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푸라닭 ‘-200억원’의 비밀

3000만원 넣고 200억 가져갔다?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아이더스코리아 장부상에서 의미심장한 마이너스가 표시됐다. 한 해 성과보다 옛 인연을 챙기는 데 씀씀이가 더 컸던 탓이다. 그럼에도 정작 가게 주인은 별 타격이 없어 보인다. 잘 드러나지 않지만, 주인이 누리게 된 혜택이 제법 쏠쏠했던 덕분이다. 

2015년 11월 설립된 아이더스코리아는 프랜차이즈 및 도소매업을 영위하고 있다. 치킨 브랜드 ‘푸라닭’을 내세워 인지도를 확보한 이 회사는, 2020년 가맹점 증가율 1위를 기록하는 등 순조로운 성장가도를 달리는 중이다.

탄탄대로

성공적인 점포 확장 정책에 힘입어 아이더스코리아의 실적은 가파르게 상승했다. 2020년 각각 1410억원, 147억원이었던 이 회사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이듬해 1726억원, 151억원으로 증가했다. 높은 수익성은 2020년 136억원이었던 총자본이 1년 새 262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확대된 배경으로 작용했다.

다만 최근 들어 성장세는 한풀 꺾인 양상이다. 지난해 아이더스코리아는 매출 1638억원, 영업이익 9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5.1%, 37.4% 감소한 수치다. 매출총이익이 300억원가량 줄어든 반면 급여 지출은 30억원 가까이 불어난 게 수익성을 갉아먹은 원인이었다.

2022회계연도 재무제표에서 드러난 또 다른 특징은 총자본이 전년(262억원) 대비 반 토막 수준인 137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는 점이다. 이 회사가 지난해 순이익 75억원을 기록했음을 감안하면 다소 이례적이다. 아이더스코리아는 안정적인 가맹본부 운영을 이유로 주주 배당에 나서지 않았기에 의구심이 더해질 수밖에 없었다.


해당 물음에 대한 해답은 수백억원에 달하는 일회성 비용 처리에 있었다. 회사를 떠난 전 주주들이 보유 주식을 포기한 대가였다.

자본금 3000만원을 밑천 삼아 설립된 아이더스코리아는 2017년 6000만원, 2018년 1억원 등 두 차례에 걸쳐 납입자본금 규모를 확대했다. 해당 과정을 거치며 법인 출범 당시 6000주였던 발행 주식 수는 2만주로 불어났다.

2021년 말 기준 아이더스코리아의 발행주식(2만주) 중 9000주(지분율 45.0%)는 최대주주인 장성식 현 대표의 몫이었다. 그리고 나머지 지분 55%는 ▲서기원 이사(22.5%, 4500주) ▲황인섭 전 대표(22.5%, 4500주) ▲최진석(10.0%, 2000주) 등이 나눠 갖는 구조였다.

1년 뒤 주주구성은 눈에 띄게 달라졌다. 장 대표와 서 이사의 지분율에 변동이 없는 가운데 황 전 대표와 최씨는 주주명단에서 제외됐고, 두 사람의 기존 보유 물량만큼 자기주식(32.5%, 6500주)이 생겼다. 이는 황 전 대표와 최씨가 보유했던 주식을 아이더스코리아가 사들였음을 의미했다.

엄청난 차익 남겨준 씀씀이
잘 벌고도 결국 마이너스

아이더스코리아가 지난해 11월, 두 사람의 주식을 사들이는 과정에 투입된 금액은 200억원. 이는 자기자본(1억원)의 200배에 해당하며, 1주당 평가금액(200억원÷6500주)은 307만6923원으로 집계됐다. 아이더스코리아 측은 적법한 절차를 통해 그동안 일궈놓은 회사 가치를 평가해 책정했다는 입장이다.

결과적으로 회사 주식을 사들이는 데 투입된 200억원은 회계상 총자본 항목에 ‘-200억원’으로 처리됐다. 해당 금액이 ‘자본조정(자본금 및 잉여금으로 구분되지 않은 항목을 임시로 모아 놓은 계정)’으로 표기된 탓이다. 이 영향으로 2021년 111.6%였던 아이더스코리아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220.0%로 두 배 가까이 뛰어올랐다.


황 전 대표와 최씨가 어느 시점에 얼마를 투입해 아이더스코리아 주식 6500주를 취득했는지에 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게 없다. 일단 액면가(5000원)를 적용한 투자였다면 두 사람은 주식을 정리한 대가로 최대 615배에 달하는 차익을 거뒀다고 추산될 뿐이다.

아이더스코리아의 자기 주식 취득에 따른 수혜는 황 전 대표와 최씨는 물론이고, 장 대표 역시 쏠쏠하게 누렸다. 장 대표가 보유한 주식 9000주는 자기주식으로 묶이게 된 6500주를 제외한 나머지 발행주식(1만3500주) 가운데 2/3에 해당한다.

아이더스코리아가 일시적인 재정적 악영향을 감수하면서 주식을 취득해준 덕분에 장 대표는 50%를 밑도는 지분으로 사실상 66.7%의 효과를 누리게 됐다.

자기 주식 취득과 이사회 구성원 변경 사이에는 접점이 있을 가능성이 보인다. 황 전 대표는 한때 장 대표와 함께 공동대표를 수행하는 등 이른 시기부터 회사의 성장을 진두지휘했던 인물이다. 하지만 2020년 6월 사내이사 사임으로 이사회 명단에서 제외됐고, 현재는 동종업계에서 홀로서기에 나선 상태다.

전혀 관련 없어 보이는 김수정 전 감사와의 소송건 역시 이사 교체 과정에서 파생된 사안쯤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2018년 3월 감사직을 맡았던 김 전 감사는 2020년 5월 해임 결정과 함께 임원직을 상실했다. 황 전 대표가 사내이사직을 상실하기 한 달 전 결정된 사안이다.

뒷걸음질

이후 김 전 감사는 아이더스코리아를 상대로 ‘상표권이전등록말소청구’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안건은 아이더스코리아가 보유한 상표권(등록번호 4103527300000 등 5개)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 앞서 김 전 감사는 보유 중이던 특허청 등록된 푸라닭 관련 상표권 5개를 2018년 1월 아이더스코리아에 일괄 양도한 바 있다.


<heatyang@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