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TV> 여자 안중근? ‘단지혈서만 세 번’ 여장군 남자현

얼마 전 티비를 보는데 OCN서 영화 <암살>이 나오더라고요.

“총알이 두 개지요!!”

아 역시 또 봐도 재밌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문득 전지현씨가 연기한 안옥윤이란 인물의 모티브는 누구일까 하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찾아봤더니...

실존했던 남자현 열사를 모티브로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만주 항일무장 운동의 유일한 여성 대원이었으며, ‘독립운동의 대모’ ‘세 손가락의 여장군’ ‘여자 안중근’ 등 다양한 칭호를 얻으며 활발한 독립운동을 펼쳤던 남자현 열사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안중근 의사‘하면 가장 먼저 나는 생각나는 것은 아마 그의 잘린 손가락일 텐데요. 남자현 열사 역시 단지혈서를 쓴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녀는 세 번의 단지를 하여 세 손가락의 여장군이라고도 불리였는데요.

손가락을 자르는 것은 현재도 매우 고통스럽고 위험한 행위지만 당시에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세 번이나 단지를 감행했던 남자현 열사, 어떤 이유에서였을까요?

세 번의 단지

1920년 8월 29일, 그녀는 처음으로 자신의 엄지손가락을 잘랐습니다. 당시 만주에는 90여개의 한인 독립운동 단체가 모여있었는데, 각기 다른 입장을 고수하며 균열이 일어나 세력분열이 일어나던 시기였습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그녀가 ‘나라를 빼앗긴 수모를 잊지 말자(일제 강점 현실을 잊지 말자)’는 의미로 8월29일 국치일(대한제국의 통지권을 빼앗긴 날) 기념식을 행하던 자리서 엄지손가락을 절단하며 단결할 것을 호소했습니다.

50세에 가까운 나이로, 그것도 남성이 아닌 여성이 손가락을 자른 것은 자리에 있던 모든 이들을 충격에 빠뜨리게 만든 사건이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분열은 멈추지 않았고, 1922년에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탄핵 등으로 갈등의 최고조에 달아 유혈 사태까지 이르게 됩니다. 이때 그녀는 '독립군의 단결이 우선(싸워선 안 된다)'이라는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 검지 손가락을 절단하기로 합니다.


당시 주변인들의 만류에도 그녀는 ‘내 손가락을 아까워하지 말고 민족과 동지를 아까워하라‘라는 말을 남기며 두 번째 단지를 실행합니다.

1932년 일제는 대륙침략을 목적으로 만주국을 설립합니다. 이에 대한 실상을 조사하기 위해 국제연맹 조사단에서 하얼빈으로 실사를 나오는데요.

남자현 열사는 어떻게 하면 일제의 만행과 조선의 상황을 알릴 수 있을지 고민하다 세 번째 단지를 결심하며 약지를 절단합니다. 잘린 손가락과 ’조선독립원(조선은 독립을 원한다)‘이라고 적은 혈서를 국제연맹 조사단에 전달하려 했지만 안타깝게도 일본의 삼엄한 경계로 실패합니다.

 

두 번의 암살

1926년 순종이 사망하고, 사이코 마코토 총독이 조문을 온다는 정보가 있었습니다.

독립지사들의 제거 대상 1순위였던 사이코 마코토 총독을 암살하기 위해 남자현 열사는 계획을 세우는데요.

그러나 그녀보다 빨리 행동을 취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바로 송학선 의사입니다. 그는 창덕궁 금호문에서, 마차에서 내리는 일본인 셋을 죽입니다.

당시에는 사이코 마코토의 사진이 있던 게 아니기에 송학선 의사는 그의 얼굴을 몰랐고, 그로 추측되는 인물들을 암살한 것인데요. 안타깝게도 일본인 셋 중에 마코토는 없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일본의 경비가 더욱더 삼엄해졌고, 남자현 열사는 다음을 기약하며 만주로 돌아갑니다.

1933년 3월1일 그날은 만주국 설립기념일이었습니다. 남자현 열사는 설립행사에 올 만주국 대사 부토 노부요시를 암살할 계획을 세웁니다. 이를 위해 폭탄이나 총 등을 과일상자 등에 숨겨 들어오기로 계획하는데요.

이일이 바로 영화 <암살>의 모티브가 된 사건입니다. 이미 일본군에 얼굴이 노출된 남자현 열사는 걸인 노파로 변장하는 것도 모자라 직접 칼로 얼굴을 그어 상처를 만듭니다.

그렇게 2월27일 남자현 열사를 포함해 세 명이 투입되어서 무기를 나르던 중, 의열단원 행세를 하며 250명을 밀고한 악질 친일·반민족 행위자 ‘이종형’에 의해 그녀는 일본 경찰에게 붙잡히고 맙니다.


거사를 치르기 전 남자현 열사는 자신은 이미 60이 넘은 나이이니 죽어도 여한이 없으며, 혹시라도 일본군에게 발각된다면 혼자서 모든 것을 책임지겠다고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렇게 밀정에 의해 감옥에 투옥된 남자현 열사는 6개월간 모진 고문을 당하다 심각한 건강악화로 병보석으로 풀려났지만, 5일 만에 순국하십니다.

단지와 암살 이외에도 남자현 열사는 독립을 위해 수많은 일을 하던 분이었는데요.

남자현 열사와 관련된 추가적인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남자현 열사의 행적과 기록, 후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모은 자료를 토대로 그녀의 생애를 재구성한 이상국 저자의 ‘나는 조선의 총구다’를 한번 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기획&구성&편집:김미나
일러스트 : 정두희

<emn2021@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