어났다. 소유 건물로는 경남 양산시 매곡동 소재 단독주택 2채와 어머니가 소유한 부산 영도구 소재 아파트, 장남 명의의 서울 구로구 소재 복합건물 등이었다.

토지는 경남 양산시 소재 주차장과 논, 대지, 제주도 임야를 신고했다. 모두 문 전 대표 본인이 소유하고 있었다. 자동차는 본인 소유의 2001년식 렉스턴과 배우자 소유의 2013년식 스포티지R을 신고했다.

다른 대선주자들과의 차이점은 5건의 지식재산권을 신고했다는 것이다. 모두 본인 저서로 <문재인의 운명> <문재인, 김인회의 검찰을 생각한다> <사람이 먼저다> <문재인이 드립니다> <1219 끝이 시작이다> 등이다. 최근 <대한민국이 묻는다> <운명에서 희망으로>가 출간돼 지식재산권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안희정] 9억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총 8억8625만원을 신고했다. 2015년 대비 2911만원 소폭 상승했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재산은 44.78%(6억9698만원)를 차지한 예금이다. 건물은 36.66%(3억2500만원)를 기록했다. 토지는 16.38%(1억4523만원)였으며, 채무는 29만원이 남은 상태였다.

이는 부모와 배우자, 두 자녀의 재산이 포함된 금액이다. 안 지사의 두 아들은 예금 979만원, 235만원을 각각 가지고 있었다. 안 지사는 다른 대선주자들에 비해 재산이 적은 편이다.


대부분의 재산이 배우자 또는 아버지 명의로 신고됐다. 유일한 자동차인 2013년식 뉴투싼ix도 배우자 명의였다. 본인 앞으로 된 것은 5541만원의 예금과 유가증권 27만원이 전부다. 그는 현재 충남도 관사에 거주하고 있다.

주목할 점은 제주도 땅이다. 가격은 공시지가 기준으로 증여 당시 6370만원에서 지난해 1억7517만원으로 3배 가까이 올랐다. 안 지사는 ‘안희정의 함께, 혁명’ ‘콜라보네이션’ ‘산다는 것은 끊임없는 시작입니다’ 등 여러 권의 책을 출간했지만, 문 전 대표처럼 지식재산권을 신고한 적은 없다.

[이재명] 23억

탄핵 정국을 주도하며 ‘사이다 발언’으로 국민들의 관심을 받은 이재명 성남시장은 총 23억2253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2015년 22억3302만원서 약 8951만원 상승한 수치다. 다른 대선주자들에 비해 전체 재산에서 유가증권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 44.15%(11억7579만원)를 차지하고 있다.

건물 30.64%(8억1600만원), 예금 22.80%(6억709만원)가 뒤를 이었다. 채무는 3억4071만원이었다. 콘도미니엄·골프 회원권(5540만원) 등도 신고했다. 차는 본인 명의의 2006년식 체어맨을 가지고 있었다.

이 시장은 상장주식 9억721만원을 소유하고 있다. 재산 신고가 된 지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투자 종목을 보면 현대중공업, 두산중공업, LG디스플레이, SK이노베이션 등 대기업이 주를 이룬다. 공기업인 한국전력의 주식 2000주는 2015년에서 2016년 사이 매도했다. 대신 같은 기간 배우자가 SK이노베이션 2066주를 매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대 재벌은 안철수, 1629억
문재인 ‘책’ 지식재산권 5개

삼성물산 주식도 전량 매도했다. 반면 현대중공업과 SK이노베이션, 성우하이텍, LG디스플레이는 각각 500주와 800주, 9000주, 500주 늘었다. 이중 성우하이텍은 2012년을 제외하고 현재까지 계속 보유해온 투자종목이다. 성우하이텍은 범퍼 레일 등 자동차 차체용 부품을 제작·판매하는 기업으로 40여년의 역사를 자랑한다.

이 시장의 주식 사랑은 처음 재산이 공개된 2011년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 번도 비중 30%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다. 2016년 44.15%로 2015년 32.70%보다 10% 넘게 상승했다. 금액도 2015년 8억4389만원서 2016년 11억7579만원으로 3억3190만원이 올랐다. 부동산의 경우 본인과 모친 명의 아파트만 보유하고 있다. 이 시장 또는 가족이 소유한 토지는 없었다.

[안철수] 1629억

정치권의 대표적 부자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의 재산은 총 1629억2008만원으로 나타났다. 2015년 대비 무려 841억7077만원이 늘어난 금액이다. 2014년 처음 재산을 공개했을 때 신고한 금액은 1569억2494만원이었으며, 2015년 787억4931만원으로 줄어들었다가 2016년 1629억2008만원으로 회복했다.

안 전 대표의 재산은 간단명료하다. 가장 큰 유가증권의 비중이 92.96%(1458억7809만원)서 85.03%(669억6000만원), 93.38%(1521억3116만원)으로 총액 증감 폭만큼 움직였다. 두 번째 비중을 차지하는 예금은 6.37%(103억7102만원)다. 다른 대선주자들의 총액을 한참 웃도는 수준이다.


유가증권은 모두 본인이 설립한 (주)안랩의 주식이다. 2014년 236만주를 가지고 있던 것이 2015, 2016년 186만주로 50만주가 감소했다. 그럼에도 총액을 회복할 수 있었던 건 안 전 대표가 지난 2015년 12월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고 국민의당을 창당하면서 ‘안철수 테마주’인 안랩 주가가 2배 이상 치솟은 데 따른 것이다.

그 외 안 전 대표와 배우자가 소유한 유가증권에는 11억원 상당의 엠스퀘어송도제1차 회사채가 있다.

재산 대부분은 안 전 대표 본인 것이며 배우자는 예금, 유가증권만 있을 뿐이다. 차도 본인 명의로 2대가 있다. 2012년식 제네시스는 지금까지 타고 있으며, 2013년식 그랜드 카니발은 2014년 재산공개 전 매매했고, 이어 2014년식 올뉴카니발2.2를 구매했다.
 

정치자금 예금계좌는 3617만원이었다. 2012년 대선 후보로 나섰을 당시 ‘안철수 재단(현 동그라미 재단)’을 세우고 1211억1413만원을 출연한 사실도 2016년에 그대로 신고했다.

[홍준표] 25억

홍준표 경남도지사는 재산이 줄어들었음에도, 안희정·이재명 등 다른 광역자치단체장들보다 많은 25억3763만원을 신고했다. 홍 지사는 2008년 이후 20억원대 재산을 유지하고 있다. 홍 지사는 건물의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62.47%(19억6000만원)를 차지했다. 예금이 33.13%(10억3950만원)로 뒤를 잇는다.


취임 후 경남도 부채를 줄이는 데 성공한 홍 지사는 정작 본인 재산은 지난해 4억424만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재산공개자 중 재산 감소폭이 가장 컸다. 당시 홍 지사는 장남 결혼에 따른 재산 고지 거부와 생활비 사용, 부동산 가액 변동 때문에 재산이 줄었다고 밝혔다.

실제 장남의 독립생계유지로 재산 5억8247만원이 2016년 신고 때 빠졌다. 차남의 채무 7800만원을 상환하는 과정서도 재산의 감소가 있었다. 내용에 ‘채무 상환 등의 이유로 예금을 사용했다’고 적시돼있다.

홍 지사는 본인의 이름으로 차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대신 배우자의 2008년식 제네시스, 차남의 2012년식 i40를 신고했다. 그 외 본인은 타미우스콘도미니엄 회원권(1710만원), 배우자는 현대성우리조트 회원권(1520만원), 일동레이크골프클럽 회원권(2400만원)을 가지고 있다.

[유승민] 44억

바른정당 대선주자인 유승민 의원은 2015년 35억2072만원이던 재산이 2016년 44억4468만원으로 증가했다. 약 9억원의 상승폭이다. 건물과 예금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았다. 그중 가장 비중은 높은 것은 48.61%(22억1930만원)를 차지한 건물이다. 44.61%(20억3647만원)의 예금이 뒤를 이었다. 토지는 3.06%(1억3971만원)로 비중이 낮았다.

건물의 재산변동이 가장 컸다. 2015년 38.59%(13억6700만원)던 건물의 비중이 2016년 들어 48.61%(22억1930만원)로 10%가량 상승했다. 대부분의 재산은 본인과 배우자 앞으로 신고됐다. 그러나 슬하의 두 자녀가 각각 1억5291만원, 1억8819만원 등 거액의 예금 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증여 논란이 일었다.

이재명 주식 사랑, 비중 30%↑
남경필 채권 49%, 영등포 잔금

앞서 유 의원은 지난 2015년 딸의 재산이 총 2억6803만원이라고 신고했다. 이는 전년도(2014년)에 신고한 액수에 비해 약 2억원 이상 늘어난 금액이었다. 이에 조부모로부터 세대생략 증여가 이뤄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졌다.

유 의원은 관련 의혹에 대한 진화에 나섰다. 지난달 27일 진행된 관훈클럽(중견 언론인들의 단체, 총무 박제균) 토론회서 한 패널이 “2014년에는 없던 따님 예금이 2015년에는 약 2억원이 등록됐는데 증여세는 2015년에 냈느냐?”라고 묻자 “작년(2016년)에 냈다”고 답했다.

[남경필] 35억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재산은 34억5738만원으로 2015년보다 8065만원이 늘었다. 채무 감소와 토지·건물 가액 변동, 예금 저축 등에서 변화가 있었다. 채권의 비중이 49.65%(24억8526만원)로 가장 높은 것이 다른 주자들과의 차이점이다.

남 지사의 채권 비중은 처음 재산이 공개됐던 2006년 이후 한번도 40% 이하로 내려가지 않았다. 채권의 비중이 가장 높았던 지난 2006년 68.95%(27억500만원)서 10년 새 20%가량 감소했다. 2006년 재산공개 내역을 보면 해당 채권은 ‘영등포 토지 매도 후 잔금’이라고 기록돼있다.

두 아들 앞으로 각각 56만원, 162만원의 예금이 신고됐다.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재산은 모두 남 지사 본인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눈여겨볼 부분은 토지다.

남 지사는 16억6016만원가량의 과수원·임야를 소유하고 있다. 그중 제주 서귀포시 서호동에 있는 과수원 땅값이 2015년 대비 3392만원 올랐다. 비상장주식으로 가지고 있던 <경인일보> 주식 1억7000만원은 백지신탁했다. 신고된 차량은 본인의 앞으로 된 2014년식 모닝 한 대가 전부였으며, 회원권은 따로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2016년 남 지사의 채무는 15억4800만원으로 다른 대선주자들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농협은행으로부터 빌린 5억 중 3억을 상환했으며, 국민은행으로부터 2억1800만원을 신규 대출받았다. 또한 본인 명의로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에 있는 청명마을동신아파트 임대보증금 2억원이 채무로 잡혀 있다.


<chm@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황교안 지지층 어디로?
최대 수혜자는 홍준표? 안철수?

유력 대선주자로 꼽혔던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 15일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에 기존 황 권한대행 지지층의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가 다가올 ‘장미대선’ 구도의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보수 또는 중도보수를 표방한 대선주자들의 기대감은 고조되고 있다. 그중 자유한국당(이하 한국당) 후보 중 선두를 달리고 있는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황 권한대행의 표심을 상당 부분 흡수할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호위무사’를 자처했으며, 최근 출마 선언을 한 한국당 김진태 의원에게 표심이 쏠릴 것이란 전망도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중도에 기반을 두고 보수로의 외연확장을 꾀하고 있는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를 가장 큰 수혜자로 꼽는다. 보수층이 느끼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에 대한 거부감을 고려한다면 지난 대선 때 각축전을 벌였던 안 전 대표에게 표심이 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변수는 이런 표심이 특정 후보에게 집중적으로 옮겨갈 것인지, 아니면 분산될 것인지에 달려 있다. <목>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 처리됐다. 지급보증을 섰던 롯데건설은 우빈산업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넘겨 받으면서 49%를 확보했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이 보유한 19.5%는 롯데건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다. SPC 빛고을 내에서 롯데건설의 발언권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1명은 앤유 대표인 정모씨의 아내로 추정된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