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진짜’ 흙으로 임옥상

여기, 일어서는 땅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임옥상 작가의 개인전 ‘임옥상: 여기, 일어서는 땅’을 준비했다. 리얼리즘 미술에서 출발해 대지미술, 환경미술로까지 작업 영역을 넓힌 임옥상의 현재 활동과 작업을 살펴본다는 취지다. 

임옥상 작가는 1950년 충남 부여 출생으로 서울대 회화과와 동 대학원, 프랑스 앙굴렘 미술학교를 졸업했다. 1981년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진행한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다수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1995년 베니스비엔날레 특별전, 2004년과 2010년 베이징비엔날레 등 국제미술행사에 참가했다. 

대지의 숨소리

임옥상은 1990년대 중반 이후 ‘미술관 밖’ 미술실천적 참여프로그램, 이벤트, 설치, 퍼포먼스 등을 다수 기획해 진행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공공미술, 공공프로그램 등을 통해 소통의 계기를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최근 들어서는 경기 파주 장단평야의 논에서 ‘예술이 흙이 되는’ 형식을 빌려 일종의 환경미술 혹은 대지미술, 현장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임옥상의 오랜 인생관과 예술관이 복합적으로 펼쳐진 실천의 장으로 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서울관 6~7전시실과 야외 전시마당에 설치되는 6점을 포함해 총 40여점의 작품과 130여점의 아카이브 자료가 소개된다. 신작 중 하나인 12m 높이의 대규모 설치 작업 ‘여기, 일어서는 땅’을 중심에 놓고 6전시실과 전시마당에 설치 작품을, 7전시실에 평면 작품을 놓았다.


초기작과 최근작
깍지 끼우듯 배치

임옥상의 초기 회화와 최근작을 마치 ‘깍지를 끼우듯’ 마주 이어 구성했다. 

6전시실에 들어서면 표면을 흙으로 빚은 설치 작품 ‘흙의 소리’가 보인다. 대지의 신 가이아의 머리가 옆으로 누워 있는 듯한 형상이다. 작품 한쪽에는 입구가 있다. 관람객은 입구를 통해 거대한 인간의 머릿속으로 걸어들어갈 수 있도록 했다. 동굴과도 같이 어두운 공간에서 대지의 어머니가 내는 숨소리를 느낄 수 있다.  

긴 계단과 복도를 지나면 거대한 흙벽이 펼쳐진다. ‘여기, 일어서는 땅’은 패널 36개를 짜맞춘 가로, 세로 각각 12m의 대규모 설치 작업이다. 임옥상은 이 작품을 위해 지난해부터 경기도 파주 장단평야 논에서 작업했다. 

미술 재료용으로 가공돼 정제된 흙이 아닌 ‘진짜’ 흙, 생존을 위한 삶의 공간으로서의 흙을 마주하겠다는 취지다. 작품 표면 위에 인식 가능한 현상 외에 즉자적으로 다가오는 요소는 흙의 질감과 색이다. ‘여기 일어서는 땅’은 재료나 의미에 있어 매우 근원적인 지점에 닿아있다. 

장단평야 논에서 떠온 흙은 추수 후 땅의 상황을 그대로 담고 있다. 베고 남은 볏단의 아래 둥치, 농부와 농기계가 밟고 지나간 자국, 논에 내려앉은 이름 모를 생물의 흔적 등이 원초적인 무의식을 건드리는 듯하다. 

파주 장단평야에서 작업
근원적인 지점 닿아있어


7전시실은 재구성된 임옥상의 제1회 개인전과 그 시기 회화 작품의 물리적 거리 사이를 움직여 걸어다니는 관람객의 신체적 행위를 통해 비로소 의미가 채워지도록 구성됐다.

2010년대 임옥상은 캔버스 위에 흙을 덧발라 채우고 그 위에 유화물감, 먹물 등을 혼합해 흙산수를 그려냈다. 그 형상은 임옥상의 신체적 행위 자체를 반영하기도 하고 전통 산수풍경을 드러내기도 한다. 

사방이 유리벽으로 둘러싸인 전시마당에는 지름 4m가 넘는 웅덩이인 ‘검은 웅덩이’가 있다. 임옥상은 이 웅덩이를 ‘숨구멍’이라고 칭했다. 생태, 문명 혹은 문화, 사회 등 어떤 관점이든 눈앞의 웅덩이는 지금, 현재를 돌아보게 한다. 

원초적 무의식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한국 현대미술계 주요 작가인 임옥상의 최근 작품을 중심으로 작업에 대한 정형화된 이해를 벗어나 확장된 시각으로 작업세계를 살펴보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번 전시를 통해 한국 중진 작가의 현재를 짚어보고 한국 현대미술사 흐름을 지속적으로 재해석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jsjang@ilyosisa.co.kr>

 

[임옥상은?]

▲학력

서울대 회화과 학사(1972)
서울대 대학원 회화과 석사(1974)
앙굴렘 미술학교 졸업(1986)

▲개인전 

‘나는 나무다’ 갤러리나우(2021)
‘흙의 소리, 흙의 침묵’ 아트 스튜던트 리그 오브 덴버(2019)
‘흙 Heurk’ SA+(2019)
‘The Wind Rises’ 씨메이 갤러리(2017)
‘바람 일다’ 가나아트센터(2017)
‘무릉무등’ 메이홀(2015) 
‘토탈 아트: 물, 불, 철, 살, 흙’ 가나아트센터(2011) 외 다수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