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듯 말듯' 모뉴엘 미스터리

은행도 속고, 정부·국민도 속았다

[일요시사 경제2팀] 박효선 기자 = 가전기업 모뉴엘이 돌연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지난해 ‘매출 1조 클럽’에 입성하며 승승장구하던 모뉴엘의 꿈은 산산이 부서졌다. 모뉴엘이 공개했던 매출은 대부분 ‘뻥튀기’로 드러났다. 이후 모뉴엘을 둘러싼 의혹들이 줄줄이 제기되고 있다. 관세청과 금융당국이 고발 방침을 내세워 후폭풍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빌 게이츠가 찬사를 보낼 정도로 주목받았던 중견가전업체 모뉴엘이 돌연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모뉴엘의 수천억대 대출사기로 파문은 확산되고 있다. 부풀린 수출채권 규모만 300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수사까지 시작된 가운데 직원들은 물론 1000곳이 넘는 협력업체들이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전자업계, 금융업계 등 시장 전반적 연쇄피해가 예상된다.

부서진 꿈

모뉴엘의 경영진이 구속됐다. 지난달 30일 서울중앙지검 외사부는 박홍석 모뉴엘 대표와 신모 부사장, 강모 재무이사 등 3명을 구속 수감했다. 2009년부터 최근까지 미국과 홍콩 등의 해외지사에서 수출 물량과 대금을 부풀린 혐의(관세법상 가격조작 등)에서다.

외사부에 따르면 박 대표는 2009년부터 최근까지 미국, 홍콩 등 해외 지사에서 수출대금 액수를 부풀리는 수법으로 1조3000억원대의 해외매출 관련 서류를 조작한 혐의(관세법 위반)를 받고 있다. 외국으로 빼돌린 재산은 400억원 수준이다. 이 서류들은 무역보험공사의 보증을 받는 데 쓰였다. 이 보증은 은행에서 수천억원대의 자금을 조달하는 데 담보로 사용됐다.

모뉴엘은 허위 명세서와 가짜 신용장 등 조작한 서류로 수출채권을 발행해 국내 금융사에 할인 판매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 판매한 채권의 만기가 돌아오면 또다시 허위로 매출을 꾸며 채권을 발행하는 방식으로 돌려막기를 해왔다.


이어 지난달 31일 관세청 서울본부세관에서도 박 대표 등 3명을 구속했다. 제품 3조원대를 허위수출한 혐의(관세법 위반)에서다. 관세청은 관세법 위반 적용이 가능한 1조2292억원의 허위수출 혐의로 박씨 등을 검찰 고발한 바 있다.

서울세관에 따르면 박 대표 등은 2009년 1월부터 지난 7월까지 3330차례에 걸쳐 홈씨어터(HT) PC 120만대를 3조2000억원 상당의 정상제품인 양 허위 수출했다. 이후 446억원의 재산을 해외로 빼돌렸다. 조사결과 박씨는 거액의 사기대출을 받으려고 수출 가격을 고가로 조작하고, 수출실적을 부풀린 것으로 드러났다.

모뉴엘이 수원지방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은 지난달 20일이다. 박 대표는 법정관리를 신청하기 이전에 잠적했다. 일주일 이상 박 대표는 회사에 출근하지 않았다. 모뉴엘 직원들조차 회사가 법정관리를 신청했다는 소식을 언론을 통해 알았을 정도였다. 그만큼 모뉴엘의 사태는 긴박했던 것으로 보인다.

돌연 법정관리 사태 파장 어디까지
배경·이유 두고 갈수록 의혹 커져

사업보고서에서 모뉴엘은 은행으로부터 1조680억원의 매출 채권을 담보로 6700억원의 대출을 받았다. 그런데도 지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뉴엘의 영업이익은 2800억원에 달했다. 실제 쥐어진 돈은 400억원밖에 되지 않았다.

갑작스런 모뉴엘의 법정관리 신청에 수천억원의 여신 채권을 발행한 금융사와 부품을 공급하던 협력사들은 전전긍긍하고 있다. 특히 은행권의 경우 향후 손실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모뉴엘에 6000억원이 넘는 거액을 대출해 준 은행들은 3분기 실적에 일부 손실을 반영했다.

 

이후 모뉴엘의 보증서를 두고 은행권과 무역보험공사는 치열한 책임공방을 벌이고 있다. 기업은행, 산업은행 등 은행들은 모뉴엘이 꾸민 서류를 근거로 발급된 무보의 보증서만 믿고 6728억원을 대출해줬다며 항변하고 있다.


은행들은 모뉴엘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뒤에야 이같은 사실을 알았다는 것이다. 법정관리를 신청한 모뉴엘의 대출액은 기업은행 1500억원, 산업은행 1165억원, 외환은행 1100억원, 국민은행 700억원, 농협은행 700억원, 수출입은행 400억원 등 총 6700억원에 이른다. 이 중 모뉴엘이 제품을 수출하면서 무보로부터 지급보증 받은 보증서만 믿고 대출한 금액만 3000억원 규모다. 무보는 모뉴엘의 은행권 대출 3265억원을 보증해줬다.

최근에는 무보 측 실무자가 비리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실제 모뉴엘의 수출채권 보증을 담당했던 무보 직원은 모뉴엘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기 나흘 전에 사표를 냈다. 이 직원이 팀장으로 재직한 이듬해 무보의 모뉴엘 수출채권 보증한도는 6배 이상 급증했다.

경영진들 간의 다툼이 있었다는 ‘내부 알력설’도 제기됐다. 내부 경영진들 간의 권력다툼이 있었다는 추측이다. 모뉴엘 창업자인 원덕연 부사장은 단행된 조직 개편에서 박 대표와 마찰을 빚고 지난7월 퇴사했다. 사내 지휘체계가 마비되면서 정상적인 운영이 이뤄지지 않았을 개연성이 높다. 게다가 박 대표가 조세회피지역인 마셜제도에 계좌를 운영해 온 것으로 알려지면서 은행에서 대출받은 자금 일부가 해외로 유출됐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협력업체들의 피해는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모뉴엘에 직접 납품하는 업체 등 2, 3차 협력업체는 모두 약 1000여 곳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법정관리 신청으로 납품 대금을 제대로 받지 못할 것이란 걱정은 물론 연쇄 도산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내부 알력설

잘 나가던 중견기업이 왜 시중은행은 물론 무보와 관세청까지 거짓말로 속여야만 했는지에 대해서는 석연찮은 부분이 많다. 법정관리로 인한 파장은 금융권은 물론 협력사와 공공기관까지 커지고 있다.

 

<dklo216@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모뉴엘은?

모뉴엘은 지난해 연매출 1조원을 돌파해 강소기업으로 주목받았던 전자기업이다. PC와 TV, 아이디어 생활가전 등을 제조하는 업체다. 2007년 국제 가전박람회 행사인 CES에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가 혁신의 대표 사례로 언급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후 모뉴엘은 혁신기업의 대명사가 됐다. 세계 최초로 홈시어터 PC를 개발한 데 이어 로봇청소기 등의 히트작을 냈다. 2007년 매출 241억원에서 6년 만에 1조2000억원의 중견 가전기업으로 성장했다. 수출입은행에서 ‘히든챔피온’으로 선정되고, 무역보험공사에서 3000억원의 대출 보증을 받는 등 막대한 금융 혜택을 받았다.

모뉴엘의 박홍석 대표는 삼성전자 북미 판매왕 출신이자 영업의 달인으로 불렸다. 1962년 중앙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한 박 대표는 삼성전자 북미 영업부문에서 12년 동안 근무하다, 2005년 모뉴엘에 합류했다. 2년 뒤에는 아예 회사를 인수했다.

하지만 지난 20일 수원지방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해 업계와 투자자들을 충격에 빠뜨렸다. 가짜 어음으로 대출 사기를 벌인 사실이 드러나면서 벤처신화는 10년만에 물거품이 됐다. <효>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케이삼흥 사태가 대국민 사기극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피해자가 최소 1000여명, 피해액은 수천억원에 이르는 등 실체가 드러날수록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상황이다. 피해자들은 무엇에 홀려 돈을 넣었을까? 무엇이 그들에게 절대적인 믿음을 안겨줬을까? “징조도 없었어요. 2월까지는 돈이 잘 들어왔거든요. 3월25일하고 27일에 원금하고 배당금이 안 들어오면서 난리가 난 거죠.” <일요시사>와 연락이 닿은 한 케이삼흥 투자 피해자는 여전히 정신이 없는 듯했다. 이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에게도 투자를 권유했다고 한다. 현재 원망 그 이상의 감정을 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2월까진 괜찮았다 최근 케이삼흥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2021년 설립된 부동산 투자플랫폼업체 케이삼흥은 월 최소 2% 수익을 보장하겠다며 투자자를 끌어모았다. 연 단위로 따지면 24%의 고수익 투자상품인 셈이다. 피해자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의 말에 현혹된 것으로 보인다. 케이삼흥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개발 예정인 토지를 매입한 뒤 개발사업이 확정되면 소유권을 넘겨 보상금을 받는 방식으로 수익을 만들 수 있다고 홍보했다. ‘토지 보상 투자’라는 용어가 나왔다. 직급에 따라 수익금을 차등 지급하는 다단계 방식으로 업체를 운영해 전형적인 ‘다단계금융 사기’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번 사태서 의문이 제기된 부분은 횡령 등의 혐의로 복역한 경험이 있는 김현재 케이삼흥 회장이 어떻게 또다시 수천명에 이르는 투자자를 끌어모았는지다.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의 창시자로 불린다. 토지를 싼 가격에 사들인 뒤 개발 호재 등이 있다고 소문내 이를 쪼개 파는 방식으로 사기를 저질렀다. 이 과정서 투자금 200억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2006년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20여년이 지난 2021년 김 회장은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서울 등 전국에 7개 지점을 둔 케이삼흥은 언론 광고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투자자를 모았다. 한 케이삼흥 직원에 따르면, 7개 지점서 일하는 직원은 300~350명가량이었다. 직원들은 이른바 가족·지인 영업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했다. 월 2% 수익 약속에 수천명 투자 20년 전과 과정도 결과도 같다? 대부분의 직원은 중·장년층으로 인터넷 기사 등을 통해 공개된 김 회장의 과거를 잘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의 사기 전과를 알고 있던 피해자 역시 “원래 무죄였다”거나 전직 대통령을 거론하는 김 회장의 말솜씨에 넘어갔다고 한다. 훈장, 공적비, 기부 기사 등은 김 회장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따박따박 통장에 찍히는 배당금은 김 회장에 대한 신뢰를 굳건하게 만들었다. 투자금의 1.5~2%에 이르는 배당금이 매달 입금되고 계약에 따라 만기가 되면 원금이 들어오는 구조였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투자하고 3개월 만기로 계약을 맺었다면 1060만원을 돌려받게 되는 셈이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파격적인 수준이었다. 김 회장은 본인의 사재를 털어 부족한 부분을 메꾸고 있다고 직원들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면서 직원들에게 더 열심히 일하라고(투자자를 모집하라고) 했다는 것이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김 회장은 자신의 재산이 1조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수익이 나기 전까지 자신의 돈으로 원금과 배당금을 일부 주고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꾸준히 원금과 배당금을 받은 대부분의 피해자는 더 많은 돈을 재투자했다. 피해액이 천문학적인 수준으로 불어난 이유다. 하지만 ‘윗돌 빼서 아랫돌 괴는’ 방식의 사업구조는 자금 순환이 막히면서 결국 무너져 버렸다. 피해자는 지난 2월까지 원금과 배당금을 정상적으로 받았기에 케이삼흥 사태를 예측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 중장년층↑ 하지만 경고음은 분명히 존재했다. 회계법인은 케이삼흥에 대해 ‘감사 의견 거절’을 냈다. 감사 의견 거절은 ▲감사인이 감사보고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증거를 얻지 못해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의견 표명이 불가능할 때 ▲기업의 존립에 의문이 들 때 ▲감사인의 독립성 결여 등으로 회계 감사가 불가능한 상황에 제시한다. 기업 내부 사정이 심상찮다는 소리다. 케이삼흥의 경우 ‘회계연도의 현금흐름표 및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을 받지 못했다’가 감사 의견 거절의 근거가 됐다. 그럼에도 수많은 피해자는 김 회장을 철석같이 믿었다. 오히려 정관계 인사를 잘 안다는 김 회장의 말이 피해자의 투자심리를 부추겼다. 과거에도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 사기로 검찰 조사를 받던 시기에 정관계 로비 의혹을 받은 바 있다. 당시 김 회장이 횡령한 돈 일부가 정치자금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정치권 등의 유력인사를 언급해 투자자의 믿음을 사는 김 회장의 수법은 이번 케이삼흥 사태서도 반복된 것으로 보인다. 한 피해자는 “(김 회장이)정치인 인맥이 많다는 말을 하곤 했다”고 말했다. 다양한 통로로 정보를 얻는 젊은 층에 비해 정보에 어두운 중‧장년층은 김 회장이 주장하는 인맥에 신뢰를 보냈다. 사기 전과 있는데도… <일요시사> 취재에 따르면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과의 친분도 주장했다. 강연 과정서 서울시 고위공무원의 직책을 언급하면서 그를 통해 협조 약속을 받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과정서 토지나 주택 등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의 이름도 등장한다. 투자자에게 수익금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김 회장은 “작년에는 부동산 경기 자체가 불투명하니까 1년 동안 거의 안했어요. 착공 들어가려면 제일 먼저 하는 게 보상 업무잖아요. 올해 작년 것까지 합쳐서 하고 있어요. 사업계획 세워놓은 것은 차질이 없다고 하니까”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공공기관,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을 말하면서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이)그걸 관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은 서울시서 주택, 재난안전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을)만나서 사업이 진행되면 케이삼흥 것을 우선적으로 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했다. 토지 보상을 하는 과정서 케이삼흥에 우선적으로 협조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회장은 ‘주진입도로’ 등을 언급하면서 “2단계든, 3단계든 관계없이 케이삼흥 것을 먼저 협조해주겠다고 그 약속까지 제가 다 받아냈으니까. 하반기에 보상 나오는 것은 확실합니다”라고 강조했다. 강연에 참석한 투자자들은 중간중간 호응하다가 김 회장의 말이 끝나자 박수를 치면서 환호했다. 정치인 인맥·훈장 자랑 당사자는 “처음 들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실 확인을 요청하는 <일요시사>에 “개인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확인을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의 인물은 지난 8일 <일요시사>와의 통화서 “김현재라는 이름은 지금 처음 듣는다”고 전했다.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명도 이날 처음 들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과는 사적 친분은 물론이고 전혀 관계가 없다는 말이다. 현재 케이삼흥 사태는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서 수사하고 있다. 김 회장 등 케이삼흥 경영진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법)과 유사수신행위 규제법 위반 등의 혐의를 받는다. 지금까지 파악된 피해자와 피해액은 최소 규모로 시간이 가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직원으로 불린 모집책이 가족이나 지인 등을 상대로 투자를 권유한 경우가 많아 가정이 파탄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피해자 가운데 일부는 가족의 병원비 등을 투자금으로 넣은 경우도 있었다. 피해자들은 수사기관에 고소하거나 집회를 준비하는 등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빠른 수사가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피해자가 받는 정신적 고통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 케이삼흥 사태와 같은 대형 사건서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투자를 권유한 사람에게 독촉을 받던 피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례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빠른 수사 피해 복구는? 한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 돈까지 다 끌어모아서 투자했다. 원금만이라도 제발 돌려받고 싶다. 가족과 지인들에게 얼굴을 들 수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직원이면서 동시에 투자자인 이 피해자는 5억원 이상을 투자금으로 넣었다고 고백했다. 김 회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문자메시지, 전화 등을 통해 연락을 취했지만 닿지 않았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