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담동 며느리 홀리는 귀금속 열전

  • 곽호성 기자 grape@ilyosisa.co.kr
  • 등록 2016.11.21 11:55:16
  • 호수 1089호
  • 댓글 0개

한번 보면 안 사고는 못 배겨~

[일요시사 경제2팀] 곽호성 기자 = 한국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올라가고 국민들의 사고방식이 서구형으로 바뀌면서 귀금속 산업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귀금속 업계의 주요 업체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중 가장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는 업체가 한국금거래소와 골든듀다.

한국금거래소는 올해 1월 서울 청담동에 고급 보석 브랜드인 엠브로 매장을 개설하는 등 의욕적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골든듀도 보석 제품 시장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해외 고급 다이아몬드를 국내로 들여오는 등의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금거래도 활발

한국금거래소는 지난해 1조 13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당기 순이익은 약 49억원이었다. 골든듀 매출액은 지난해 1198억원이었고 영업이익은 약 50억원 수준이었다. 한국금거래소는 특히 금 제품 거래에서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고 골든듀는 개인들이 사들이는 보석상품 분야에서 명성이 높다.

한국금거래소는 올해 1조5000억원의 매출과 120억의 순익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0년 목표는 3조5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순익 350억을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한국금거래소가 올해 1월 시장에 내놓은 귀금속 브랜드 엠브로는 내년에 80억원(순금 제외)의 매출을 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한국금거래소는 본래 순금나라와 골드쉘이란 브랜드를 갖고 있었다. 엠브로는 한국금거래소가 고급 귀금속 시장공략을 위해 새로 내놓은 브랜드다. 한국금거래소는 골드바(금괴), 실버바(은괴), 각종 금은 제품 등을 주로 팔고 있다.


한국금거래소 측은 한국금거래소에서 금을 사면 어떤 이점이 있느냐는 질문에 “ISO9001 품질경영시스템에 따른 품질관리를 통해 순도, 중량에 대해 철저히 보증하고 재 매입시까지 무한책임을 진다”며 “소비자 이익을 최우선 고려하는 판매, 재 매입이 회사의 기본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실시간 판매가 및 매입가 결정 방식을 따르고 있어 언제든 소비자가 원하는 때에 거래가 가능한 구조”라고 덧붙였다.

골드쉘은 금 제품을 포함한 각종 보석제품을 팔고 있으며 서울 청담동에 위치하고 있는 엠브로는 고가 보석제품을 취급하고 있다. 한국금거래소는 내년 상장 계획을 갖고 있으며 보석제품 수출과 하이 주얼리 시장 점유율 확대를 미래 핵심 목표로 정했다. 하이 주얼리는 최고급 보석제품을 일컫는 말이다.

올해 5월에는 귀금속 업계 전체의 시선을 집중시킨 일이 있었다. 한국금거래소가 서울 지하철 7호선 청담역의 명칭을 청담(한국금거래소)역으로 바꾸는데 성공한 것이다. 한국금거래소는 서울 지하철역명 유상병기입찰에 참여했었다.

한국금거래소 관계자는 “한국금거래소 이름 병기는 올해 8월부터 적용됐고 적용일로부터 3년간 지하철 역명을 청담(한국금거래소)역으로 사용할 수 있다”며 “3년 병기기간이 끝난 이후 3년간은 동일한 입찰금액을 한국금거래소에서 내게 되면 연장이 가능하므로 총 6년 간 변경된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골든듀는 한국금거래소에 비하면 덩치는 작지만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알찬 기업이다. 이 회사의 신 성장 사업은 고급 다이아몬드 판매다. 골든듀는 지난 9월22일 세계적인 다이아몬드 그룹 드 비어스의 프리미엄 다이아몬드 브랜드 Forevermark(포에버마크)를 국내에 출시했다고 밝혔다.

포에버마크는 품질이 전 세계 다이아몬드 중 1% 안에 들어가는 다이아몬드다. 골든듀는 포에버마크 다이아몬드 공식 시판을 기념해 포에버마크 다이아몬드 구매고객에게 10% 백화점 상품권을 제공한 바 있다. 예를 들어 100만원 상당의 다이아몬드를 샀다고 하면 10만원 상당의 상품권을 준다는 뜻이다.


포에버마크 제품 가격대는 다양하며 포에버마크 제품이 들어 있는 반지와 목걸이, 팔찌 등이 나와 있다. 결혼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인기가 많은 0.3~0.5캐럿 반지는 300만원에서 500만원 정도면 살 수 있다. 0.2~0.3캐럿 목걸이는 가격이 100만~200만원 안팎이다.

보석업계 인사들은 골든듀의 마케팅에 대해 인기 연예인들과 텔레비전 드라마를 잘 활용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지난 9월 22일 쉐라톤 워커힐에서 있었던 포에버마크 행사 때는 이요원, 차예련, 이하늬 등의 인기 스타들이 참석했으며, 지난 5월에는 배우 이영애와 기부캠페인에 참여하기도 했다. 지난해 11월 MBC드라마 ‘그녀는 예뻤다’에서는 골든듀의 ‘타임리스러브’, ‘띠아모’ 커플링이 등장하기도 했다.

골든듀는 해외에서도 한국을 대표하는 보석업체로 인정받았다. 골든듀는 지난해 ‘홍콩 주얼리 & 젬페어(2015.9.16~22)’ 기간 중 열린 ‘2015 JNA 어워드’ 에서 ‘올해의 소매상’으로 선정됐다. 세계 3대 보석 행사 중 하나인 ‘홍콩 주얼리& 젬페어’의 메인 행사인 JNA 어워드는 JNA(주얼리 뉴스 아시아)에서 여는 행사다. 이 행사 중에는 아시아 보석 산업 발전을 위해 공헌한 단체 및 개인이 상을 받는다.

한국금거래소와 골든듀 모두 올해 중요한 일들이 많았다. 한국금거래소는 미래 성장 동력 사업으로 내놓은 고급 보석 브랜드 엠브로의 매장을 서울 청담동에 세웠고 지하철 청담역에 자사의 이름을 붙였다.

청담동에 왜?

골든듀 역시 포에버마크 다이아몬드를 내놓으면서 성장 동력 사업인 다이아몬드 사업 진행에 박차를 가했다. 귀금속 업계 인사들은 한국금거래소에 대해서는 인지도 강화와 해외 진출 모색 및 외국 관광객 공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골든듀도 해외 진출과 외국 관광객 대상 마케팅을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를 내면서 지급보증 섰던 롯데건설에 보유지분 25%를 넘겼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사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사는 롯데건설로부터 지분을 일부 양도받은 것으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는 사실상 롯데건설인 셈이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0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해 최대주주(49%)가 됐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