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독백과 내러티브’ 윤미란·윤향로·김지민·김보경

네 작가의 4가지 추상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 갤러리도스에서 윤미란·윤향로·김지민·김보경 작가의 단체전 ‘여성, 또 다른 추상’ 전시를 준비했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되는 여성미술가의 추상회화는 개인적인 독백과 내러티브를 담고 있다. 

정연심 홍익대 교수는 갤러리도스에서 진행하는 ‘여성, 또 다른 추상’ 전시에 대해 “일종의 선언문처럼 혹은 여성미술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된 (전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큰 주제에 비해 공간 등이 제한돼있기 때문에 세대별로 여성미술가의 추상화를 추적할 순 없지만 4명의 작가는 추상을 다루는 작가적 ‘특이성’과 ‘독자성’으로 선정됐다”고 덧붙였다. 

특이하고

▲윤미란 = 홍대 서양화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와 버클리의 KALA 인스티튜트를 거쳐 홍대 교수로 재직했다. 윤미란의 작업은 한지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수한 물성에의 집착을 특징으로 한다.

한지라는 매체가 지닌 부드러움과 아름다움, 찢어지기 쉬운 연약함, 찢어진 후의 예상치 못한 결과의 대담함 등이 윤미란의 사각공간 안에 담겨있다.  

모시, 삼베, 노방과 같은 천 위에 몇 겹의 한지를 배접한 후 그 위에 한지를 가로지르는 실을 얹어 놓은 뒤 다시 몇 겹의 한지를 실 위에 배접해 바탕을 만들어낸다. 그후 한지와 한지 사이에 놓여있던 실을 앞으로 잡아당겨 뜯어내는데, 이때 한지를 찢고 나온 실의 배열에 따라 여러 겹으로 겹쳐져 있던 한지는 본래의 형태를 잃고 작은 사각형 모양으로 남게 된다.


사각형의 귀퉁이를 핀셋으로 살짝 뜯어내면 작업이 완성된다. 

쉽게 찢어질 수 있는 한지의 특성을 적절히 이용한 작업으로 찢어진 후 한지가 만들어내는 대담한 절단면은 보는 이로 하여금 평온함과 부드러움을 느끼게 하는 동시에 격렬함과 파격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격렬함과 파격 양면
매체 간 경계에 주목

정 교수는 “여성 단색화 작가를 발굴해가는 과정에서 윤미란에게 주목하게 됐다”며 “윤미란은 그리드의 구성에 물리적, 심리적 시간성을 더한다”고 설명했다.

▲윤향로 = 동시대 이미징 기술을 기반으로 추상회화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작가다. 대표작 ‘스크린샷’ 시리즈를 ‘유사회화’라는 이름 아래 회화와 인쇄물, 조각, 비디오, 가구, 설치 등 다양한 매체로 변주해 발표했다. 최근에는 미술사 속 작품의 이미지를 여러 층위로 다루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스크린샷 시리즈는 동시대의 풍경화를 만들고 바라보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주목하는 것은 매체 간 경계인데 특히 미술 안에서 서로 다른 매체 간, 다양한 문화 범주 안에서 다른 문화 간에 서로의 형태를 의태하며 생기는 경계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초기 작품에서는 회화를 둘러싼 다양한 미디엄으로 회화 자체를 바라보는 실험을 하고자 했다. 이는 회화 매체와 역사에 대한 관심으로 발전해 현재는 이 부분을 중심으로 현대 이미지의 소비 방식과 나를 둘러싼 세계관, 가치관 등에 저변을 두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 교수는 “윤향로에게 추상은 대중매체와 디지털 문화의 다양한 문맥을 읽어내는 여정이나 해석의 근거로 작용하며 이야기가 있는 회화적 공간, 여성의 목소리를 중첩시키는 사적, 그리고 공적 공간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김지민 = 동서양에서 체화한 삶의 경험을 기저로 문화의 다양성과 그것으로부터 파생한 언어, 철학, 신화 등의 주제의식을 작가 특유의 차분하고 숭고한 조형감각으로 작업의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2019년까지 설치작업을, 2020년 들어 본격적으로 회화를 시작해 현재는 이 두 매체를 병행해 작업하고 있다. 

그의 작업은 명료하게 구성되는데 설치는 ‘Art as Language’ ‘움직이는 샹들리에’ 시리즈로, 회화는 ‘음악적 회화’ ‘침묵의 회화’ 연작으로 나뉜다. 이번 전시 ‘Prototype Temple: At Night’는 설치와 회화의 변주로 동서양의 문화적 융합을 실험해온 연구의 소산이다.

동서양에서 체화한 삶
겹겹이 쌓아올린 한지

움직이는 샹들리에와 침묵의 회화로 조합된 전시는 서구 고전문화를 상징하는 샹들리에와 먹을 사용한 동양적 회화가 어두운 무대에 등장한 것처럼 연출된다. 성가, 성담의 미사, 사찰 소리, 종소리 등의 사운드는 전체 공간을 공명하며 경건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정 교수는 “일종의 템플 구조를 가진 침묵의 선이 만들어내는 회화적 구축물은 김지민의 정신적 위안처이자 도피처”라고 강조했다. 

▲김보경 = 한지를 일정한 크기로 자르고 모래와 안료를 더해 반복적으로 중첩해 불완전함의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명상적 행위를 실현하는 작가다. 로드아일랜드 스쿨오브디자인 회화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미술교육 석사 과정을 졸업했다. 

‘아로새기다, When Light is Put Away’은 한국 전통문화에서 비롯된 자연의 미와 불교 정신에서 비롯된 비영속성, 즉 시간의 흐름 속에서 발견되는 크고 작은 흔적을 투여했다. 자연과 자연스러운 현상을 통해 재탄생되는 것을 아름다움이라 정의하고 이것의 가치를 들여다봤다.

한지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며 겹겹이 쌓고 비워진 부분을 모두 메꾸는 것이 아닌 한지가 중첩돼 표현된 투명과 불투명 그 경계의 상태에 주목했다. 불완전한 상태를 유지해 명상적 수행을 하는 동시에 불완전함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이다. 

정 교수는 “시간성을 겹겹이 쌓아나가는 회화적 행위에는 김보경이 사용하는 물감만큼이나 모래와 같은 다른 재료의 흔적 또한 중요하다”며 “그가 사용하는 모든 색채는 개인적 경험과 자연에 대한 자신의 반응이 체화된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독창적

정 교수는 “4명의 작가 모두 자신의 속한 세대가 다르고 성장한 문화나 장소도 다르지만 자신만의 독특한 반응과 모놀로그가 이들의 회화 작품 안에 가득 차 있다”며 “이미지가 없는 듯, 형상이 없는 듯, 구체적인 대상이 없는 듯 보이지만 각기 다른 4명의 여성미술가가 그어나가는 선과 색채, 공간구조는 자신이 속한 세계에 대한 일기이자 이야기 공간”이라고 전했다. 전시는 다음달 7일까지.  



<jsjang@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