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 걱정하는 네이처리퍼블릭 현실

겨우 숨 쉴 틈 마련했지만…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네이처리퍼블릭이 서서히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끝이 보이지 않던 적자의 터널에서 빠져 나오는 데 성공하더니, 올해 상반기에도 조촐하게나마 순풍을 타는 모습이다. 다만 지금껏 까먹은 돈을 메꾸기에는 아직까지 갈 길이 멀다. 존속 능력조차 의심받는 게 네이처리퍼블릭이 처한 현실이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올해 상반기에  영업이익 2억5000만원을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727억원으로 전년 동기(633억원) 대비 15%가량 증가했다. 오프라인 매장의 효율을 개선하고, 온라인 판매 플랫폼을 다변화한 게 수익성 향상으로 이어졌다.

정상화 언제?

관련 업계에서는 네이처리퍼블릭이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하는 모습이다. 특히 정운호 대표이사 체제가 재가동된 지 3년여 만에 흑자로 돌아섰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정 대표는 업계에서 ‘미다스의 손’으로 통한다. 2003년 설립한 더페이스샵을 출범 2년 만에 업계 선두로 등극시킨 그는 2005년 더페이스샵 지분 70%를 사모펀드에, 2009년 LG생활건강에 나머지 지분을 넘기면서 2000억원을 확보했다.

이를 토대로 2010년 네이처리퍼블릭(옛 장우화장품)을 인수해 또 한 번 로드숍 화장품 시장을 노크했고,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수딩젤’ ‘아쿠아 수분크림’ 등을 히트시키며 로드숍 화장품 업계에서 주목할만한 업체로 우뚝 섰다.


한동안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던 정 대표는 2020년 3월 주주총회를 거쳐 대표이사로 복귀했다. 그의 공백기에 회사가 침체에 빠지자 구원투수 격으로 현장 복귀가 결정된 모양새였다. 실제로 네이처리퍼블릭은 정 대표가 경영진에서 이탈한 이후 ▲2016년 95억6300억원 ▲2017년 16억8000만원 ▲2018년 190억원 ▲2019년 128억원 등 매해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재가동된 정 대표 체제에서 대대적인 체질 개선을 단행했고, 최근 들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정 대표 복귀 첫해였던 2020년에 203억원이었던 영업손실 규모는 이듬해 37억5000만원으로 축소됐고, 급기야 지난해에는 영업이익(2억원)으로 전환했다. 2016년 이래 6년간 지속됐던 적자의 고리를 끊어낸 셈이다.

다만 구원투수로 나선 정 대표는 따지고 보면 네이처리퍼블릭을 곤경에 빠지게 만든 장본이었다. 정 대표는 2015년 7월 100억원대 해외 원정도박 혐의로 고등법원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1심은 징역 1년을 선고했지만, 2심에서는 정 대표가 잘못을 뉘우친 점 등을 고려해 1심보다 4개월 줄어든 징역 8개월을 확정했다.

길었던 적자 수렁 벗어났지만…
떼기 힘든 존속능력 물음표 

원정도박으로 복역하던 중 터진 ‘정운호 게이트’는 정 대표를 나락으로 떨어뜨린 결정적 계기였다. 정운호 게이트는 정 대표가 판사 및 검사 출신 전관 변호사들에게 구명과 관련해 로비를 벌인 초대형 법조 비리 사건이었다. 2017년 12월 대법원 3부는 특경법상 횡령 및 뇌물공여 등 혐의로 구속 기소된 정 대표에게 징역 3년6개월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정 대표는 4년4개월에 걸친 옥살이를 끝낸 지 3개월가량 흐른 시점에 네이처리퍼블릭 대표이사로 복귀할 수 있었다. 이 무렵 정 대표는 75.37%(604만6663주)에 달하는 네이처리퍼블릭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였다.

이후 네이처리퍼블릭은 우여곡절 끝에 재가동된 정 대표 체제에서 서서히 회복세를 나타냈지만, 처한 현실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 수년간 지속된 적자가 회사 재정을 갉아먹은 여파가 꽤나 컸던 탓이다. 


2017년 64%에 불과했던 네이처리퍼블릭의 부채비율은 2019년 128.2%까지 뛰어 오른 데 이어, 2021년에는 무려 4965.2%를 찍었다. 통상적인 부채비율 적정 수준(200% 이하)과는 상당한 간극이 존재한다.

최악의 상황이라 여겨졌던 2021년보다 최근 들어 재무상태는 더 나빠졌다. 네이처리퍼블릭은 지난해 총자본이 납입자본금을 하회하는 ‘완전자본잠식’에 빠졌고, 이 같은 흐름은 올해까지 계속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총자본은 -24억4500만원으로, 이는 납입자본금(41억3600만원)마저 모두 까먹었음을 의미한다.

이런 가운데 차입금 상환 압박은 계속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기준 네이처리퍼블릭 재무제표에 기재된 차입금 192억원 전액은 1년 내 상환을 필요로 하는 단기성 차입금으로 분류된다. 차임금의존도는 41.6%로 집계됐으며, 이는 통상적인 차임금의존도 적정 수준(30% 이하)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불투명한 미래 

회계법인들도 존속 능력에 의문을 나타내는 상황이다. 네이처리퍼플릭 재무제표를 감사한 삼일회계법인은 2021년과 지난해에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을 강조했다. 올해부터 감시를 맡게 된 한영회계법인 역시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능력에 대한 의문”을 기재했다.

<heatyang@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