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골프 투어 지각변동

슈퍼골프리그 등장
PGA·유러피언 긴장

미국과 유럽으로 양분된 글로벌 프로 골프 투어에 지각변동이 감지되고 있다. 아시안 투어가 균열의 진원지로 부각되는 양상이다. 아시아권 대회의 권위 향상을 위한 색다른 시도가 뒤따르고 있다.

 

내년부터 ‘레이디스 아시안 투어 시리즈(이하 LAT시리즈)’는 대만, 싱가포르, 태국,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권 내셔널 타이틀대회들의 영입을 완료하고, 아시아권 여자골프 랭킹 시스템을 구축한다. 최근 ‘아시아 골프 리더스 포럼(Asia Golf Leaders Froum, 이하 AGLF)’은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LAT시리즈

AGLF는 그동안 아시아와 태평양을 하나로 묶는 LAT시리즈를 활성화시키려는 방안 마련에 치중해 왔다. LAT시리즈는 한국의 내셔널 타이틀인 한국여자오픈,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 투어의 최고 상금대회인 ‘하나금융그룹 챔피언십’을 영입하고,‘대만여자오픈’‘싱가포르여자오픈’‘베트남 챔피언십’‘타일랜드 레이디스 챔피언십’‘인도네시아여자오픈’ 등 아시아권의 내셔널 타이틀대회의 영입을 마쳤다.

또한 아시아, 태평양권의 여자골프랭킹 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한 해 동안 낸 성적을 토대로 아시아 랭킹 1위 선수에게 ‘LAT시리즈 올해의 선수상(가칭 The Asian Player of the year)’을 수여하기로 했다. 이는 사실상 ‘아시아의 골프여왕’이라는 칭호를 받게 되는 것이다.

AGLF는 매년 말 전 회원사가 참여하는 총회를 개최하고, LAT시리즈 올해의 선수상 외에도 최저타수상, 롱 드라이버상, 신인상 등 개인 타이틀도 제정할 계획이다. LAT시리즈 발전을 위한 선수나 기업, 각국 협회 등을 대상으로 공로상과 감사패 등을 제정하고, 아시아 골프 명예의 전당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아시아 골프 리더스 포럼 재편안 발표
내년부터 아시아권 여자골프 랭킹 구축

AGLF는 LAT시리즈 대회 때마다 참가선수들의 성적에 따라 일정 포인트를 부여하는 랭킹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6월 열린 한국 내셔널타이틀 대회인 DB그룹 제35회 한국여자오픈부터 LAT시리즈 포인트를 적용하는 시뮬레이션을 해왔다.

LAT시리즈 랭킹 대상 기준은 아시아 국적 선수가 대상이다. 여자골프 세계랭킹(Rolex Ranking)에 이름을 올린 전 세계 53개국 1488명 중 아시아 국적 선수로 아시아 자국 투어를 뛰는 선수와 LPGA와 같이 다국적 투어에서 활약하는 아시아 국적 선수가 우선 대상이다.

대상국은 호주, 뉴질랜드, 한국, 중국, 홍콩, 인도, 일본,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대만 등 총 12개국이다. 추후 참여 대상 국가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이 가운데 아시아 국적(호주, 뉴질랜드 포함)의 선수가 62.1%인 924명에 달한다. 세계 랭킹 2위 고진영, 3위인 박인비를 포함해 지난 9월20일 발표한 세계랭킹 상위 10명의 선수 중 70%인 7명에 이르며, 상위 20위 기준으로 보면 60%인 12명, 50위까지는 58%인 29명, 100위까지는 60%인 60명에 달한다. 하위권에서도 계속 성장하는 선수가 많아 그 비중은 더 큰 편이다.

 

비아시아 국적 선수가 LAT시리즈 대회에 참가하면, LAT시리즈 랭킹 포인트를 받고 LAT시리즈 랭킹 순위에 들어갈 수 있다. 이는 앞으로 아시아 골프 확대를 위한 포석이다.

2006년 2월 롤렉스 세계랭킹을 처음 발표했을 때, 총 527명의 대상 선수 중에 아시아 태평양권 선수가 243명이었고, 올해는 1488명 대상 선수 중에 아시아 태평양권 선수가 924명으로 2006년 대비 약 3.8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구성비는 46.1%에서 62.1%로 증가했다.


2006년에는 세계랭킹 10위 이내에 아시아 국적의 선수가 4명, 비아시아 국적의 선수가 6명으로 아시아 국적의 선수보다 비아시아 국적의 선수 비율이 더 높았다. 이를 감안하면 향후 아시아 국적 선수의 세계 여자골프에서의 활약이 더욱 기대가 되는 상황이다.

LAT시리즈 랭킹 산정 기준은 롤렉스 여자골프 세계랭킹 기준을 근거해 출발한다. 금년 LAT시리즈 첫 대회였던 ‘한국여자오픈’을 기점으로 세계랭킹 포인트에 LAT 시리즈 대회의 가점을 더했다.

이후 매주 변동되는 세계 골프랭킹 포인트와 LAT시리즈 포인트를 합산해 매주 발표된다. LAT시리즈가 없는 주간에는 세계랭킹 포인트 변화에 따라 순위가 변동될 수 있도록 했다.

산정 절차는 우선 LAT시리즈 대회에 참가한 선수 중 컷을 통과한 선수 대상으로 포인트를 부여한다. 기존의 세계랭킹 포인트에다 LAT시리즈 대회 배점표에 따른 점수를 더한다. LAT시리즈는 당분간, 대회 수가 많지 않기에 대회 상금이나 랭킹 상위권 출전 선수 등에 따라 가중치를 주지 않고 대회마다 일률적인 포인트를 순위에 따라 차등해 부여한 포인트를 준다.

박폴 AGLF 사무총장은 “20 22년부터는 AGLF 회원국 간의 협의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권의 공정한 랭킹 시스템 기획 및 개발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며 “아시아 태평양권 국가별 선수의 성적, 선수층, 인프라 등을 고려한 국가별 인덱스화를 추진해 아시아 골프의 장기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고 골프를 통한 교류 및 화합의 장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아시아 남자 프로 골프 투어의 최대 화두는 슈퍼골프리그 출범이다. 최근 슈퍼골프리그는 인지도 높은 골프계 인사를 영입하고자 발 빠른 행보를 나타내는 중이다. 이런 가운데 ‘백상어’ 그렉 노먼이 천문학적인 상금을 내건 슈퍼골프리그의 커미셔너에 취임할 것이란 보도가 나왔다.

<골프위크> 등 미국의 골프전문매체들은 지난달 28일(한국시간) “사우디아라비아의 오일 머니를 배경으로 하는 슈퍼골프리그 관계자들이 뉴욕에서 미국의 미디어 관계자들을 만났다”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노먼이 커미셔너로 일할 것이란 얘기가 흘러나왔다는 것이다.

슈퍼골프리그는 프리미어 골프리그의 새 이름으로 사우디 골프그룹에서 진행한다. 오는 20 23년부터 남자골프 세계 톱랭커 40~48명이 출전한 가운데 총 2억5000만파운드(약 3900억원) 규모로 18개 대회로 치를 예정이다.

슈퍼골프리그는 팬들의 흥미를 배가시키기 위해 4인 1팀의 단체전도 구상 중이다. 사우디 골프그룹은 현재 200억달러의 기금을 마련해 놓은 상태라고 밝힌 바 있다.

발 빠른 행보

슈퍼골프리그 측은 더스틴 존슨과 필 미켈슨, 브룩스 켑카, 브라이슨 디섐보, 리키 파울러(이상 미국), 저스틴 로즈(잉글랜드), 애덤 스캇(호주) 등 세계 톱랭커들에게 5000만달러(약 586억원)의 이적료를 제안하며 투어 참가를 타진 중이다.

1990년대 초반 세계랭킹 1위에 올랐던 노먼은 1994년 PGA 투어와 유러피언 투어를 대체할 글로벌 투어를 출범시키려 한 전력이 있다. 당시 노먼은 대회당 상금 300만달러에 톱랭커 40명이 출전해 컷오프 없이 연간 8개 대회를 치르는 월드골프 투어 창설을 시도했으나 선수 수급에 문제가 생겨 투어 출범을 연기한 바 있다. 당시 PGA 투어는 월드골프챔피언십 시리즈를 창설해 노먼의 계획을 무산시켰다.


현재 PGA 투어는 이 같은 움직임에 침묵을 지키고 있다. 대신 제이 모나한 커미셔너는 지난해 초 “슈퍼골프리그에 참여하는 선수들은 PGA 투어 회원 자격을 박탈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유러피언 투어 역시 PGA 투어와 비슷한 시각이다.

이에 사우디 골프그룹은 아시안 투어와 손잡고 1억달러(약 1172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올해까지 유러피언 투어로 열린 사우디 인터내셔널을 내년부터 아시안 투어에 편입시키는 등 투어 출범의 기초를 다지려 하고 있다.

 

<webmaster@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 처리됐다. 지급보증을 섰던 롯데건설은 우빈산업이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넘겨 받으면서 49%를 확보했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이 보유한 19.5%는 롯데건설로부터 양도받은 것이다. SPC 빛고을 내에서 롯데건설의 발언권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 가운데 1명은 앤유 대표인 정모씨의 아내로 추정된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