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세의 골프인문학> 스코틀랜드 ‘목동 골프’의 시작

매일같이 양떼들이 지나가면서 밟고 뜯어먹었던 터라 초원은 아예 풀이 다져져서 매끄러운 들판 같았다. 토끼가 다니면서 다져놓은 자리보다는 덜했지, 풀들이 가지런히 베어져 있는 잔디밭 같은 느낌이 들었다.

멀리 동쪽 나라에서 온 무역선의 상인들은 이 초원의 잔디밭을 페어웨이라고도 불렀다. 부드러운 푸른 들판은 잠시 갈대밭을 지나다가 끈질긴 뿌리를 가지고 낮게 땅바닥에 깔린 이끼 같은 잡초들을 지나 모래사장으로 이어졌고 이내 바닷가로 그 끝이 마무리됐다.

단순한 시작

헨리는 반사적으로 자신이 들고 있던 지팡이를 거꾸로 잡았다. 양들을 모는 기다란 나무 막대기였다. 주변에서 때리기 편한 둥근 돌도 찾았다. 바닷가 지척에 널 부러진 둥근 자갈을 찾는 것은 너무도 쉬웠다. 이내 막대기로 양들이 다져놓은 들판을 향해 그 돌을 후려쳤다. 30m 정도밖에 날라가지 않았다. 생각보다 적게 나가 오기가 발동했다.

헨리는 막대기로 다시 돌을 때렸다. 그러기를 10여 차례. 처음 시작했던 언덕 위까지는 300야드 이상의 거리가 되는 듯했다. 다시 돌아가는 게 더 귀찮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차례 쳐댄 돌멩이는 지역에서 서식하던 들토끼들이 다져놓은 편편한 잔디 위에 도달했다.

당시 들토끼들이 다져놓은 편편한 잔디는 스코틀랜드에서 그린으로 불렀다. 이제 자갈돌과 헨리는 양들이 놀던 페어웨이를 지나 토끼의 영역으로 다가간 것이었다. 그린 한복판에는 조금 전 토끼가 숨기 위해 만들어 놓은 구멍이 있었다.


그 구멍은 예나 지금이나 홀로 불렸다. 헨리는 토끼 구멍 속에다 그 돌을 집어넣을 요량이었다. 돌멩이를 십여 차례 때리고 온 행위에 목표가 생긴 것이었다. 뭔가가 머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양몰이 소년들의 호기심
구멍에 돌 넣기에서 출발

할아버지로부터 배웠던 집 마당에서의 공 때리기 놀이 하고는 뭔가 달랐다. 헨리도 그 놀이를 가끔 했지만 상대방이 있어야 했고, 장소도 비좁아서 별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세인트앤드루스 마을의 바닷가에도 비슷한 놀이가 있었음을 헨리는 알고 있었다. 무역선을 타고 온 상인들은 정박을 하면서 모래사장에서 자갈 때리기 놀이를 하곤 했다.

상인들은 모래를 쌓아 올려 그 위에다 둥근 자갈을 올려놓고 일정한 금 안에서 때려 막대기를 맞추는 놀이를 했다. 겨울이면 특히 세인트앤드루스 바닷가의 이끼가 낀 빙판 위에서도 그들은 막대기를 얼음 위에 세워놓고 삼삼오오 모여서 그런 놀이를 했다.

네덜란드 상인과는 다르게 스코틀랜드의 목동끼리도 바닷가에서 이따금씩 모래판의 자갈을 후려치는 놀이는 해오던 터였다. 그것은 한 번씩 때리고는 떨어진 거리를 재서 승부를 가리는 단순한 놀이에 불과했다. 상인들과 목동들의 놀이는 같은 바닷가였지만 상인들은 막대기를 맞췄고 목동들은 나간 거리를 쟀다.

오늘 헨리가 초원서 했던 동작은 전혀 새로운 것이었다. 둔덕이 있는 언덕 위에서 자갈을 때린 방향은 아래쪽 양들이 노는 초원, 즉 페어웨이였다. 편편한 페어웨이를 향해 돌을 날렸고 그린이 있었으며 토끼 홀이라는 집어넣을 목표물이 있었다. 헨리는 무료하게 풀피리만 불며 보내던 일상과는 달리, 뭔가 흥미거리를 찾은 것 같았다.

재차 해보았다. 하면 할수록 뭉툭한 돌이 생각대로 쉽게 맞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생각처럼 후려친 돌이 앞에 펼쳐진 페어웨이로만 날아가는 것도 아니었다. 바닷가 쪽의 갈대숲으로 들어가는가 하면 덤불로도 들어가곤 했다.


다시 시도해도 단번에 돌멩이가 페어웨이로 날아가지만은 않았다. 겨우 10여 차례 만에 그린 근처에 공이 도달했고 그것도 서너 번 만에 볼을 굴려야 겨우 토끼 굴속에 집어넣을 수 있었다.

작은 욕심서 나온 ‘룰’
골프로 발전한 ‘고프’

헨리는 휘두르는 수를 줄이면서 구멍에 집어넣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재미를 붙인 그는 치는 타수를 줄일 수 있기를 바라며 막대기로 돌을 날려 버리는 놀이로 해가 지는 것도 잊어버리고 있었다.

그렇게 어느 한적한 봄날의 오후는 새로운 놀이를 고안해내는 것으로 하루해가 저물어가고 있었다. 다음 날 헨리는 초원의 또래 아이들에게 흥분된 억양으로 기막힌 놀이를 찾아냈노라고 설명을 해주었다.

헨리의 주변에 모여든 목동들은 그의 이야기에 귀를 세웠다. 모두들 막대기와 되도록이면 둥근 자갈을 구하기 위해 주변을 두리번거리기 시작했다. 목동들은 어제 헨리가 최초의 샷을 날렸던 그 언덕에 모였다.

한 사람씩 페어웨이를 향해 자갈을 날리기 시작했다. 헨리는 어제 하루 종일 연습을 했던 기량으로 능숙하게 휘둘러 댔다. 헨리의 절친인 찰스는 처음 휘두르는 통에 헛스윙을 하고 말았다. 그 모습을 보며 모두들 깔깔거리며 웃어댔다.

위대한 태동

그들이 몰던 양들은 여기저기 흩어져서 제멋대로 풀을 뜯고들 있었다. 다른 아이들도 신기해하고 재미있어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에딘버러의 목동들은 이제 심심하지 않아도 됐다.

양을 치며 따분하기는커녕, 어서 빨리 아침이 밝아 양들을 데리고 초원으로 나가고 싶어 안달들이 났다. 그렇게 모인 목동들은 양들은 내버려두고 놀이에만 열중하곤 했다. 고프(Goeff, 14세기 골프에 대한 영국의 어원)는 스코틀랜드의 초원서 그렇게 태동했다.

<webmaster@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