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KPGA 코리안 투어 결산

성공리에 끝난 역대급 잔치

지난해 시즌 KPGA 코리안 투어는 역대 최대 규모로 성공리에 마무리됐다. 선수들은 최고의 경기력을 발휘하며 팬들에게 즐거움과 환희를 안겨줬다. 치열한 승부와 그 속에서 탄생한 여러 기록을 되짚어봤다.

지난해 ‘주인공’은 바로 함정우(29, 하나금융그룹)였다. ‘투어 6년차’였던 함정우는 시즌 18번째 대회인 ‘현대해상 최경주 인비테이셔널’서 우승을 차지한 후 제네시스 포인트 1위로 뛰어올랐다. 이후 최종전 ‘LG 시그니처 플레이어스 챔피언십’까지 선두 자리를 지켜내며 생애 첫 ‘제네시스 대상’을 품에 안았다.

별 중의 별
대세 입증

꾸준한 활약이 원동력이었다. 함정우는 시즌 전 대회인 22개 대회에 출전했다. TOP10에는 ‘현대해상 최경주 인비테이셔널’ 우승 포함 11회 진입해 콜대원 TOP10 피니시 부문서 1위에 위치했고, 단 1개 대회를 제외한 21개 대회서 컷 통과에 성공했다. 특히 시즌 막판 5개 대회서는 무려 TOP5에 4회나 자리했다.

함정우는 “투어 데뷔 후 매해 목표로 삼았던 상을 받게 돼 정말 기쁘고 행복하다”며 “한 시즌동안 고른 활약을 펼쳤다는 것을 증명함과 동시에 투어 최고의 자리에 우뚝 섰다. 가족을 비롯해 곁에서 많은 도움을 주신 분들께 고맙다는 말씀을 전한다”고 이야기했다.

‘제네시스 대상’을 수상한 함정우는 ▲보너스 상금 1억원 ▲제네시스 차량 1대 ▲투어 시드 5년 ▲PGA투어 큐스쿨 최종전 직행 자격 ▲DP월드투어 시드 1년 등을 획득했다. 또 상금 6억3252만3863원을 쌓아 제네시스 상금순위 3위에 랭크됐고, 개인 최다 상금(2021년, 4억9785만415원) 기록을 경신했다.


개막전 ‘제18회 DB손해보험 프로미 오픈’부터 최종전 ‘LG 시그니처 플레이어스 챔피언십’까지 진행된 22개 대회서 19명의 우승자가 탄생했다. 시즌 다승자는 2명으로, 1999년생 ‘동갑내기’ 고군택(24, 대보건설)과 정찬민(24, CJ)이 그 주인공이었다. 

고군택은 ‘제18회 DB손해보험 프로미 오픈’ ‘아너스K·솔라고CC 한장상 인비테이셔널’ ‘제39회 신한동해오픈’서 우승컵을 품에 안으면서, 2018년 3승을 달성한 박상현 이후 5년 만에 투어서 3승을 거둔 선수가 됐다. 정찬민은 ‘제42회 GS칼텍스 매경오픈’과 ‘골프존-도레이 오픈’서 우승을 차지했다.

역대 최초 입장객 20만명 돌파
22개 대회서 홀인원 16개 양산

아마추어 우승자는 2명이었다. ‘항저우 아시안게임’ 골프종목 단체전서 금메달을 목에 건 조우영(22, 우리금융그룹)과 장유빈(21)이 각각 ‘골프존 오픈 in 제주’와 ‘KPGA 군산CC 오픈’서 우승했다. 아마추어 선수가 한 시즌에 2승을 거둔 것은 2013년 ‘군산CC 오픈’과 ‘동부화재 프로미 오픈’서 우승한 이수민(30, 우리금융그룹)과 이창우(30) 이후 약 10년 만이다. 반면 신인 우승자는 없었다.

생애 첫 승을 만들어 낸 선수는 총 8명이었다. 이 명단에는 앞에서 열거한 ▲고군택 ▲정찬민 ▲조우영 ▲장유빈을 비롯해 ‘SK텔레콤 오픈’서 우승한 백석현(33), ‘KB금융 리브챔피언십’ 우승자 김동민(25, NH농협은행), ‘제66회 KPGA 선수권대회 with A-ONE CC’서 우승컵을 들어 올린 최승빈(22, CJ), ‘비즈플레이 전자신문 오픈’서 우승한 김찬우(24) 등이 포함됐다.

19명의 우승자 가운데 20대 우승자는 ▲고군택 ▲정찬민 ▲조우영 ▲장유빈 ▲김동민 ▲최승빈 ▲김찬우 ▲임성재(25) ▲이재경(24, CJ), ▲함정우 ▲신상훈(25) 등 11명이다. 2022년 6명에 비해 5명 늘어났다.

30대 우승자는 백석현을 필두로 ‘하나은행 인비테이셔널’서 우승한 양지호(34), ‘코오롱 제65회 한국오픈’서 우승을 따낸 한승수(37, 하나금융그룹), ‘LX 챔피언십’ 우승자 김비오(33, 호반건설), ‘iMBank 오픈’ 챔피언 허인회(36, 금강주택), ‘백송홀딩스-아시아드CC 부산오픈’서 우승한 엄재웅(33, 우성종합건설) 등 6명이다.


40대 우승자는 ‘KOREA C  HAMPIONSHIP PRESENT ED BY GENESIS’서 우승한 스페인의 파블로 라라사발(40)과 ‘제네시스 챔피언십’서 정상에 오른 박상현(동아제약) 등 2명이다.

필드 몰아친
젊은 피 활약

최연소 우승자는 21세6개월17일의 나이로 ‘KPGA 군산CC 오픈’서 우승을 달성한 장유빈이다. 최고령 우승자는 39세5개월21일의 나이로 ‘제네시스 챔피언십’서 우승한 박상현이다. 3년 연속 우승에 성공한 선수는 박상현과 김비오다.

박상현은 2021년 ‘우성종합건설 아라미르CC 부산경남오픈’ ‘DGB금융그룹 어바인 오픈’, 2022년 ‘제17회 DB손해보험 프로미 오픈’, 지난해 ‘제네시스 챔피언십’서 우승했다. 김비오는 2021년 ‘LG 시그니처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2022년 ‘제41회 GS칼텍스 매경오픈’ ‘SK텔레콤 오픈’, 지난해 ‘LX 챔피언십’서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박상현은 우승상금 3억원이 걸렸던 ‘제네시스 챔피언십’서 우승하며 역대 최초 통산 상금 50억원을 돌파했다. 최종 상금은 총 51억6874만2853원으로 국내 통산 상금 1위 자리를 유지했으며, 국내 12승으로 강욱순(57)과 함께 국내 다승자 순위 6위에 나란히 했다. 다승 부문 역대 1위는 KPGA 코리안 투어서만 43승을 거둔 최상호(68)다.

1라운드부터 최종라운드까지 단 한 차례도 선두 자리서 내려오지 않은 채 우승을 거둔 ‘와이어 투 와이어’ 우승은 5회 나왔다. ‘제42회 GS칼텍스 매경오픈’서 정찬민, ‘SK텔레콤 오픈’서 백석현, ‘코오롱 제65회 한국오픈’서 한승수, ‘LX 챔피언십’서 김비오, ‘현대해상 최경주 인비테이셔널’서 함정우가 1라운드부터 최종일까지 선두 자리를 지켜내며 우승했다.

연장 승부는 7회 벌어졌다. ‘아너스K·솔라고CC 한장상 인비테이셔널’ ‘KPGA 군산CC 오픈’ ‘LX 챔피언십’ ‘제39회 신한동해오픈’까지 4개 대회 연속 연장 승부가 벌어지는 진풍경이 나왔다. 고군택은 ‘아너스K·솔라고CC 한장상 인비테이셔널’ ‘제39회 신한동해오픈’서 연장 2번째 홀에서 모두 승리하는 등 ‘강심장’의 면모를 발휘했다.

한 시즌 최다 연장전은 2022년에 기록된 8회다.

지난해 타이틀 방어에 성공한 선수는 없었다.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대회에 참가한 선수 중 가장 좋은 성적을 낸 선수는 박상현으로, ‘제18회 DB손해보험 프로미 오픈’서 준우승을 거뒀다. 가장 최근 대회 2연패에 성공한 선수는 2018년과 2019년 ‘GS칼텍스 매경오픈’서 우승한 이태희(39, OK저축은행)다.

각양각색
기록 풍성

최다언더파를 기록하며 우승한 선수는 김비오다. 김비오는 ‘LX 챔피언십’에서 1라운드부터 최종라운드까지 21언더파(267타)를 적어냈다. 최저타수로 정상에 오른 선수는 파71로 진행된 ‘iMBank 오픈’서 나흘간 264타(20언더파)를 작성한 허인회다.

한승수와 정찬민이 각각 ‘코오롱 제65회 한국오픈’과 ‘제42회 GS칼텍스 매경오픈’서 6타 차 우승을 거뒀다.


최종라운드서 최다타수 역전승을 만들어낸 선수는 ‘KB금융 리브챔피언십’과 ‘우리금융 챔피언십’서 5타 차 역전 우승을 따낸 김동민과 임성재다. 김동민은 선두에 5타 뒤진 10위, 임성재는 선두에 5타 뒤진 공동 4위로 최종일을 맞아 역전승을 일궈냈다.

홀인원은 총 16개 나왔다. 시즌 1호 홀인원은 ‘골프존 오픈 in 제주’ 최종라운드 3번 홀에서 강태영(25, 우성종합건설)이 만들어냈다.

‘SK텔레콤 오픈’과 ‘iMBank 오픈’에서는 각각 2개의 홀인원이 기록됐다. ‘SK텔레콤 오픈’ 1라운드에서는 맹승재(29, 미국)가 17번 홀, 2라운드에서는 정한밀(32, MAGNEX)이 5번 홀에서 홀인원을 기록했다. ‘iMBank 오픈’에서는 2라운드 8번 홀에서 윤상필(25, 노이펠리체)과 배윤호(30)가 홀인원을 적어냈다.

지난해 시즌 이글은 총 503개, 버디는 2만4787개가 양산됐다. 박은신이 이글 13개를 잡아내며 최다 이글 작성자에 이름을 올렸고, 최다 버디를 기록한 선수는 310개를 낚은 함정우였다.

함정우 ‘제네시스 대상’ 최고의 별
확연한 세대교체…20대 우승자 11명

한 라운드 최다 이글 수는 2개였고 8명의 선수가 기록했다. 한 라운드 최다 버디 수는 10개로 ‘LX 챔피언십’ 2라운드와 최종라운드에 옥태훈(25, 금강주택)과 황중곤(31, 우리금융그룹), ‘골프존-도레이 오픈’ 3라운드서 임예택(25)이 뽑아냈다.


22개 대회가 열린 코스 중 전장이 가장 길었던 곳은 ‘하나은행 인비테이셔널’이 진행된 일본의 지바 이스미GC 토너먼트코스(파73, 7625야드)였다. 전장이 가장 짧았던 곳은 ‘LG 시그니처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이 펼쳐졌던 서원밸리CC 밸리(파71, 7000야드)였다.

컷오프 기준타수가 가장 높았던 대회는 페럼클럽서 열렸던 ‘현대해상 최경주 인비테이셔널’의 6오버파 150타로 2라운드 종료 후 63명의 선수가 3라운드에 진출했다. 컷오프 기준타수가 가장 낮았던 대회는 ‘KPGA 군산CC 오픈’ ‘비즈플레이 전자신문 오픈’ ‘골프존-도레이 오픈’으로, 3개 대회의 컷오프 기준 타수는 3언더파 141타였다.

기상악화로 인해 축소 운영된 대회는 2개 대회였다. 경기 성남의 남서울CC서 진행된 ‘제42회 GS칼텍스 매경오픈’은 셋째 날 경기가 폭우로 인해 취소됐다. 전남 영암의 코스모스링스서 열린 ‘비즈플레이 <전자신문> 오픈’은 둘째 날과 셋째 날 경기가 폭우 및 코스 정비로 인해 취소됐다.

22개 대회서 입장한 갤러리는 20만명 이상이었다. 2만명 이상의 갤러리가 관람한 대회는 ‘우리금융 챔피언십’ ‘제39회 신한동해오픈’ ‘백송홀딩스-아시아드CC 부산오픈’이었다.

눈길 끈
이색 기록

18홀 최저타수는 61타다. ‘K PGA 군산CC 오픈’ 1라운드서 이창기(27, 뉴질랜드)가 이글 1개, 버디 9개를 묶어 하루에만 11타를 줄였고, 박상현은 파71로 펼쳐진 ‘백송홀딩스-아시아드CC 부산오픈’ 1라운드서 이글 1개와 버디 8개를 잡아내 10타를 줄였다. 최연소 출전 선수는 13세11개월5일의 나이로 개막전 ‘제18회 DB손해보험 프로미 오픈’에 나선 안성현이었다. 최고령 출전 선수는 74세8개월17일의 나이로 ‘제66회 KPGA 선수권대회 with A-ONE CC’에 출전한 최윤수(75)였다.

<webmaster@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샘 시흥공장 그린벨트 훼손 의혹

[단독] 한샘 시흥공장 그린벨트 훼손 의혹

[일요시사 취재1팀] 김철준 기자 = 우리나라는 개발이 제한돼있는 토지가 있다. 해당 토지들의 개발을 위해선 지자체장의 승인이나 대통령령 승인이 있어야 한다. 부동의 가구 1위 기업인 한샘이 개발제한구역을 마음대로 훼손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대상은 시흥 제1공장 부지 주변 필지다. 행정조치가 완료됐다고는 하지만 완전히 원상복구는 되지 않았다. 한샘은 주방·인테리어가구를 판매·제조하는 대한민국 부동의 1위 가구 업체다. 1970년 9월 한샘으로 창립한 뒤 1977년 국내 최초로 주방가구를 수출해 1979년에 수출 100만달러 돌파의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한샘의 2023년도 기준 매출액은 1조9669억원에 달한다. 영업이익은 19억4660만원이다. 최초의 공장 성장 시발점 한샘의 성장은 시흥 공장과 함께했다. 조창걸 명예회장이 자본금 200만원으로 은평구 대조동에 23.1㎡의 매장으로 시작했던 한샘은 1976년 시흥시 조남동에 최초의 공장다운 공장을 설립했다. 제1공장을 통해 한샘은 생산 체계를 크게 개선하며 큰 실적 향상을 이뤘다. 한샘은 현재 시흥과 안산 등에 4개의 물류센터·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당초 한샘 시흥 공장은 조남동 ▲594-1번지 ▲91-144번지 ▲91-145번지 세 곳의 필지, 약 1만4610㎡의 면적으로 지어졌다. 현재는 한샘은 91-117번지 매수해 총 1만8429.8㎡의 면적을 공장 부지로 사용 중이다. 등기사항전부증면서 확인 결과 한샘은 해당 부지 외 시흥 공장과 인접한 4개 필지 ▲조남동 91-163번지, 2076㎡ ▲조남동 91-165번지, 207㎡ ▲조남동 91-166번지, 109㎡ ▲조남동 산 57-1번지, 3273㎡도 소유하고 있다. 항공지도에 따르면, 한샘 시흥 공장의 정문 바로 앞을 3개의 필지 ▲조남동 91-163번지 ▲조남동 91-165번지 ▲조남동 91-166번지가 둘러싸고 있으며 산 57-1번지는 공장 뒤편 산과 맞닿아 경계를 이루는 형세를 나타낸다. 그런데, 가장 오래된 2008년 항공사진부터 지금까지 해당 필지를 야외주차장 및 자재 적재용으로 사용해 왔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점은 해당 필지의 지목이 모두 ‘임야’라는 것이다. 임야는 산림과 원야로 구성된 토지로, 공간정보관리법에서는 죽림지, 수림지, 암석지, 모래땅, 습지, 황무지, 자갈땅 등을 예로 들고 있다. 임야는 대부분 산림자원보호법에 따라 산림보호구역 또는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다. 즉, 산림청의 허가 없이는 토지의 용도변경이나 개발이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간혹 산림보호구역이나 지역이 아닌 임야도 있지만 이 역시 산림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토지의 용도변경이나 개발이 가능하다. 시흥 제1공장 주변 4필지 무단 개발 개발제한지역·공익용 산지에 해당 한샘이 야외주차장과 자재 적재용으로 사용한 필지는 모두 개발제한구역에 포함돼있다. 한샘이 산림청의 허가를 받지 않고 개발제한구역 땅을 개발해 무단으로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는 의심이 드는 사안이다. 실제로 시흥시 도시정책과는 해당 필지와 관련해 많은 민원을 접수했다. 민원은 해당 필지들의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조 위반이 주된 내용이었다.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2조에 따르면, 개발제한구역에서는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공작물의 설치, 토지의 형질변경, 죽목의 벌채, 토지의 분할, 물건을 쌓아놓는 행위(적재) 또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1항에 따른 도시·군계획사업의 시행을 할 수 없다. 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의 건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와 이에 따르는 토지의 형질변경 ▲개발제한구역의 건축물로서 제15조에 따라 지정된 취락지구로의 이축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철거된 건축물을 이축하기 위한 이주단지의 조성 ▲건축물의 건축을 수반하지 않는 토지의 형질변경으로서 영농을 위한 경우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의 형질변경 등 9가지의 경우만 예외로 하고 있다. 이렇듯 한샘의 4 필지 사용은 예외 사항에 포함되지 않는다. 산림청장 허가받았나 민원을 접수한 시흥시 건축과 개발제한구역지도팀은 2020년에 해당 필지에 관한 현장조사 이후 한샘에 원상회복 행정조치를 내렸다. 하지만 한샘은 이에 불복하고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감행했다. 재판부는 개발제한구역 지정으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한 한샘의 주장을 일부 받아들여 이행강제금 일부를 한샘에 돌려주도록 판단했다. 하지만 이는 시흥시의 행정조치가 잘못됐다는 판결이 아니었다. 법적 싸움 끝에 시흥시의 원상복구 행정조치는 진행됐다. 시흥시 개발제한구역지도팀에 따르면, 한샘은 행정소송 이후 2022년부터 2023년에 걸쳐 원상복구를 완료했다. 시흥시 개발제한구역지도팀 관계자는 “행정조치 이후 원상복구까지 불법으로 개발한 것을 모두 해체하고 폐기물 처리까지 완료해야 하는 만큼 많은 시일이 걸린다”며 “해당 필지(조남동 91-166번지와 산 57-1번지)는 지난해 11월 원상복구 이행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샘 관계자는 “해당 부지는 한샘이 소유하고 있거나 소유했던 땅으로 불법 점용한 적이 없으며, 해당 부지는 개발제한구역 지정 전과 동일한 상태로 복구를 완료한 상태”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요시사> 취재에 따르면, 한샘은 여전히 해당 필지들을 불법 점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시흥시가 원상복구 이행을 확인한 필지는 조남동 91-166번지와 산 57-1번지다. 하는 척 얼렁뚱땅 <일요시사> 확인 결과 조남동 91-166번지는 도로와 인접한 부분의 절반의 울타리만 철거됐으며 여전히 4~5대의 차량이 주차돼있는 상태였다. 해당 필지는 개발제한구역이면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지역‧지구로는 도시지역, 자연녹지지역로 구분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해당 지역에 4층 이하의 건축물을 지을 수 있지만, 개발제한구역이므로 건축물의 건축 및 용도변경 등이 불가능하다. 시장 혹은 도지사·군수 등의 허가를 받을 경우 가능하지만, 시흥시에서는 해당 부지의 주차장 사용을 허가해주지 않았다. 행정조치 이후에도 계속 불법으로 점용하고 있는 셈이다. 산 57-1번지도 마찬가지다. 항공사진을 분석한 결과 2008년부터 해당 필지를 덮고 있던 콘크리트는 2013년에 사라졌지만 자재가 적재돼있었다. 이후 2020년에 다시 콘크리트가 덮였다가 2022년 흙밭으로 복구됐다. 하지만 여전히 자재는 적재돼있다. 게다가 <일요시사> 확인 결과 조남동 산 57-1번지와 조남동 산 57-5번지가 개발제한구역이면서 공익용 산지로 지정돼있어 보전산지로 분류되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산 57-5번지가 산지 그대로 있는 것과 다르게, 산 57-1번지는 콘트리트가 지반을 받치고 있으며 경계선에는 울타리가 쳐져 있다. 행정조치 완료? 완전 복구 안돼 한 부동산 전문 변호사는 “공익용 산지를 마음대로 개발하면 산지관리법에 의해 처벌받을 수 있다”며 “해당 부지 명의가 한샘이더라도 시장 등 지자체의 허가 없이 개발하면 안되는 곳으로 구조물을 통해 공장부지와 평행을 맞추는 지반을 만드는 것도 허가가 필요한 작업”이라고 말했다. 행정조치가 진행 중인 상황에 문제가 되는 필지를 매매한 정황도 포착됐다. 한샘은 조남동 91-163번지의 필지를 1985년 매입했다. 이후 야외주차장으로 사용하던 해당 필지를 2022년 11월4일 갑자기 팔아버렸다. 2022년은 한샘과 시흥시의 행정소송이 끝나고 행정조치가 진행되던 시기였다. 현재 해당 필지는 ㈜효경개발이 매수해 크레인과 덤프트럭 등 중장비 주차장으로 이용 중이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원상복구에 많은 금액이 들어가는데 이를 피하기 위해 토지를 매매한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 한 토지 전문가는 “일반적으로 야외주차장으로 사용하던 토지를 원상복구하는 데 많은 금액이 들어가지 않지만 해당 필지는 공익용 산지로 산지 조성까지 해야 해 상황이 다르다”며 “산지 조성에 들어가는 금액도 지불하지 않고 토지를 매매한 것은 이중으로 이익을 얻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한샘 관계자는 “크레인 등 장비가 있는 부지는 한샘의 소유가 아니므로 저희가 알 수 없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문제의 필지 매매한 정황 한샘 측은 이번 불법 점용 의혹에 관해 개발제한구역 지정이 공장 설립보다 늦게 이뤄져 어쩔 수 없이 불법적인 개발로 분류됐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해당 필지들은 지난 1976년 12월에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됐다. 시기상 한샘의 공장 설립 이후에 묶인 셈이다. 하지만 산 57-1번지를 제외하고 나머지 필지들은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이후인 1985년 매입한 땅이라 불법임을 알고도 마음대로 개발했다는 지적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kcj512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