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TV> 잠들기 전 듣는다는 'ASMR', 알고 보니 100년 전부터 존재했다고?

[기사 전문]

혹시 지금 보고 있는 영상에서 묘한 간지럼이 느껴지지 않나요? 혹은 불쾌하거나, 불편하지 않나요? 이것은 바로 ‘ASMR’입니다.

ASMR은 ‘자율감각쾌락반응(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의 약자로, ‘특정한 감각 자극이 자율신경계에 신경전달물질을 촉진하여 일종의 전희 현상(쾌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위 말하는 ‘백색소음’이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넓고 일정한 파장의 주파수’라면, ASMR은 ‘쾌감을 주는 소음’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분명 몇 년 전만 해도 소수의 ‘프로 불면증러’들만 즐기던 콘텐츠였는데, 2018년경을 기점으로 ASMR에 대한 관심도가 수직으로 상승했고, 이에 따라 ASMR은 광고 속에도 자주 등장하는 키워드가 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 새 광고 모델들은 속삭이거나, 두드리거나, 씹는 모습을 부쩍 자주 보이고 있는데요. 바로 기업들이 ‘ASMR 마니아’들을 의식하기 시작한 것이죠.


유튜브에 게재된 첫 번째 ASMR 비디오는 유튜버 ‘WhisperingLife ASMR’이 2009년 3월 27일에 올린 ‘Whisper1-hello!’로 알려져 있습니다.

무려 ASMR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기도 전에 올라온 영상인데요.

해당 영상을 재생하면, 검은 화면에 유튜버 본인으로 추정되는 한 사람이 속삭이는 소리가 들려옵니다.

영상의 설명란에는 ‘이게 몇몇 사람들에게는 이상하게 들릴 것을 알지만, 나는 사람들이 속삭이는 소리를 듣는 게 좋다. 그래서 속삭이는 채널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유튜브 ASMR 붐이 탄생하는 순간이었죠.

하지만 최초의 ASMR은 이보다 훨씬 전으로 돌아갑니다. 놀랍게도, ‘100년 전 사람들에게도 ASMR에 대한 개념이 있었다’라는 흥미로운 주장이 있는데요.

다음은 1925년 창작된 영국 작가 버지니아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 속 한 구절입니다.


“Septimus heard her say ‘Kay Arr’ close to his ear, deeply, softly, like a mellow organ, but with a roughness in her voice like a grasshopper’s, which rasped his spine deliciously and sent running up into his brain waves of sound which, concussing, broke.”
‘셉티무스는 그녀가 그의 귀 옆에서 “케이 알…”이라고 깊게, 부드럽게, 마치 부드러운 오르간 소리와 같이, 하지만 메뚜기 울음소리처럼 거칠게 말하는 것을 들었다. 그 소리는 그의 척추를 맛있게 감으며, 그의 뇌파를 타고 들어가 뇌진탕을 일으키며 부서졌다.’

오스트리아의 작가이자 번역가인 클레멘스 J. 세츠는 ‘해당 구절의 묘사가 현대 ASMR의 개념과 거의 일치한다’라고 말합니다.

즉 ASMR이라는 단어 자체는 최근에 생겨났지만, 사람들은 이미 ASMR의 전형인 ‘속삭이는 소리에 의한 기분 좋은 소름’을 알고 있었다는 관점이죠.

10년 남짓 혹은 100년 이상,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역사를 가진 ASMR., 그렇다면 그 구성 요소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ASMR에서 시청자에게 자극을 주는 요소를 ‘트리거’라고 하는데, 트리거에는 무언가를 구기거나 긁는 소리, 바람 부는 소리, 사람이 속삭이는 소리 등의 예가 있습니다.

자신에게 잘 맞는 트리거를 접할 경우에는 몸 전반에 퍼지는 기분 좋은 소름인 ‘팅글’을 느낄 수 있는데, 이 팅글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머리와 목을 따라 척추 밑 부분까지 느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모두가 팅글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즉 ASMR의 효과에 대해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다는 것. 이에 대해서는 ‘신경증적 성향이 높을수록 ASMR의 효과를 잘 누린다’라는 연구 결과가 있으므로, 유독 ASMR을 좋아하는 사람을 ‘비교적 예민한 성격의 소유자’로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

한해 국내 불면증 환자만 65만 명 이상, 쉽게 잠들 수 없는 현대인에게 수면을 돕는 ASMR은 빛과 소금 그 자체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드는 의문, 과연 ASMR에도 ‘부작용’이 있을까요?

사실 ASMR 자체가 과학적으로 공식 인정된 개념이 아니다 보니, 부작용 역시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이어폰을 끼고 있는 것 자체가 청력에 좋지 않을뿐더러, 소위 ASMR 마니아들 사이에서는 ‘ASMR을 많이 듣다 보니 팅글이 쉽게 느껴지지 않는다’라는 경험담이 심심찮게 전해지고 있는데요.

쾌감을 위해 마약을 할수록 더 센 마약을 찾게 되는 것처럼, ASMR에 너무 의존할 경우 언젠가 공사장 소음으로도 만족하지 못하는 날이 올 수도 있겠습니다.


현재 ASMR 콘텐츠들은 주로 시각, 청각적 자극을 이용해 만들어지는데요.

혹여 나중에는 후각이나 촉각 ASMR 콘텐츠도 무궁무진하게 생산될 수 있을까요? 문득 ASMR의 미래가 궁금해집니다.

여러분이 즐겨 듣는 ASMR 채널이 있다면 댓글 창에 공유해주세요.

총괄: 배승환
기획: 강운지
구성&편집: 김미나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