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BC 참사 후폭풍 “나무냐 알루미늄이냐” 배트 논란

  • JSA뉴스 jsanews@jsanews.co.kr
  • 등록 2023.03.27 10:06:58
  • 호수 1420호
  • 댓글 0개

[JSA뉴스]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참사’ 후폭풍이 KBO리그를 넘어 고교야구로 향하고 있다. 알루미늄 배트 재도입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다.

대한민국 야구 대표팀은 3회 대회 연속 1라운드 탈락이란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았다.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는 가운데 고교야구서 사용 중인 나무 배트도 수면 위로 떠올랐다. 

성장 정체

알루미늄 배트를 사용하던 한국 고교야구 선수들은 2004년부터 나무 배트를 휘두르기 시작했다. 그해 국제야구연맹이 18세 이하 청소년 국제대회 때 나무 배트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을 신설했기 때문이다. 

도입 20여년이 흐른 현재, 나무 배트는 한국산 거포 부재의 원인 중 하나로 자주 꼽힌다. 일각에서는 나무 배트가 타자는 물론 투수의 성장까지 정체시켰다고 본다. 

2004년 고교 나무배트 도입
재도입 놓고 현장 의견 팽팽


알루미늄 배트는 나무 배트에 비해 가볍고 반발력이 좋다. 스윙 스팟에 제대로 맞지 않아도 타구가 쭉쭉 뻗어나간다. 반면 나무 배트는 공을 멀리 보내기가 쉽지 않다. 아직 힘과 정교함이 갖춰지지 않은 고교 선수들에겐 더욱 어렵다. 

자연스레 고교 타자들은 제대로 힘을 실어 타격하기보다 맞추는 것에 중점을 두기 시작했다. 이런 타자들과 마주한 투수들은 조금만 빠른 공을 던져도 우위에 설 수 있다. 고교 시절 천재 소리를 듣던 신인들이 KBO리그 적응에 애를 먹는 것 역시 같은 맥락에서 바라보는 이들도 있다. 

KBO리그 통산 161승을 거둔 정민철 MBC스포츠 해설위원은 고교야구가 알루미늄 배트 시대로 회귀하는 것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정 위원은 “(알루미늄 배트를 썼던)과거에는 전력으로 던지지 않으면 여지없이 장타를 맞았다. 투수 입장에선 타구가 정면으로 날아올 수 있다는 무서움을 느낄 수밖에 없다. 무서워서라도 더 외곽으로 낮게 가야 하고, 몸 쪽 깊이 정확하게 공을 던질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알루미늄 배트가 정답이라는 건 아니지만, 현재 한국 야구가 벼랑 끝에 있으니 여러 시도를 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현장의 의견은 엇갈린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KBSA)는 지난해 전국대회 참가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알루미늄 배트 도입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 나무 배트를 써야 한다는 주장이 미세하게 앞섰다. 

3회 연속 1라운드 탈락
충격적 성적표 이유가?


KBSA 관계자는 “이렇게 큰 사안을 바꿔야 할 때는 (변화 후) 장점이 훨씬 크다는 걸 납득시켜야 하는데 현장 의견이 워낙 팽팽해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짚었다.

나무 배트가 낫다는 쪽에서는 국제표준과 프로 적응 등을 고려하면 문제가 될 건 아니라는 지적이다. 나무 배트 도입 초창기인 2004년에도 나무 배트가 비용은 더 들어도 프로에선 어차피 써야 하니 적응 부분에서 학생 선수들에게 더 좋을 것이란 공감대가 형성됐다. 

한 아마야구 관계자는 “학생 선수들과 학부모들이 알루미늄 배트를 받아들일 수 있느냐도 문제다. 알루미늄 배트를 쓰게 되면 에이스 투수들의 성적이 안 좋아질 텐데 현장 지도자 입장에서도 나서기가 쉽지 않다”고 귀띔했다. 투수와 투수 자녀를 둔 학부모, 선수의 미래를 책임져야 하는 지도자 모두 알루미늄 배트를 마냥 찬성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른 고민은?

파워 히터가 사라지고, 한국 야구의 경쟁력이 떨어진 이유를 나무 배트에서만 찾을 수는 없다. 공인구 반발계수 조정이나, 고교야구 지명타자 제도 등에 대한 고민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KBSA 관계자는 “일본에서는 알루미늄 배트의 반발력을 낮추는 등의 논의를 한 것으로 안다”며 “우리도 보다 심도 있는 논의와 의견 수렴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