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기의 시사펀치> 서울 철새

  • 김삼기 시인‧칼럼니스트
  • 등록 2022.11.14 18:00:00
  • 호수 1401호
  • 댓글 1개

1980년대 중반에 들어간 첫 직장이 마포와 영등포 사이에 있는 작은 섬 여의도에 있었다. 그곳에서는 매일 아침 대방역에서 여의도까지 길게 늘어선 출근길 행렬을 볼 수 있었다.

여의도는 당시 서울에서 유일하게 빌딩숲을 이루고 있는 섬으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곳이었다.

주택이나 아파트가 많지 않아 주거 인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곳이기도 했다. 그래서 낮에는 물경 5만여명의 사람이 여의도에 상주했지만 밤에는 대부분이 여의도를 떠나 텅 빈 건물만 남곤 했다. 

당시 필자는 국내 굴지의 회사가 모여 있는 여의도의 출근길 행렬이 마치 먹잇감이 풍부하고 온도가 알맞은 서식지를 찾아 이동하는 철새 같다는 생각을 했다.

또 여름에 흰색 와이셔츠를 입은 직장인들의 행렬과 겨울에 검은색 외투를 입은 직장인들의 행렬이 영락없이 여름철새와 겨울철새의 이동으로 느껴졌다.

지난주 금요일 아침 구로디지털단지에 있는 모 업체를 방문했을 때도 전철에서 내려 디지털단지로 걸어가는 수많은 젊은이의 출근길 행렬을 보며 이스라엘 민족의 출애굽을 방불케 하는 장관이라고 생각했다. 구로는 산업화시대 때부터 서울 시내에서 규모가 가장 큰 공단이 들어선 곳으로 유독 젊은이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었다.


지금도 젊은 직장인이 많이 모여드는 것을 보면서 예나 지금이나 구로는 젊은이들의 철새 도래지가 확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수많은 IT회사가 모여 있고, 하루에도 1000개 이상의 신제품이 개발되고 있는 구로디지털단지를 향해 출근하는 직장인의 행렬 역시 35년 전, 여의도처럼 먹잇감을 구하기 위해 모여드는 철새들의 대장정이었다.

구로디지털단지에서 미팅을 마치고 오후에 지인과 약속이 있어 종로3가역 근처에 있는 커피숍을 찾았을 때도 7,80대 노인들의 엄청난 행렬이 길가를 가득 메우고 있었다. 

종로3가 골목은 인생의 쓴맛 단맛을 다 보고 이제는 기력도 떨어져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노인들의 쉼터다. 우리나라에서 유동인구 평균 나이가 가장 많은 노인들의 철새 도래지기도 하다. 물가도 싸서 3500원이면 콩나물국밥 한 그릇을 사 먹을 수 있고, 4000원이면 이발도 할 수 있다. 

길거리도 아코디언 등 각종 악기를 연주하는 노인과 장기를 두는 노인, 그리고 옛날 물건을 파는 노인으로 가득하고, 송해 거리도 있어 여가생활을 편하게 즐길 수 있는 노인들의 천국이 종로3가 골목이다. 특히 실버 영화관이나 콜라텍, 그리고 무대에서 노래도 할 수 있는 실버 다방은 노인들이 선호하는 핫 플레이스다. 

35년 전 여의도와 구로공단, 그리고 지금의 구로디지털단지와 종로3가 골목은 각각 어떤 목적으로 모였다가 헤어지기를 날마다 반복하는 서울 철새들의 도래지다.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철원과 속초, 전라도 순천만, 울릉도와 독도 등이 철새 서식지로 유명한 곳이다.

그래서 우리 정부나 지자체는 매년 이곳에 철새가 잘 서식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먹이도 제공하고 있다.


정부나 지자체가 철새 도래지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듯이, 서울시도 힘없고 능력 없는 노인들이 모이는 종로3가 골목을 잘 정비해서 노인들이 그들만의 공간에서 안전하고 행복하게 지낼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 덕에 지금은 종로3가 골목이 노인들의 성지이자 천국이 됐고, 종로3가 골목상권도 불경기가 없는 최고의 상권이 됐다. 

최근에는 고령인구가 늘어나면서 종로3가 골목이 서울 철새 노인들을 다 수용하지 못해 온천으로 유명한 온양까지 가서 놀다오는 서울 철새 노인도 많다. 덕분에 온양이 노인특수를 누리고 있으며 지자체 차원에서 노인을 위한 문화공간도 만들었다고 한다.

연천에서 시니어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더연천(TYC)’ 이철호 회장도 1호선 전철이 연천까지 연장·개통되는 내년 초를 기점으로 청정지역 연천군과 협의해 종로3가 골목처럼 서울 철새 노인들이 편히 쉬었다 갈 수 있는 문화공간을 조성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했다.  

온양이나 연천이 지하철 요금이 무료인 노인들이 쉽게 갈 수 있는 종착지로 서울 철새 노인들을 외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환영하며 노인 유치에 앞장서고 있다는 게 100세시대를 맞이하는 지자체의 아름다운 모습이 아닐까 싶다.    

철새가 다녀간 후 철새 배설물과 각종 쓰레기로 인해 도래지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염려해 철새 도래지를 없애지 않듯이, 우리 정부나 지자체도 노인들이 모이는 공간이 더러워진다고 노인들의 공간을 없애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서울 철새 젊은이가 밤에 많이 모이는 지역에도 서울시 차원에서 젊은이들이 편히 놀 수 있는 밤 문화 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 좁은 골목길을 방치하고, 안전사고 예방에 소홀했다가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처럼 아까운 젊은이들이 목숨을 잃는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이태원 참사 이후 서울시가 홍대 입구, 신촌 대학가, 건대 입구, 강남역 등 젊은이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을 현장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그런데 노인들이 많이 모이는 종로3가 골목은 전수조사 대상에서 빠졌다.

또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종로3가 골목도 전수조사해야 하지 않을까?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